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下代 北宗禪의 동향 (BukJongSeon in the latter period of Sill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04
35P 미리보기
新羅 下代 北宗禪의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18호 / 69 ~ 103페이지
    · 저자명 : 정선여

    초록

    景德王代 神行에 의해 신라에 소개된 北宗禪은 당시 왕실세력의 관심을 받으며 전개되었다. 그러나 惠恭王代 신행이 입적하고 중대 왕권의 단절로 인한 정치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傳法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憲德王代 南宗禪이 소개된 이후 중국과 마찬가지로 북종선은 남종선에 흡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신라 하대 북종선의 존재를 확인해볼 수 있어 주목된다. 먼저 헌덕왕대 神行碑가 건립되었다. 신행비는 신행 제자들의 활동과 金獻貞과 그의 누이인 헌덕왕비가 후원을 하여 건립되었다. 따라서 신행 입적 이후 북종선은 그의 제자들을 통해 계승되었고 김헌정 가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성주산문과 희양산문을 개창한 無染과 道憲의 수학과정에서도 북종선과 관련된 내용이 발견된다. 무염은 북종선 승려에게 처음 출가하였다. 도헌은 화엄종으로 출가한 후 북종선을 수학하였다. 이처럼 무염과 도헌에게 북종선이 사상적 영향을 주었다는 점은 신라 하대 선종의 전개과정에 있어 중요한 사실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 헌덕왕대 지리산과 설악산 지역에서 북종선 승려들이 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헌이 입적한 헌강왕대까지는 북종선이 하대 선종계에서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신라 하대 북종선이 존재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먼저 북종선은 사상적으로 敎宗과 그다지 큰 충돌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단월세력들의 후원이 중요하게 작용하였을 것 같다. 김헌정이 헌덕왕대 북종선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이후 禮英系는 선종에 대한 이해가 깊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김헌정의 후손인 景文王系 왕실이 선종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후원을 해주었던 모습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경문왕계는 선종승려들에 두루 관심을 가졌으며 특히 북종선과 연관된 무염과 도헌에 대해 더 큰 관심을 갖고 후원을 해 주었다. 이러한 모습이 나타나게 된 원인은 여러 가지로 논의되고 있지만 무엇보다 그 가계의 선조인 김헌정이 북종선의 단월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 우선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선종에 대해 일찍이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당시 불교계와 정치사회적 상황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영어초록

    The Bukjongseon, which was introduced by Sinhaeng(神行) under the reign of King Kyeongdeok, expands its influence receiving the attention from the royal family of that time. But after the death of Sinhaeng during the reign of King Hyegong, it may have a hard time to preach between the political and social chaos caused by a rupture with royal authority in the middle period of the Kingdom. Also it may be absorbed into Namjongseon(南宗禪) which was presented under the reign of King Hundeok, the same as in the China.
    However, the trend of Seonjong(禪宗, Zen) in the latter part of the kingdom shows the existence of Bukjongseon at least till the period of King Heongang. First, they elect the monument commemorating Sinhaeng during the reign of King Hundeok with the support of the disciples of Sinhaeng, Kim Heon-jeong and his sister, the Queen of Hundeok. Thus Bukjongseon seems to be succeeded to by its disciples and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of Kim Heon-jeong.
    The study of Muyeom(無染) and Doheon(道憲) who create seongjusanmun (聖住山門) and Huiyangsanmum(曦陽山門) each, also shows connection with Bukjongseon. Muyeom joins Bukjongseon from the beginning as a monk, Doheon joins Hwaeomjong(華嚴宗) first and then studies Bukjongseon. It is important to note to the expansion of Seonjong that Muyeom and Doheon were affected ideologically by Bukjongseon.
    Mt. Jiri and Mt. Seorak provide the ground for the monks of Bukjongseon under the reign of King Hundeok. Bukjongseon seems to occupy a certain position among Seonjong until the period of King Heongang when Doheon was dead.
    Then, what makes Bukjongseon go down till the latter part of the Sillla Kingdom? First, it doesn’t make a conflict with Gyojong(敎宗) ideologically. Next, it gains the support of a Danwol party. After it had close relations with Kim Heon-jeong under the reign of King Hundeok, the Yeyoung party comes to have deep knowledge of Seonjong. In particular, Seonjong gains full support and interest from the royal family of King Kyeongmun party, a descendant of Kim Heon-jeong.
    The royal family of King Kyeongmun party has broad interest in the monks of Seonjong, especially Muyeom and Doheon who were related to Bukjongseon. The reason for this trend is widely discussed. But it seems to be affected by that Kim Heon-jeong, an ancestor of the family,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ember of Danwol party. That is, his deep knowledge of Seonjong helps him to clear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as well as Buddhism.
    The early part of Namjongseon takes the place in the region influenced by Bukjongseon in the latter part of the Kingdom. Also Bukjongseon affects the monks of Seonjong idealogically.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Bukjongseon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expansion of Seonjong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King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