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孝宗대 정국변화와 災異 논의의 활용 (A Study on the Political Situation Change of Rein of King Hyo-jong(孝宗) and its Application to Discuss Zaiyi(災異))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9.02
33P 미리보기
孝宗대 정국변화와 災異 논의의 활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34권 / 203 ~ 235페이지
    · 저자명 : 하서정

    초록

    孝宗(재위 : 1649~1659)은 호란의 피해를 수습하고, 국가를 재정비하고자 노력하였다. 17세기는 소빙기로 인해 자연재해가 잦았다고 알려져 있는데, 효종대 역시 자연재해의 발생이 정국의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끼쳤다. 효종대 災異 기록의 빈도를 『孝宗實錄』과 『承政院日記』를 통해 확인해보면 효종 3년과 8년에 집중되며, 6년에는 비교적 줄어들었다.
    조선 후기에는 ‘상징적인 재이’보다 ‘현실적인 재이’가 더욱 중요해졌는데, 과학의 발달로 인해 ‘상징적인 재이’가 더 이상 권력을 상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실적인 재이’는 다양한 정책을 실현시키는 것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반대로 정책을 반대하는 역할도 하였다.
    효종은 인조대 후반부터 이어진 재이에 대한 소극적인 대응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그는 求言敎書를 자주 내리거나, 신료들에게 응지상소를 올리도록 촉구하였으며, 직접 祈雨祭에 참여하고자 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효종대 재이 논의는 활발해졌다.
    그러나 효종 5년, 金弘郁 옥사의 발발로 다소 잘 이루어졌던 재이 논의가 침체되었다. 효종의 정통성과 관계되는 이 사건은, 그것이 벌을 주어서는 안 되는 ‘應旨上疏’에 벌을 내렸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 이로 인해 효종은 대신은 물론 공론을 중시하는 산림들과도 갈등을 빚게 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효종은 꾸준히 자신의 명분이자 大義인 北伐論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북벌이란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것이었고, 신료들은 이것을 분명한 명분을 통해 저지해야만했다. 그 명분 중 하나가 ‘재이의 발생’이었다. 이것은 현실적으로 북벌을 시행할 수 없다는 함의에서 출발하였으며, 이러한 정책들을 반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위기 즉, 재이의 발생이나 민폐가 제시될 수밖에 없었다. 재이 논의로 인한 북벌론의 좌절은 재이 논의를 통한 공론의 회복을 상징한다고도 볼 수 있다.

    영어초록

    King Hyo-jong (孝宗, 1649-1659) tried to recover from the damage caused by the Manchu war of 1636 of and reorganize the country. It is known that natural disasters occurred frequently in the 17th century due to the ice age. And Reign of King Hyo-jong's occurrence of natural diststers also affected various parts of the political world. When analyzing the frequency of King Hyojong's records[孝宗實錄] through the log and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日記],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s records increased in 1652(孝宗 3) and 1657(孝宗 8), and decreased in 1655(孝宗 6). This reflects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朝鮮], realistic Zaiyi(災異, the natural disasters of the traditional era) became more important than symbolic, as the development of science stopped symbolic Zaiyi from representing power. Realistic Zaiyi also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policies, but he also played a role in opposing the policy.
    The incident, which relates to King Hyo-jong`s legitimacy, was a problem because the material punished a 'Eng-gi-sang-so(應旨上疏)' that should not be punished. This caused King Hyo-jong to conflict not only with the deities but also with the San-lim(山林).
    In this atmosphere, King Hyo-jong consistently argued The policy`s Subjugate the North(北伐論). But it was impossible to realize that The policy`s Subjugate the North was realistically, and the subjects had to stop it for a clear reason. One of the causes was the occurrence of Zaiyi.
    In Confucian society, the occurrence of Zaiyi was understood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depravity of the ruler, and the realistic damage of the Zaiyi was a big problem for Joseon Dynasty, which was an agrarian society. The subjects argued that policy cannot be implemented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Zaiyi, and that violent policy enforcement causes Zaiy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