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조대 정약용의 경학 연구 방법 (Jeong Yak-yong’s Studying Method of Confucian Classics During King Jeongjo’s Reig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5.08
26P 미리보기
정조대 정약용의 경학 연구 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24호 / 115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문식

    초록

    이 글은 정조대에 정약용이 작성한 경학 저술에 나타나는 연구 방법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약용은 성균관 유생과 규장각 초계문신의 자격으로 정조가 주도하는 강의에 참석했고, 『中庸講義』, 『熙政堂大學講義』, 『中庸講義』, 『詩經講義』, 「孟子策」, 「十三經策」, 「中庸策」, 「論語對策」 등을 작성했다. 이는 정조와 규장각 각신이 질문하고 정약용이 답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정약용은 焚書坑儒 이후의 經文은 완전하지 않다고 보았고, 여러 책에 보이는 경문의 잔편을 수집하여 經으로 經을 해석하는 방법을 중시했다. 정약용은 『시경강의』을 작성할 때 제일 먼저 유교 경전과 역사서에 나타나는 『시경』 구절을 뽑았다. 이들은 잔편에 불과하지만 『시경』 연구의 주요 자료가 되었다.
    정약용은 「十三經策」에서 역대 주석을 모아 연구에 활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정약용은 『중용강의』와 「논어대책」에서는 주자의 주석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수준에 머물렀지만, 『시경강의』에서는 역대의 주석을 망라하고 특히 淸의 학자인 毛奇齡의 저술을 집중적으로 인용했다. 정약용이 이렇게 한 데에는 정조가 방대한 자료를 동원하여 질문했기 때문이다.
    정약용은 경문과 주석을 집성하여 글자의 뜻을 파악하면 경문에 대한 자기 견해를 밝혔다. 정조대의 경학 저술은 국왕의 질문에 따라 답변했기 때문에 경문과 주석을 모으는 사전 작업이 충분하지 못했다. 유배기에 정약용은 자신의 이전 견해를 수정하거나 보완했다.
    이처럼 역대의 주석을 집성하여 經文의 뜻을 파악하면 주자의 견해는 주석 가운데 하나에 불과했다. 정약용이 주자의 견해를 대폭 수용하지만 그의 견해에 매몰되지 않은 것은 이런 연구 방법 때문이었다. 정약용의 경학 연구 방법은 시간이 갈수록 정밀해졌고, 정조대의 경학 연구는 이후 연구의 토대가 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written to research a Jeong Yak-yong’s method of study appeared on his writings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during King Jeongjo’s reign.
    As a Confucian student studying in Seonggyungwan and a Chogye-munsin belonged to Kyujanggak, Jeong Yak-yong could attend King Jeongjo’s lessons. In that times, he compiled many writings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Jeong arranged King Jeongjo’s questions and Gaksin belonged to Kyujanggak’s questions and his own answers on these writings.
    Jeong thought there were no perfect Confucian Classics after burning books on the Chinese classics and burying Confucian scholars alive. So he stressed on gathering the shattered bodies of Confucian Classics and translated a Confucian Classics using with the gathering bodies. When he compiled the Sikyung-gangeui(詩經講義), he gathered the shattered bodies of the Book of Odes appeared on the Confucian Classics or the Chinese old history books first of all. Even if these bodies were tiny pieces, they could be good data to study the Confucian Classics.
    Jeong stressed on gathering the footnotes of all time on Sipsamkyung-chaek(十三經策). He just used the footnotes of Zhu Hi’s on Jungyong-gangeui(中庸講義) and Noneo- daichek(論語對策), but he could use the all footnotes of the Book of Odes on Sikyung-gangeui and he quoted frequently the Mao Qi-ling’s footnotes. Mao was the scholar working in Qing Dynasty. Jeong used various footnotes of the Book of Odes because King Jeongjo questioned him with many footnotes.
    After knowing the meaning of a Confucian Classics’s characters with gathering bodies and footnotes, Jeong Yak-yong stated his own views. During King Jeongjo’s reign, Jeong couldn’t have enough time to gather the bodies and footnotes of Confucian Classics, he answered in accordance to King’s questions only. After the King’s death, he had a chance to modify and supplement his previous views.
    Jeong Yak-yong regarded Zhu Hi’s footnotes as one of many footnotes of all time, so he couldn’t be buried in Zhu Hi’s views. Jeong Yak-yong improved the studying method of Confucian Classics little by little. Jeong Yak-yong’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during King Jeongjo’s reign became the important foundation of his later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