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헤이안시대 수군의 존재 여부 (On the Existence of Naval Forces in the Heian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8
38P 미리보기
일본 헤이안시대 수군의 존재 여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38호 / 257 ~ 294페이지
    · 저자명 : 김현경

    초록

    일본의 고대 水軍 중에서도 헤이안시대(平安時代)의 수군에 대해서는 이전 시기에 비해 중앙의 국가적 수군력이 후퇴했다는 의견이 있으며, 고대 수군 자체가중세의 해적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본격적인 수군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육군과 분리되어 편제됨으로써 별도의 명칭을 가지며, 병선을운용하여 전술적으로 사용하는 군사 조직을 수군으로 정의하고, 이전 시대 수군과의 비교를 통하여 헤이안시대 수군의 존재 여부를 밝힌다.
    먼저 헤이안시대 수군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난 속수상 군사력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스미토모의 난에서는 관군이 해적 세력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기 때문에 바다 위나 해안부에서 주로 전투가 발생하였으나, 대부분의 전투는 육지에 상륙한 이후에 벌어진 것으로 묘사되었다. 배를 사용한 전투에서도 水夫가 조종하는 배에 육상의 전투원이 탑승하여 적의 배를 탈취하거나 전투불능에 빠뜨리는 방식으로 전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수상 군사력은 기본적으로육지에서 활동하는 전투원들이 바다나 강이라는 지역적 특성에 맞추어 배를 사용하였던 것으로 수군에 특화된 집단은 아니었다.
    이어서 당시 수상 군사력의 편성과 지휘관 구성을 이전 시대와 비교해 보았다.
    7세기의 대외 원정군은 船師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수군적 능력을 갖춘 호족 출신인물이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한편 8세기에 기획된 신라 원정군에서는 지휘관들이 수군과의 연결성을 갖고 있지는 않으며, 국가의 군사력이 육상 군대를 기본으로삼는 군단으로 편성되고, 대외 진출보다는 방어에 집중하게 되면서 고대 수군의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수군이 사용하는 선박도 평시에 수송 등 여러 용도로 사용하던 것을 필요에 따라 병선으로 전환시켰다고 볼 수 있다. 대외적 위협에대응하는 해안 방어도 적의 상륙을 저지하는 방식으로밖에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러한 소극적인 경비를 담당하는 군사 집단에게는 별도로 ‘수군’의 호칭을 붙일 만한 제도적 구분이 존재하지 않았다. 헤이안시대 말기에야 해상에서 활동하는 바다의 무사단이 대두하고, 중세 시대에 이들을 국가적 차원에서 동원하는 수군 조직이등장함으로써 본격적인 수군이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national naval forces in the Heian periodhave retreat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the naval forces ofancient Japan are considered to be different from the pirates of medievalJapan, and not to be full-scale naval forces. In this study, ‘naval forces’ isdefined as the military organizations which is separated from the army,using military ships.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istence of naval forcesin the Heian period, and to make their characteristics clear by comparingthem with those of the pervious era.
    First, we examined the activities of naval forces in Fujiwara no Sumitomorebellion. In Sumitomo’s rebellion, government forces fought against thepirates. Therefore, battles usually took place on the sea or on the coast. Butmost of the battles were described as occurred on land. In battles usingships, combatants on land boarded the ships, which were controlled by theseamen, hijacking enemy ships or putting them out of action. These forceswere basically combatants operating on land, not a naval-specific group.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e foreign expeditionary forces of 7thcentury were called funaikusa(forces of vessels), and persons from the clanwith naval capabilities were appointed commanders of foreign expeditionary forces. Meanwhile, in the expeditionary forces to invade Silla, which wereplanned in the 8th century, commanders did not have a connection with thenaval forces. The national military forces were ostensibly based on landforces, putting defense above foreign expedition, so that there were somechanges in the ancient naval forces. Vessels of the naval forces wereoriginally used for transportation during peacetime, converted into warships.
    Coastal defense in response to external threats was only made in a way ofpreventing enemies from landing, and there was no institutional distinctionof giving the name of “naval forces” to the military group in charge of suchpassive security. At the end of the Heian period, the warriors on the seaemerged, and in the Middle Ages of Japan, the naval organization thatmobilized those warriors at the national level began to form a full-fledgednaval for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