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세조대 말엽의 정치적 추이 (Political Trends during the Late Portion of King Sejo’s Reign in Jose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6.08
38P 미리보기
조선 세조대 말엽의 정치적 추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60호 / 67 ~ 104페이지
    · 저자명 : 김순남

    초록

    본 논문은 1467년(세조13) 원상제의 실시 전후로 나타난 군신관계의 동요 속에서 함길도에서 일어난 이시애 난을 계기로 권력의 재편이 이루어졌고, 그것이 결국 세조 사후 권력 투쟁으로 귀결되었던 정치적 추이를 확인하려는 것이다. 세조 집권 중반을 넘어서면서 1453년(단종 원)의 정난에 함께 했던 공신들의 불경 행위가 잇달아 일어나자 세조는 그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세조는 한명회, 신숙주로 대표되는 공신들에게 君君臣臣의 정치적 경고를 할 필요성을 느꼈는데 마침 1467년(세조13) 5월 이시애가 함길도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세조는 이시애 난에 연루되었다는 풍문을 계기로 가혹한 처벌을 통해 종래의 공신들에게 경종을 울렸다. 그러는 한편 종친과 문․무신 중에서 자신이 신임했던 참신한 인물들을 전면에 대두시켰고, 이들은 적개공신에 책봉되었다. 신구공신간의 대립이 예견되는 속에서 세조가 승하하자 곧이어 양 세력 간의 정치적 투쟁이 벌어졌다. 그 결과는 이후 더욱더 강력해진 ‘공신의 시대’를 이끌어내면서 성종대까지 영향을 미쳤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political trends during the late portion of the reign of King Sejo. A restructuring of power occurred as a result of the Rebellion of Yi Siae that broke out in Hamgil-do amid the turbulence that emerged with regards to relations between the sovereign and subjects. This turbulence was in turn caus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Wonsangje(Government by Elder Statesmen) system in 1467(13th year of King Sejo) and eventually resulted in the power struggle that surfaced after the death of King Sejo. Throughout the middle portion of his rule, King Sejo became keenly aware of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tinuous insults and disrespectful actions of the meritorious retainers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coup of 1453(first year of King Danjong). In accordance with the notion of Gungunsinsin君君臣臣(king acting like a king and a subject like a subject) King Sejo felt the political necessity of putting meritorious retainers such as Han Myeonghoe and Sin Sukju on warning.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Yi Siae ignited a rebellion in Hamgil-do(May 1467, 13th year of King Sejo). King Sejo raised alarm bells among the existing meritorious retainers by meting out severe punishment to those rumored to have been involved in the Rebellion of Yi Siae. In addition, King Sejo also brought in fresh figures from the royal family as well as the ranks of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whom he trusted, installing them as Jeokgaegongsin(敵愾功臣, Meritorious retainer for their distinguished contribution during the Rebellion of Yi Siae). The political struggle between these two groups broke out in a full-fledged manner following King Sejo sudden passing at the height of the growing conflicts between the new and old meritorious retainers. The effects of this power struggle continued to be felt until the reign of King Seongjong, in the process leading to the epitome of the ‘era of meritorious retai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