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仁祖代 전반 問慰行 연구 (The Research on Munwihaeng in the Injo's first half time on the thron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04
42P 미리보기
仁祖代 전반 問慰行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35호 / 123 ~ 164페이지
    · 저자명 : 이상규

    초록

    問慰行은 1620년대부터 1860년대까지 260년 이상 지속해온 조일간 외교사절이었다. 역관이 정사가 되어 상・중・하관을 인솔하여 대마도주가 에도에서 還島한 것을 위로하고 關白의 경조사를 축하・조위하는 목적으로 대마도로 파견되었다. 17세기 중반까지 木綿 紛爭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목적으로 또는 야나가와(柳川) 사건을 정탐하는 일로서, 硫黃貿易에 답례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이 글은 17세기 왜학역관의 활동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문위행으로 분야를 넓혀서 서술된 것이다. 17세기 문위행의 활동 중에서 인조 초반기에 주목하였다. 이 시기에는 공목분쟁이 격화되면서 동래부 훈도・별차가 담당한 공목 회계가 제대로 인수인계되지 않거나 대마측에 未收公木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문위행이 파견되었다.
    제도면에서 고찰한다면 문위행은 1606년에 全繼信 등이 회답겸쇄환사 파견 전에 對馬의 실정을 파악하고 돌아온 것을 선행적 형태로 잡기도 한다. 武人 출신으로서 일본 사정에 밝은 전계신은 1617년 회답겸쇄환사의 파견을 앞두고 대마의 실정을 탐문하는 사자로 지명되었다.
    조선은 국가 경영의 차원에서 긴급한 일이 생겼을 때 일본에 도움을 요청한 적이 있었다. 광해군대에 명나라 사자를 응대하기 위해 倭館의 은을 차용한 일이 있었고 회답겸쇄환사가 받아온 答禮銀을 宮闕營建 비용에 충당하기도 하였다. 李适의 선봉군을 막지 못하여 왜관에 무장력을 요청할 것을 검토하였고, 정묘호란을 당한 후 성능 좋은 일본산 鳥銃을 사기 위해 對馬島로 譯官을 보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올 정도였다.
    역관사행으로서 문위행은 조선이 대일관계에서 공무역품의 결제 수단으로 쓴 목면을 미지급하는 사태가 심해져서 인조대 이후 대마측이 공목분쟁을 제기할 때에 나타난다. 1629년 대마 사자인 겐포(玄方)가 上京했을 때 정묘호란 후 조선의 실정을 탐색할 목적도 있었지만, 光海君代에 받지 못한 목면을 일괄하여 받아가려고도 하였다. 이때 미지급된 목면 600同이나 드러나서, 인조 정부는 역관 등의 사절을 보내 대마측의 불만을 무마하려고 나섰다.
    1629년 문위행 邢彦吉・崔義吉 등은 6개월 전에 겐포가 요구한 600동을 지급유예하기 위해 대마로 갔다. 도주가 에도에서 還島한 것을 위로할 목적도 있었다. 1631년 문위행은 2년 전에 약속한 목면 600동을 지급할 수 없게 된 사정을 설명하고 1614년 공목을 유예하기 위해 대마로 파견되었다. 당시 島主와 야나가와씨 간 분쟁이 생겨서 출발이 지연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1632년 문위행은 도주가 귀환한 것을 위로하고 쇼군의 喪에 조위하고 야나가와 사건의 탐색하기 위한 목적을 띠었다. 이 때는 목화 흉작이 겹쳐서 당년 목면 지급분도 주지 못할 정도가 되어 대마측에 미수공목을 무마하기가 더욱 곤란해졌다. 1635년 문위행은 역관 洪喜男과 馬上才를 에도로 보내서 야나가와 세력에 고립되어 곤궁해진 도주를 변호하였다. 홍희남은 쇼군이 여러 가지로 회유하고 협박했지만 시종일관 도주의 처지를 옹호하였다. 1636년 문위행은 1년 전 사행에 이어져서 도주가 야나가와 분쟁에서 승리한 것을 축하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특히 1635년에는 홍희남 일행이 귀로인 대마도에서 대마 무역선의 渡海 횟수를 감소하는 협상 兼帶制를 타결시킨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야나가와 사건은 1636년 통신사 외교로서 종료되지만 목면 분쟁은 심각도가 날로 더해져갔다. 동래부의 역관들이 목면을 지급하는 회계를 하지 않고 이임하거나 파직・처벌당하여 목면 분쟁의 파고는 갈수록 높아졌다.

