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中宗代의 북방 野人 驅逐 (The Joseon dynasty’s Strategy of Pushing Back the Jurchens Militarily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09
36P 미리보기
조선 中宗代의 북방 野人 驅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54호 / 53 ~ 88페이지
    · 저자명 : 김순남

    초록

    이 연구는 1524년(중종 19)에 조선의 여연ㆍ무창 지역으로 들어온 야인들을 조선의 경계 밖으로 내쫓았던 군사작전에 관한 것이다. 1459년(세조 5) 4군이 모두 폐지된 이후, 인민이 거주하지 않는 울창한 삼림이 되어버린 여연ㆍ무창의 안팎으로 야인들이 들어와 거주하자, 조선 정부는 1510년(중종 5)의 삼포왜란과 같은 환란이 북방에서도 발생할까 우려했다. 결국 수년간 수차례에 걸친 논의 끝에 야인들을 조선의 영토 밖으로 쫓아내었다. 이 군사작전의 성과는 괄목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구축 이후에도 야인들은 해당 지역으로 들어와 살기를 계속했고, 조선 군사와 야인은 무력으로 충돌했다. 그러한 과정에서 1528년(중종 23) 북방의 문호인 만포의 첨사가 야인에게 살해되기까지 했다. 이후 조선정부는 武臣 邊將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변방의 방어를 강화했으며, 심지어 야인 정벌을 도모하기도 했다. 이 연구에서는 야인 驅逐을 통해 중종대 북방 정책의 실상을 밝혀내고자 한다. 이에 먼저 사군이 모두 폐지된 이후의 해당 지역 상황과 그 지역에 야인들이 거주하게 된 경위를 살피고, 다음으로 폐사군중 특히 여연ㆍ무창으로 들어와 거주했던 야인들을 쫓아내는 군사작전을 결의하는 조선 정부의 논의 과정과 실제로 작전이 단행되었던 추이를 알아보며, 마지막으로 야인들을 쫓아낸 이후의 조선 정부의 대응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군이 철폐된 이후 방치되었던 조선의 영토를 보존하고자 했던 조선 정부의 능동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북방대책을 국가의 중대사로 여겨 재상급 국방 전문가들이 주도했었던 종래 국정운영의 양상이 중종대에도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als with the military operations conducted in 1524 (19th year of King Jungjong) to push the Jurchens, who had invaded the Yeoyeon and Muchang areas, back over the border with Joseon. The Jurchens’ invasion and occupation of the Yeoyeon and Muchang areas, which had consisted of inhabited forest land ever since the abolishment of the four garrisons(sagun) in 1459(5th year of King Sejo), had the effect of setting off within the Joseon government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crises such as the Japanese Disturbance in Sampo(Sampo waeran of 1510 (5th year of King Jungjong). After numerous discussions over a span of several years, Joseon decided to forge ahead with its plan to drive the barbarians out of its territory. However, the results of this military operation were rather inconclusive, as barbarians continued to cross over and even take up residence in these areas. It was amidst such circumstances that clashes between the Joseon military and barbarians became commonplace. In 1528 (23rd year of King Jungjong), the governor(cheomsa) of the Manpo region that served as the gate way to the northern area was killed by Jurchens. Having become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dispatching military of ficials to the area, the Joseon government strengthen edits defense system along the northern border, and even began to make plans to conquer the Jurchen areas.
    Based on a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strategy of controlling the Jurchens, this study seeks to reveal the actual features of the northern policy in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First, the situation in the relevant areas after the abolishment of the four garrisons is examined, as i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Jurchens began to take up residence in the areas. Next, an analysis of the discussions within the Joseon government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military operations, as well as of the actual military operations that ended with the driving out of the Jurchens who resided in the Yeoyeon and Muchang areas, is carried out. Finally, an examination of the policy of the Joseon government in this area after the Jurchens had been driven out is also attempted. The examination of these actions points to the proactive stance adopted by the Joseon government in terms of the preservation of a part of its territory that had all but been ignored since the abolishment of the four garrisons. In addition, such an analysis also confirms the fact that the traditional national management style, under which the northern policy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national policy that should be led by minister-level defense specialists, was also in effect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