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同法 시행 이후 軍器寺의 재정 변화 (Changes and Structure of GunGisi Finance in the Late Joseon Perio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12
32P 미리보기
大同法 시행 이후 軍器寺의 재정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103호 / 47 ~ 78페이지
    · 저자명 : 임성수

    초록

    군기시는 조선시대 무기 제조를 전담하는 기구였다. 무기는 군사력을 유지․강화하는 가장 기본적인 자산이었기 때문에 정부는 군기시에 넉넉한 공물을 배정하였다. 덕분에 군기시는 무기 제조라는 본연의 업무 외에도 각종 국가행사에 인력과 비용을 대거나, 지방의 부족한 군수물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도맡았다. 군기시의 위상과 재정상황은 兩亂을 거치면서 크게 달라졌다. 오군영 체제가 완비된 뒤 각 군영에서 자체적으로 무기를 제조하면서 군기시는 무기 제조를 專管하는 역할을 벗었고, 관련한 수입도 줄어들었다. 또한 대동법이 시행되자 공물의 대부분이 쌀과 포목으로 징수되었고, 수입 규모도 현물공납 시기보다 감소하였다. 특히 월과군기의 受價造送을 통해 얻던 수익이 애매해졌다. 오군영과 사설 장인들을 통해 군기를 제조할 방법이 다양해지면서 군기시는 이전처럼 무기 제조를 독점하는 기관으로서 월과군기의 이익을 당연히 가져갈 수 없게 되었다. 월과군기의 이익은 17세기 후반 극심한 흉년과 국가재정의 위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상평청과 진휼청으로 넘어갔다. 군사적 긴장감이 완화된 상황에서 군기시는 무기 제조를 전담하는 기구라는 명분을 내세울 수 없었다. 임시방편으로 상진청에 이속된 삼남의 월과연환과 월과화약은 그대로 상진청의 재정으로 자리 잡았고, 서울에 삼남연환계와 삼남화약계가 성립되었다. 그만큼 군기시의 재정은 열악해졌고, 17세기 후반에 이르면 군기시는 1년 수입으로 1년 지출을 감당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정부는 무기 제조와 유사시를 대비한 군기를 보유하는 군기시의 쇠퇴를 그대로 방치할 수 없었다. 결국 장기간 감면되었던 월과조총을 복구하면서 價米의 상당 부분을 군기시가 맡도록 하였다. 월과조총 가미는 군기시가 다른 군문보다 2.5배의 가미를 더 받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군기시는 전체 월과조총의 1/3에 해당하는 수량을 개량된 千步銃으로 제작하였다. 이로써 비록 전기와는 많이 달라졌지만, 군기시는 무기 제조를 전담하는 기구로서 정체성을 유지하고,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해졌다. 군기시의 재정구조와 역할은 큰 변화 없이 19세기 중반까지 이어졌다.

    영어초록

    The GunGisi(軍器寺) was in charge of producing weap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Since weapons were the most basic assets to maintain and strengthen military power, they were allocated sufficient funds to the military. Thanks to this, the GunGisi played a role in providing expenses and manpower to various national events or supporting insufficient military supplies in provincial areas in addition to its original work of weapons manufacturing. In the 17th century, the status and financial situation of the GunGisi changed significantly. After five military(五軍營) systems were completed in Seoul, each unit manufactured its own weapons, and the GunGisi was not in charge of producing weapons, and related income decreased. In addi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Daedong Law(大同法), income was lower than before. By the late 17th century, the GunGisi was unable to afford one-year spending on one-year income. The decline of the GunGisi, which keeps military weapons in case of an emergency, could not be left unattended. In the end, the GunGisi was required to take charge of much of this financial resources while restoring taxes in the name of the manufacturing of the gun, which had been reduced for a long time. It was decided that the GunGisi would receive 2.5 times more money than the various armies. Based on this, the GunGisi produced an improved guns, equivalent to 1/3 of the total guns. Although it has changed a lot from before, the GunGisi maintains its identity as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weapons manufacturing and enables normal operation. The GunGisi’s fiscal structure and role continued until the mid-19th century without much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