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동대지진, 소문과 증언과 문학 (Kanto Earthquake in Korean Literature —Rumor, Testimony and the Locus of Literature—)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12
46P 미리보기
관동대지진, 소문과 증언과 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71호 / 199 ~ 244페이지
    · 저자명 : 권보드래

    초록

    관동대지진기 조선인 학살에 관한 문서 대부분은 학살의 잔혹상을 증언하는 내용이다. 사건 자체에 대한 증언을 넘어서 사건이 개인의 삶과 공동체의 향방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질문되고 구성된 일은 드물다고 하겠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인 학살 관련 문학 텍스트를 통해 증언 이상의 문학화 시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김기진의 에세이와 김동환의 서사시, 그리고 정우홍의 소설과 송영의 소설·희곡을 다루되 관동대지진 관련 일본 텍스트 등과의 교차를 통해 그 의미를 입체화하려 했다. 김기진의 에세이(「마음의 폐허」) 등은 관동대지진 체험을 인류화·보편화한다는 점에서, 김동환의 장편 서사시 『승천하는 청춘』은 남녀간 사랑을 통한 학살 경험의 승화·초월을 기도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바 있다. 정우홍의 「진재전후」와 송영의 1923년 배경 소설 및 희곡은 대지진 경험을 좀더 긴 시간축에 위치시키면서 트랜스내셔널한 연대의 가능성을 재구성하려고 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김기진·김동환이 ‘숭고’의 전략을 구사한다면 정우홍·송영은 ‘연대’의 가능성을 시사함으로써 대지진기 경험을 문학화한다. 돌이켜보건대 당시 문학에서 대지진을 직·간접적으로 다룬 텍스트 중 학살의 잔혹상 자체를 초점으로 한 종류는 거의 없다. 검열로 인한 난관을 고려해야겠으나, ‘증언 이후’를 생각해야 할 현재 시점에서는 이들 텍스트를 회피나 우회로 평가하기보다 대지진기 경험을 그 시공간적 제한성을 넘어서 의미화하려 한 시도로서 기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massacre of Koreans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is an event that still casts a deep shadow over East Asia although 100 years have passed. Since 1945, through the dedicated efforts of many scholars and civic groups, a significant number of testimonies have been collected and recorded, making up most of the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the massacre of Koreans. As such, many of the documents created about this incident testify to the brutality of the massacre. Beyond the testimony of the incident itself, it is rare to be questioned and constructed what it had been in the afterliv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examine attempts to approach a variety of literary responses to the massacre rather than few commitment to testimony. To this end, I picked up Kim Ki-jin’s essay, Kim Dong-hwan’s epic poem, Jeong Woo-hong’s novel, and Song Young’s novel and play, and placed them in the intersection with texts of Japanese writers or voices from contemporary Korean-Japanese. Kim Ki-jin’s essay (“Ruins of the Heart”) universalizes the experience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as a revolutionary one, while Kim Dong-hwan’s long epic poem “Ascending Youth” prays for the sublimation and transcendence of the such a terrible experience of massacre through love. It is also noteworthy that Jeong Woo-hong’s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and Song Young’s 1923 background novel and play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possibility of transnational solidarity by placing the experience along a longer time axis. While Kim Ki-jin and Kim Dong-hwan use the strategy of ‘sublimity’, Jeong Woo-hong and Song Young recollect the experience by contemplationg upon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All of them refused or evaded a representation of the massacre as nothing but a brutal genocide, but transformed it into a bitter but reflected experience for a rebirth of a nation and the world. This might be primarily due to censorship and their efforts were not successful, but we need to think about “a path beyond testimony” through these examples. In this sense, it is recommendable to remember these texts as an attempt to reappreciate the earthquake and the massacre rather than denying these texts as avoidance or detou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