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肅宗~英祖代 왕비․왕세자빈廟見 의례의 정치성 -明代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Political aspect of the Queen and Crown princess’s Myohyun(廟見) ceremony at Jongmyo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and Yeongjo -Comparison with Ming Dynasty’s cas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9.12
37P 미리보기
肅宗~英祖代 왕비․왕세자빈廟見 의례의 정치성 -明代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91호 / 75 ~ 111페이지
    · 저자명 : 신진혜

    초록

    묘현은 신부가 親迎한 날로부터 사흘 째 되는 날 주인을 따라 家廟를 알현하는 의식으로, 『家禮』에 수록되어 있었다. 중국 고대에는 왕후나 부인이 태묘의 일에 관여한 기록이 남아있었지만 조선에서는 『國朝五禮儀』를 정비할 당시 왕비와 왕세자빈이 종묘에 묘현하는 예를 수록하지 않았다. 왕비와 왕세자빈이 종묘에 들어가게 된 것은 조선후기 숙종 22년에 숙종의 뜻에 따라 왕세자빈이 묘현하는 예를 정비하면서부터였다.
    숙종대의 왕실 묘현은 『明會典』과 『明集禮』를 참고하면서도 조선의 국왕 춘전알 의례를 접목하여 정비하였고, 배우자와 더불어 종묘를 뵙는 형식을 띠었다. 하지만 영조 4년에 시행된 효장세자와 효순현빈의 묘현에는 영조가 동행하면서 국왕을 매개로 삼아 왕세자와 세자빈이 종묘의 역대조를 뵙는 형식을 띠게 되었다. 영조 20년에 시행된 사도세자와 혜경궁의 묘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는데, 이러한 형식은 『속오례의』 편찬시기와 맞물리면서 정법화되었다.
    조선에서의 왕비․왕세자빈 종묘 묘현 시행은 여성이 종묘에 알현하게 되었다는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변화였다. 하지만 조선 왕실의 왕비․왕세자빈 묘현은 국왕을 정점으로하는 문무백관과 종친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시행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며느리’가 된다는 의미의 사가 묘현이나 ‘내외명부의 수장’이 된다는 의미의 명 황실 묘현과는 의미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조정의 중심축을 온전히 국왕에게만 두고자 했던 의도가 상징적으로 표현된 것이기도 했다. 따라서 조선 왕실의 종묘 묘현은 왕비․왕세자빈이 왕실․조정에 포섭된다는 정치적 속성이 반영된 의례였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Myohyun(廟見) was a part of wedding ceremony which was included on Zhuxi’s Jiālĭ(家禮), a bride visits the ancestral shrine. Myohyun ceremony for royal women, especially the queen and crown princess, was not modified during early Joseon dynasty. The first Myohyun ceremony of Joseon dynasty was for the crown princess and it was composed during the 22nd year of King Sukjong reign because of King Sukjong’s strong will. It was designed and composed based on Mínghuìdiǎn(明會典)․Míngjílǐ(明集禮) and the Joseon king’s Jongmyo visiting ceremony. After the first royal Myohyun ceremony, it legislated by King Yeongjo. Because of legislation, the queen and crown princess could access the Royal Ancestral shrine, the Jongmyo(宗廟), with king, and it was meaningful transition. Nevertheless, the queen and crown princess’s contact with the royal ancestors were only fulfilled through king. Compared with the same ceremony, Myohyun of Ming dynasty, the empress of Ming visited Royal Ancestral shrine(太廟) with royal concubines and high government official’s wives. The emperor was not accompany with her and it symbolized the empress was the head of all women in the country.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Joseon Queen’s Myohyun ceremony, the king and his government officials accompanied with her. This ceremony symbolized that the queen became the king’s ‘wife’ rather than the head of women. It means Joseon’s royal Myohyun ceremony showed that the queen and crown princess were subordinated to the king and bureaucr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