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武王代 6部체제와 益山 (6Bu(部) system of king Mu's and Ik s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08
27P 미리보기
武王代 6部체제와 益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34권 / 211 ~ 237페이지
    · 저자명 : 민병승

    초록

    관산성전투 이후 위덕왕은 약화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대외관계에서 정세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면서 한강유역과 가야지역을 상실한 고립국면을 벗어나려고 하였다. 대외관계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내정치상황이 안정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대외관계가 14년 이후에 주로 등장하는 것을 보았을 때 이 시기까지는 대내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대외적인 관계를 통하여 왕권을 안정시켜 나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국내적인 왕권의 안정은 사서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능산리사지와 왕흥사지 사리함을 통하여 위덕왕이 부왕의 추복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여 나아간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처럼 위덕왕대는 왕권이 점차 안정되어 가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무왕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익산세력으로 비정하는 것보다는 위덕왕대의 왕권강화와 관련하여 위축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익산지역에도 세력을 형성하고 있던 대성팔족 중의 하나인 사씨세력과 협력을 통하여 대외적인 관계에 활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백제는 신라와의 대립상황에서 우위을 점하기 위하여 대성팔족인 사씨세력과의 협력과 경제적 도움을 받기 위하여 노력했을 것이다. 이를 입증하는 것이 최근에 발굴된 ‘六阝五方’銘木簡이다. 이 목간에 의하면 백제의 행정구역이 五部에서 六部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발굴된 유물의 하한연대가 6세기 중엽으로 볼 수 있는 것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위덕왕대부터 익산을 경영하여 나아갔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익산경영은 관산성전투 패배 이후 약화된 왕권과 지방지배를 강화하기 위하여 귀족세력과의 협력이 필요하였다.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미륵사 창건이었다. 미륵사의 창건은 彌勒寺址舍利奉安記를 통해 보았을 때 사씨세력의 경제적 기반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도성의 사씨세력의 거점을 개편하면서 도성의 행정구역이 五部에서 六部로 개편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전라남도 지역을 장악하면서 옛 가야지역에 진출하면서 획득한 경제력과 익산세력의 편입은 『三國遺事』 武王條의 백성의 인심을 얻어 왕위에 올랐다는 기록과 황금을 쌓았다는 기록으로 남았던 것이 아닐까 한다.
    그러나 무왕대 후반에는 사비지역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日本書紀』에 나타나는 의자왕 원년에 일어난 정변기사와 이후에 사씨세력 보다는 신진세력들이 등장하는 것을 통해 보았을 때 사씨세력과의 협력관계가 종식되었을 것이고 이는 익산경영이 지속되지 못하는 결과를 가지고 왔을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the battle of castle Gwansan King Weduck wanted to get out of the isolation by losing the region of Han River and Kaya and responded to changes in the situation of foreign relations in order to strengthen weakened royal authority. But foreign relations are actively made to stabilize the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must be achieve.
    Regarding mostly foreign relations that emerged after 567, until 567 King Weduck solved domestic problems and stabilized royal authority through foreign relations. The domestic stability of the throne was not appeared in history book, but King Weduck strengthensroyal authority through lamentations of his father as a Neungsanri and Wangheungsaji.
    Like this, era of Weduck royal authority gradually was stabilized. If so, King Weduck would have taken advantage of indigenous Iksan forces rather than King Mu in order to strengthen King Weduck's royal authority in realistic relation of strong relationships with Silla.
    But tomb's style of Jeonbuk remained traditional tomb's styleuntil 5C~6C, such as Jar-Coffin tombs. Through these facts, indigenous forces in this region are maintaining force unlike central forces. Therefore, Baekje needed Iksan forces in order to take advantages of the situation of confrontation with Baekje and Shilla andtriedto incorporate indigenous forces of Iksan as a central force. Recently excavated wooden tablets written that Six Bu Five Bang(六部五方) prove it. According to this wooden tablets, administration of the Baekje changed Six Bu(六部) from Five Bang(五部). Thus, capital of Baekje administered as Five Bang through other wooden tablets excavated in Puyo(扶餘). Therefore, what Six Bu(六部) organized in other areas have the possibility. But Subumyung(首府铭)tiles and Obumyung(五部铭)tiles that represent capital were appeared in Sabi wanggungri ruins. In addition, because the lower limit of relics the era of the mid-6th century are appearing, Six Bu(六部) could be organized from King Weduck's era.
    Economic forces that acquired when Baekjae advanced to old Kaya(伽耶) region and incorporation of Iksan could be record as "get a throne by gaining the hearts of the people" and "gold was stacked" in the king Mu documented in Samkukyusa(『三國遺事』). But Baekjae still had interest in the region in King Mu's era. Iksan forces were incorporated to the central forces, but they failed to grasp political initiative was expected. Also, through fact that a political change record of King Uija's first year in Nihon Shugi(『日本書記』) and what forces could not emerged to assume as Iksan forces, we could know that Iksan management was not pursuing after King Mu's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