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예제폐지운동세력의 독자적 정치세력화 논쟁 재고(再考): 개리슨주의 대(對) 정치적 노예제폐지론 (Revisiting the Politicization of Abolitionism in Antebellum America: Garrisonianism vs. Political Abolitionis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6.11
37P 미리보기
노예제폐지운동세력의 독자적 정치세력화 논쟁 재고(再考): 개리슨주의 대(對) 정치적 노예제폐지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사연구 / 44권 / 29 ~ 65페이지
    · 저자명 : 허현

    초록

    미국 노예제폐지운동의 역사에서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William Lloyd Garrison)의 역할과 위치는 독보적이었다. 개리슨은 미국 혁명 전야부터 등장하는 오랜 노예제폐지운동 역사의 전기(轉機)를 이룬 인물로서 무보상 원칙에 기반한 즉각적이고 전면적인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였고 “백인공화국(the whiteman’s republic)”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 미국 내전 이전의 미국 사회에서 흑인들의 민권과 인종평등을 위한 영웅적 투쟁을 시작했던 선각자였다. 이러한 개리슨과 개리슨주의의 역사적 역할을 폄하했던 역사가들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개리슨과 개리슨주의의 역사적 중요성을 복원하고자 하는 역사가들은 개리슨의 평생에 걸친 노예제폐지운동이 인종주의와 노예제에 무감하던 미국인들에게 경종을 울렸고 노예제폐지론자들의 지평을 넓혔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노예제 문제에 대한 국제 사회의 인본주의적 관심을 이끌어내는 데도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고 평가하면서 개리슨의 노예제폐지운동이 미국 내전과 노예제 폐지에 미친 실질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분명하게 지적하고 있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개리슨과 개리슨주의에 상대적으로 집중되었던 역사가들의 관심은 개리슨주의의 역사적 라이벌이었던 정치적 노예제폐지론(political abolitionism)을 자연스레 무색하게 만드는 효과를 낳았다. 개리슨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차별적 현실 분석, 그리고 이로부터 나온 새로운 전술·전략적 고려 가운데 등장했던 정치적 노예제폐지론은 일부 역사가들에 의해서 북부의 정치·경제체제의 우월성을 이념화한 “반(反)남부론(anti-Southernism)”이나 “자유노동(free labor)” 이념과 부당하게 동일시되거나 인종주의적인 본질을 가지고 있었다는 부당한 비판을 받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개리슨주의의 토양 아래서 움텄던 정치적 노예제폐지론은 개리슨주의와 지속적인 긴장 내지는 경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상호보완 관계도 이루면서 미국 내전을 통해 미국 헌정질서와 인종질서를 전복시키는 데 일조했던, 개리슨주의 못지않은 혁명적 노예제폐지론이었다.
    사실 ‘노예제 폐지’라는 근본이념이자 절대목표를 공유하고 있었던 개리슨주의와 정치적 노예제폐지론의 역사는 단절적·차별적인 역사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두 노예제폐지운동세력 사이의 극단적인 대립과 갈등을 야기했던 제3 정당 창설을 통한 이른바 독자적 정치세력화 문제로 인해 상당히 이질적으로 묘사되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정치적 노예제폐지론자들에 대한 개리슨주의자들의 반감이 상당했던 것도 사실이지만 이것은 전술적 차이를 둘러싼 적대적 경쟁관계의 표현이었다기보다는 반노예제협회를 이탈한 정치적 노예제폐지론자들에 대한 일종의 실망감이나 배신감의 발로였다고 보는 것이 훨씬 더 타당하다. 당시 노예제 및 노예제세력의 영향력이나 위협을 고려해 보았을 때 독립적인 제3당 창설을 통해서든 휘그당과 민주당의 양대 정당에 대한 전방위적 압박이나 침투를 통해서든 노예제폐지운동세력이 독자적으로 정치세력화하는 것은 자연스런 전략적 방향이자 역사적 필연이었다. 노예제폐지운동세력의 독자적 정치세력화는 노예제 폐지를 근본 목표로 연방도망노예법 폐지나 노예제세력의 약화, 흑인차별법 폐지 및 워싱턴특별구의 노예무역 폐지와 연방 준주의 노예제 금지 등으로 노예제폐지운동의 전선을 확대하는 전술·전략적 고려의 자연스러운 결과물이었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개리슨과 그를 추종하던 개리슨주의자들이 노예제폐지운동세력의 독자적 정치세력화에 대해 무조건적이고 일방적인 반대만을 일삼았을 것이라는 가정하는 것은 정치적 감성의 심각한 부재를 인정하는 것이라고 밖에는 볼 수 없다.
    이 두 세력은 서로에 대한 견제 과정 속에서 각자 이념과 운동전술 간의 성공적인 긴장관계를 끝까지 유지할 수 있었다. 남부의 노예소유주 세력과 북부의 친노예제세력은, 비타협적인 투철한 이념성으로 무장한 개리슨주의자들과, 전술·전략적 다양성뿐만 아니라 정치적 유연성을 지녔던 정치적 노예제폐지론자들에 맞선 이중의 전선(戰線)을 구축해야 했고 이들로 인해 결국 연방 탈퇴와 내전이라는 강요된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이 두 노예제폐지운동 세력은 노예제 폐지 마지막까지 공존하는 가운데 노예제폐지론을 소수의 급진적 사회 전복 이론이 아닌 독립선언 이후 ‘새로운 자유의 탄생(a new birth of freedom)’을 주도했던 제2차 미국혁명이론으로 자리매김 시키는 데 성공했던 이 시대의 진정한 역사적 라이벌이었다.

    영어초록

    William Lloyd Garrison is the most famous individual in the American abolition movement, so much so that he and his radical abolitionism, that is, garrisonianism based on the principle of uncompensated, immediate abolition of slavery, has overshadowed other important abolitionist movement tradition: political abolitionism. Actually, the founders of the American Anti-Slavery Society considered political action a legitimate tactic. Yet their aversion to partisan politics and their confidence in the efficacy of moral suasion precluded adoption of all but such limited forms of political action as petitioning Congress and testifying before legislative committees. Confronted with a solid wall of Garrisonian opposition, those abolitionists who from the mid-1830 on insisted that a separate political party was imperative were forced to wage a bitter and prolonged struggle before they finally nominated a national ticket in April, 1840. They were confident that within several years an abolitionist party could carry the North while the Garrisonians believed that only by dramatically seceding from the major parties, the Whig and Democratic parties, could abolitionists arouse the American conscience and extract major concessions from those parties and slaveholders in the South.
    Considering the issue of independent political action of the abolitionists, it seems that these two abolitionist forces constituted a different or disparate history of abolitionist movement. But it was not the case. Although the political abolitionists increasingly directed their appeals to the interests of Northern whites, for example, by arguing that as long as slavery existed most Northern politicians would remain subservient to the Southern wings of their parties, they also continued to emphasize that emancipation remained their sole objective. None the more, Garrison’s anti-political point of view did not blind him to the values of politics as an antislavery device. Clearly, Garrison and his followers realized that, in addition to the abolition of slavery, they could not neglect other antislavery issues such as fugitive slaves, gag rule, annexation of Texas, and slave trade. In short, they needed to politicize their abolition movement.
    Given their common interest in the abolition of slavery and politicization of abolitionism, Garrisonians’ deep-rooted antagonism to the political abolitionists did not result from Garrisonian tactical point of view on the independent third party politics but from their sense of disappointment or betrayal at the desertion of the political abolitionists from the original Garrisonian circle. Politicization of abolitionism was the natural and most powerful product of the antislavery tactical consid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