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조대 의례 정비와 ..春官通考.. 편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ceremonies and the Compilation of Chungwantonggo in the Era of King Jeongjo)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1.06
56P 미리보기
정조대 의례 정비와 ..春官通考.. 편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38호 / 97 ~ 152페이지
    · 저자명 : 송지원

    초록

    조선시대 國家典禮는 국가의 최고 정치적 수장으로서의 국왕이 주체가 되어 행한다. 이때 행례의 범위는 국가 운영과 관련된 예 전반을 아우른다. 국가전례 시행 주체로서의 국왕의 위상은 매우 특별한데, 이는 그가 천명을 받아 나라를 이끌고 토지, 인민을 다스리는 존재이며 절대 至尊이라는점과, 조선 사회의 예제, 명령, 국가정책의 최종 결재권자라는 위상과 관계가있다. 이러한 점에서 국가전례 시행의 주체는 곧 국가이기도 하다. 조선왕실에서 행해진 국가전례도 같은 맥락에서 바라볼 수 있다.
    정조대의 국가전례서 ..춘관통고..는 조선에서 행해진 주요 국가전례의 특징과 그 역사적 맥락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전적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춘관통고..에 기록된 다양한 의례들 자체가 정조대의의례는 물론 조선에서 행해졌던 주요 국가전례의 전모를 드러내 주기 때문이다.
    ..춘관통고..에 ‘今儀’로 기록되어 있는 여러 의례들은 정조대에 처음으로시행된 의례이거나 영조대의 ..국조속오례의.. 이후에 시행된 의례, 혹은 조선 전기부터 시행되었지만 儀註가 마련되지 않아 정조대에 그 의주의 틀을마련한 세 가지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좁게는 하나의 중요한 사건, 혹은 행사가 이루어질 때 그것을 기록으로 남기는 정조의 태도와 관련하여 생각해볼 수 있으며 그와 같은 사실은 나아가 정조대 문헌의 특징을 이루게 된다.
    정조는 조선왕실에서 일어난 주요 행사들 대부분을 의례화하여 기록으로 남겼다. 예컨대 의례가 시행되었음에도 그것이 전례서에 기록되지 않았던 의례도 모두 기록하였기 때문에 조선의 주요 국가례들이 국가전례서에 낱낱이기록되었고 그러한 추이를 ..춘관통고..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정조의 이와 같은 태도에 대하여는 조선중화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선도 있으나 그 이면에는 장악되지 않는 국가를 완전히 장악해야 한다는 일종의 압박 속에서 나온 정조의 초조함이 간간이 엿보이기도 한다. 모든 의례(행사, 사건)를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국정 운영의 움직임을 낱낱이 확보하고자 하는 태도의 일단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춘관통고..는 조선이 ‘기록 강국’이라는 평가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는 문헌임에 분명하다. 다만 그것에 편찬에 그치고 刊行까지 이르지 못했다는 점은 여전히 아쉬움으로 남지만 다양한 컨텐츠를 확보하면서 시행된 국가전례의 전모를 공시적으로, 통시적으로 상세히알 수 있도록 기록해 놓는 ..춘관통고..의 기록 방식은 정조대 문헌이 그 어느시기에 비해 한 발 앞서 나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Reading Chungwantonggo 春官通考 complied in the era of King Jeongjo of the Joseon dynasty helps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key ceremonies of the royal family of Joseon dynasty and historical context at once, since various royal ceremonies written in Chungwantonggo give the entire picture of key ceremonies of the royal family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during the rule of King Jeongjo.
    Ceremonies written in Chungwantonggo as Geumui 今儀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ose which were performed during this rule for the first time, those which were put in place since Gukjosogolaeui 國朝續五禮儀 of the King Yeongjo era, and those which had been performed from the early Joseon era without Euiju 儀註 and for which King Jeongjo laid foundation of Euiju. This relates to the fact that King Jeongjo tended to make records of an important occasion or event whenever it happened. King Jeongjo formalized and recorded most of Joseon’s royal occasions. For example, he ordered the recording of all the ceremonies which used not to be written before, so Chungwantonggo shows how those royal ceremonies were written in a national ceremonial book in detail.
    Although some see his attitude like this from a perspective of the Joseon-centrism 朝鮮中華主義, we can say it hints at his pressure and hitters to take full control of the country at the same, because it seems that he wanted to record all the details of the administration relative to the royal ceremonies by making records of all the ceremonies (events and occasions).
    In short, Chungwantonggo is clearly seen as literature proving how Joseon deserves the assessment as ‘a recording power.’ Unfortunately, the work was complied and not published, but it contains various contents, and the way it was written well describes all the details of the royal ceremonies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which is very significant in that the literature in the era of King Jeongjo is more advanced than any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