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시대 세종 지역의 역사적 가치 (The Historical Value of the Sejong Area in the Baekje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08
26P 미리보기
백제시대 세종 지역의 역사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72호 / 416 ~ 441페이지
    · 저자명 : 정재윤

    초록

    본고에서는 고대 세종 지역의 교통로를 중심으로 이것이 가지는 역사지리적 가치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세종 북부권은 시‧공간적인 성격을 달리하면서 금강 중류 유역으로의 진출과 도성의 방어에 핵심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백제는 한성시기에 목천을 중심으로 청주와 공주, 세종에 진출하고자 하였다. 세종은 크게 산악지형인 북부권 전의 지역과 청주에 인접한 조치원, 금강과 미호강이 합류하는 남부권인 현 세종 시내로 구분된다. 북부권에는 읍내리산성과 이성과 금이성, 운주산성 등 많은 산성이 요로에 배치되어 천안과 목천, 그리고 공주와 조치원으로 이르는 길을 통제하였고, 한성기에 이 권역은 백제 진출의 통로가 되었다. 4~5세기 무렵 전의 지역에 다곽식 적석묘가 축조된 것은 이를 잘 대변해준다.
    웅진 천도 이후 백제는 교통로를 따라 도성에 대한 방어성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 중 차령을 직접 넘는 것보다 전의를 우회하는 길이 비교적 평탄하고, 여러 방면으로 이를 수 있어 전의 지역이 방어의 핵심 권역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세종에서 공주에 이르는 길에는 고려산성-증산성-읍내리산성-금이성이 남북 방향으로 위치한 것은 이를 잘 보여준다. 북부권에서 조치원을 거쳐 남부권으로 이르는 길에는 동남 방향으로 읍내리산성-운주산성-봉산리산성-와촌리산성-당산성을 배치하여 방비체계를 갖추었다. 고구려가 남성골산성에 교두보를 확보하자 황우산성과 동림산성, 병마산성 등을 축조하여 이를 막아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신라의 북진과 서진을 저지하기 위해서 청주 일원에서도 신라와 치열한 다툼을 벌였다. 이처럼 고구려‧신라와 치열한 접전이 벌어지자 세종 일대는 이를 방어하는 요충지로 떠올랐고, 한편으로 북진의 교두보가 되었던 것이다.
    세종 지역의 편제를 살펴보면 백제는 사비기에 목천에 대목악군을 설치하여 풍세 지역인 감매현과 전의 지역인 구지현을 관할하였다. 주목되는 점은 목천의 영현인 풍세에는 곡교천이, 전의에는 조천이 흐르고 있어 수륙의 요지라는 점이다. 또한 두 현을 연결하는 도로는 차령을 가로지르는 가장 저평한 길이었다. 이 두 현을 대목악군이 거느렸으며, 목천과 전의 사이에도 주요 교통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방어의 핵심으로 떠오른 세종 북부권인 전의 지역에는 남북과 동남 방향으로 산성을 배치하여 대목악군을 지원하면서 사비기에 운주산성이 북부권의 중심성이 된 것으로 보이며, 공주와 조치원의 통로를 장악하고자 하는 백제의 의도를 잘 보여준다.
    중부권인 조치원에는 두잉지현이 설치되었고, 청주 문의에 있는 일모산군의 영현이 되었다. 이처럼 세종이 두 지역으로 구분된 것은 북부권과 중‧남부권이 산악 지형으로 자연스럽게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두잉지현의 설치는 소맥산맥을 넘어 진출하는 신라를 제어하고 청주와 세종 일대를 방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중부권은 수로와 육로의 방어를 겸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남부권인 현 세종 일대는 육로와 수로의 결점점이면서 금강과 미호강이 합류하는 교차점이었기 때문에 수로의 요충지였다. 한성기에는 금강을 통한 백제 진출의 통로가 되지만 반대로 웅진‧사비기에는 웅진과 사비 방어의 요충지였다는 점에 그 의미를 둘 수 있겠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value was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transportation routes of the ancient Sejong area. Sejong has different t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layed a key role in advancing to the middle of the Geumgang River and defending the capital city. During the Hanseong period, Baekje attempted to advance to Cheongju, Gongju, and Sejong, centering on Mokcheon. Sejong is largely divided into the northern part of the mountainous region, Jeonui, Jochiwon, adjacent to Cheongju, and downtown Sejong, the southern part where the Geumgang River and Miho River merg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many fortresses were deployed to control the roads leading to Cheonan, Mokcheon, Gongju, and Jochiwon, and this area became a passageway to Baekje during the Hanseong period. After Ungjin Baekje tried to build a defense against the city along the transportation route, and at this time, Jeonui emerged as a key area of defense. Accordingly, the fortress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nd the fortress in the southeast direction were arranged to establish a defense system. As the fierce battle between Goguryeo and Silla took place, the Sejong area emerged as a key point to defend it, and on the other hand, it became a bridgehead for make one's way into. In the organization of the Sejong area, Guji-hyeon was established in the former area, which is the northern part of Sejong, to support Daemak-gun, and Unjusanseong Fortress was highlighted as the centrality of the northern part to take control of the passage of Gongju and Jochiwon. In Jochiwon, the central region, Duyingjihyeon was established to control Silla's advance across the Sobaek Mountains and to defend the Cheongju and Sejong areas. The central reg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serving as a defense of waterways and landways. The southern area of Sejong was a key point of the waterway because it was the intersection of the Geumgang River and the Miho River. In the Han period, it becomes a passageway to Baekje through the Geumgang River, but on the contrary,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a key point of defense between Woongjin and Sabi during the Woongjin and Sabi peri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