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산군 중종대 조선의 歧州衛 대책 (Joseon’s Response to Gijiwi(歧州衛)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gun and King Jungjong)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9
43P 미리보기
연산군 중종대 조선의 歧州衛 대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206호 / 231 ~ 273페이지
    · 저자명 : 민경갑

    초록

    이 논문은 연산군·중종대 조선의 여진 대책 기조와 실태를 ‘기주위(歧州衛)’라는 여진 세력에 대한 대응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조선은 건국 이래 압록강-두만강 유역으로의 영토 확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많은 여진 세력을 상대했다. 조선은 자국 영토 밖에 산재한 여진 세력들을 명을 비롯한 외부 세력 사이에 펼쳐진 ‘중간지대’로 인식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은 여진 세력을 힘으로 제압하여 자국의 영향력 안에서 관리하고자 했다. 연산군·중종대의 조선은 기주위를 상대로도 이러한 기조를 바탕으로 대응하였다.
    기주위는 세조대의 ‘경진북정(庚辰北征)’으로 인해 두만강 유역을 떠나 압록강 이북으로 터전을 옮긴 모련위계 여진 세력이다. 조선은 연산군대 초반 압록강 변경 습격을 계기로 압록강 이북의 여진 세력들을 초유하면서 기주위의 존재와 실태를 파악했다. 기주위는 그간 조선에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여진 세력이었다. 그렇지만 조선이 기주위를 대하는 태도가 다른 여진 세력들과 특별히 구분되는 점은 없었다. 기주위 역시 조선의 영향력 아래에서 제어되어야 할 존재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산군·중종대의 조선은 이전과 같은 여진 대책 기조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사화와 반정으로 대표되는 내부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여진 대책을 주도하던 주요 인물들이 숙청당했으며, 사회·경제적 여건의 악화로 인해 이전과 같은 대규모 원정을 추진하기 버거웠다. 그럼에도 조선은 여진 세력을 상대로 주도권을 잃지 않으려 노력했으며, 이는 조선이 기주위를 상대하는 과정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은 기주위를 초유하여 그들을 자국의 관리 대상으로 포함시켰으며, 기주위가 조선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 하자 추장 왕산적하(王山赤下)를 제거하고 부락을 와해시킴으로서 우위를 과시하였다.
    그렇지만 기주위를 와해시킨 다음의 상황은 조선이 의도한 바와는 달리 여진인들의 거센 반발을 초래하였다. 기주위 잔당들은 왕산적하의 복수를 위해 조선의 변경을 습격하였으며 이는 결국 만포지변(滿浦之變)이라는 참극을 야기하였다. 따라서 조선은 피폐해진 변방을 수습하고, 여진 세력들의 동향을 면밀히 살피면서 그들이 조선의 영향력 밖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할 방안을 모색해야 했다.

    영어초록

    The Joseon dynasty, from its beginning, pursued a contamination policy against Jurchen(女眞) to stabilize the nothern border and tried to take the upper hand in its relationship with it. That policy continued until the 15th century.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governing system during the rule of King Sejong, Joseon intervened actively in issues related to Jurchen by the time of King Sejo and took the lead in their relationship. However, the relations turned unstable during King Seongjong’s regin. After the failure of conquest in Udike, Joseon could no longer maintain the proactive policy against Jurshen as before.
    Yet, Joseon’s containment policy was still in effect and some Jurchen tribes, who had sustained significant damage from Joseon’s expenditionary force, fled. One of them is Moryeonwi(毛憐衛) people who lived near the Tuman River and migrated to the north of the Yalu River, and another is Gijiwi. The Gijiwi people settled down near the Pajeo River, which was under control of Geonjusamwi(建州 三衛). They found the way to servive and thrive maintaining livelihoods with hunting, gathering, and plundering.
    It was Wangsanjeokha(王山赤下) who made known the existence of Gijiwi to Joseon. He provoked the youth of his village and stuck the nothern border of Joseon to take revenge on his relatives who were arrested and killed by Joseon. Joseon dispatched Dongcheongrye(童淸禮) to induce and keep them under its influence. By the time of King Yeonsangun and King Jungjong, due to domestic political conflicts and aggravation of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Joseon couldn’t take bold action against Jurchen tribes moved to the neighborhood of Four Abolished Guns (廢四郡). Wangsanjeokha‘s Gijiwi moved to Unjeongpyeong(雲井坪) area, north of Hyesanjin(惠山鎭), to gather the nearby Jurchen people and expand its power.
    Joseon took Gijiwi’s movement as a serious security therat that weakened its position and made the border unatable. Joseon attempted to excute Wangsanjeokha of Gijiwi, to restore its prestige and take a leading postion. Joseon, however, failed to prepare for retaliation from the Jurchen remnants and faced a huge resistance, such as in the Manpo incident(滿浦之變) in 1528 when Jurchen attacked Manpo(滿浦) and killed rhe governor. Therefore, Joseon had to retrieve the devastated nothern border and endavor to devise means to watch and keep Jurchen under its influ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