    영어초록

    Munwihaeng(Trip for foreign affairs for condolence) was a delegation for foreign affairs which was continued more than 260 years from 1620 till 1860 between Chosen and Japan. It was despatched to Tsushima for the purpose of condolence for withdrawal of head of Tsushima to Aedo and congratulate・expression of condolence in constitution that the interpreters became the head of delegation and led the upper・middle・low officials. It had the purpose to appease the cotton conflict until the mid of 17th century or detect the Yanagawa affairs and to respond to the sulfur trading.
    This article described the widened field to Munwihaeng in the course of studying the activities of Japanese-language interpreters in 17th century. The beginning of King Injo was focused out of the Munwihaeng in 17th century. The Munwihaeng was despatched to appease the unclear hand over for the accounting of cotton which was in charge of Hundo・Buylcha in Dongrae Administration at the cotton conflicts emerged or the dissatisfaction for the unpaid cotton to Tsushima.
    The Munwihaeng was interpreted the return after survey the environment of Tsushima before dispatching the courtesy envoy by Gae Shin Jun as an advanced system if it is considered in terms of institution. Gae Shin Jun who was a military officer and learned in the environment of Japan was appointed as a messenger also to detect the mood of Tsushima before the dispatching of the courtesy envoy in 1617.
    There was a case to request the assistance to Japan in case of emergency in terms of national management level. Once the silver of the Japanese Administration was borrowed to treat the messenger from Myung country during the times of King Gwanhaegun and the gift of silver received by the courtesy envoy was used for the management and construction of government. The request to Japanese Administration for the armed force was reviewed because the minion army of Gwal Lee was not protected. Even there was an opinion for sending the interpreter to Tsushima to buy the high performance Japanese firelock after the Jungmyohoran (War with Chinese in year of Jungmyo).
    The Munwihaeng led by interpreter was appeared at the suggestion of the cotton since King Injo as the cases of unpayment were frequent for the cotton which will be used for payment tools in the relation with Japan by Chosen. The entry to capital city by the messenger from Tsushima on 1629 was to received the lump sum payment for the cottons which were not paid during the times of King Gwanghaegun not only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the status of Chosen after the Jungmyohoran. The Injo Administration tried to soothe the dissatisfaction of Tsushima by sending the interpreter as the unpayment for the 600 Dongs of cotton was appeared.
    The Munwihaeng such as Ungil Hyeong and Euigil Choi went to Tsushima on 1629 to delay the payment for the 600 Dongs requested by Genpo six months ago. Also it was purposed to present the condolence for the head of island to return from Aedo. The Munwihaeng was despatched Tsushima to explain the situation for the unpayment for 600 Dongs which had been promised 2 years ago and to delay the payment for cotton of 1614. The event of delayed start due to the conflict between the head of island and Yanagawa was occurred.
    The Munwihaeng on 1632 was intended to present condolence the return of the head and participate to the funeral of Shogun and to detect the Yanagawa conflict. At that moment, the situation was worse to soothe the unpayment for the cotton to Tsushima side as the corresponding year portion payment for the cotton due to the bad harvest. The Munwihaeng on 1635 defended the head of island who was isolated poorly by the Yanagawa power by sending Hinam Hong and Masangjae to Aedo. Hinam Hong was conciliated or threatened in many ways, but he defended the situation of head of island always. The Munwihaeng on 1636 was despatched to celebrate the head's winning at the Yanagawa conflict in connection with the dispatching of 1 year ago. Especially, the point that the delegation of Hinam Hong finalized the negotiation system to reduce the frequency of crossing the sea by the trading ship of Tsushima at Tsushima on the way back has to be emphasized.
    The Yanagawa conflict was terminated by foreign exchange of the communicator on 1636, however the seriousness of the cotton conflict became deteriorated. The movement or dismissal or punishment of the interpreter in Dongrae Administration without performing the payment accounting for cotton made the aftermath of the cotton conflict more seri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