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주 천전리 서석의 大朗銘 검토 (A Study on the 'Daerang' in Seoseok, Cheonjeon-ri, Ulj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2
34P 미리보기
울주 천전리 서석의 大朗銘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61권 / 135 ~ 168페이지
    · 저자명 : 여성구

    초록

    大朗은 기존에 大郞, 혹은 大과 郞으로 나누어 보았으나, 명문은 大朗이 분명하다. 본고는 大朗을 화랑으로 보았던 견해를 재검토한 것이다.
    大郞은 大朗이 분명하지만, 俊朗은 俊郞으로도 표기하고, 인명으로서 滉朗・圓朗은 상용어로서도 쓰였다. 그러므로 大朗의 異稱으로서 大郞을 포함해 人名과 상용어의 쓰임을 모두 고려해야 했다.
    대랑명은 단 2글자의 단편적인 명문이지만, 그 실체와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려할 사항이 적지 않다. 大朗은 상용어의 의미로서 낙서(습자)이거나, 방명록과 같은 인명인가를 우선 살폈다. 일단 서석의 명문에서 그 실마리를 찾고자 했다. 첫째, 서석에서 ‘朗’자가 들어간 명문이고, 인명이 분명한 월랑명을 주목했다. 인명이라고 본 근거는 月朗명에 근거한다. ‘신해년 9월’이라는 방문 연월이 같은 芮雄명과 3인 동행의 명문들을 통해 月朗과 대랑의 出身을을 비교해 보았다.
    둘째, 서석에서 이름을 새긴 題名銘을 찾아 그 방식과 유형에 주목했다. 제명 방식은 이름만 새긴 제명, 방문일자+방문자명, 방문일자+방문자명+방문내용 등 세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이들 중 大朗은 첫 번째에 해당한 것이므로 다시 그 유형을 原名, 원명+郞, □+郞 등으로 나누어 보았다. 이들 중 대랑은 첫 번째에 해당하고, 원명만 새긴 서석명을 찾아보니, 승려이거나 이전에 화랑이었던 인물에게서 그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서석에서 화랑과 승려의 이름을 참고해 대랑과 차이점과 공통점을 확인해 보고자 했다. 郎徒라는 표현과 함께 등장하는 □郞은 대체로 화랑으로 볼 수 있고, 僧・法師라는 표현과 함께 등장하는 인물은 승려가 분명하다. 이러한 표현이 없는 인물 중에도 명문 내용을 통해 승려로 추정되는 인물들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大朗은 약칭이 아닌 原名이고, 출가자가 아닌 속가자라고 생각했다. 서석곡 방문 이전에 화랑을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방문 당시 화랑이라고 볼 수 없다. 서석곡 방문 당시 大朗은 화랑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past, Daerang[大朗] was divided into Daerang[大郞] or Dae[Dae] and Rang[Rang], but Seoseok's inscription[書石銘] is definitely Daerang[大朗]. This thesis is a reexamination of the view that Daerang was regarded as Hwarang.
    Daerang[大郞] is definitely Daerang[大朗], but Junrang[俊朗] is also written as Junrang[ 俊郞], and Hwangrang[滉朗]・Wonrang[圓朗] as a human name was also used as a common languag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Daerang[大郞] as an alias of Daerang[大朗], and furthermore, considered whether Daerang[大朗] is a human name or a common language.
    The inscription is a short two-letter word, but there are few things to consider in order to understand its substance and meaning. I looked to see if the daerang[大朗] was a graffiti as a commercial word meaning, or a name like a guest book. First of all, I wanted to find the clue in Seo Seok's inscription.
    First, I paid attention to Wolrang[月朗], which is a inscription with ‘rang’[朗] in Seoseok and has a clear human name. The basis of the name is based on Wolrang. I compared Wolrang and Daerang's origins through Yegwoong inscription[芮雄銘], which has the same time of visit as Wolrang and others, and visiting inscriptions of more than three people.
    Second, I looked for the inscriptions that carved the name in Seokseok and paid attention to its method and type. The method of engraving names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name’, ‘date of visit+visitor name’, ‘date of visit+visitor name+visit contents.’ Among them, Daerang is the first one, so the type was divided into ‘original name’, ‘original name+Rang’[郞], and ‘□+Rang’[郞]. Among them, Daerang is the first, and when I looked for Seoseok's inscription, who carved only the original name, I could confirm the type from the monk or the person who was formerly a Hwarang.
    Third, I tried to confirm the difference and common point with Daerang by referring to the names of Hwarang and monks in Seoseok. ‘□+Rang’[郞], which appears with the expression of Nangdo[郎徒], can be generally seen as Hwarang. And the characters appearing with the expressions of ‘Seung[僧]’ and ‘Bobsa[法師]’ are clearly monks.
    Among the figures without such expressions, I searched for the figures presumed to be monks through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s.
    As a result, Daerang was not an abbreviation[略稱] but an original name,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a monk. It is not known whether it was Hwarang before visiting Seoseokgok[書石谷], but it can not be seen as Hwarang at the time of the vis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