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가야 고총체계와 왕묘 (A Study on High Mound Tomb System and Royal Tombs of Daegay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4.12
44P 미리보기
대가야 고총체계와 왕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18호 / 7 ~ 50페이지
    · 저자명 : 김용성

    초록

    고령과 그 인근 합천의 일부지역에 분포하는 대가야 고총은 고령 쾌빈리 목곽묘에서 발전하여 성립된 것으로 5세기 초 지산동 73호분에서 시작되었다. 세장방형의 수혈식석곽을 기조로 한 대가야 고총은 지산동 73호분과 75호분의 과도기를 거쳐 5세기 전반 지산동 30호분과 35호분 단계에서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고, 5세기 후반 이후 44호분과 45호분과 같은 복잡한 초대형 묘로 발전한다. 대가야 고총은 묘곽의 배치에서 특이한 모습을 보이는데, 주부곽과 순장곽의 수나 그 배치 형태에 따라 5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주곽의 구조도 3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가장 복잡한 것의 경우 석곽의 내부에 目자형의 목곽을 설치하고 그 중간 칸에 피장자를 배치하여 다른 지역, 특히 신라의 고총과는 구별된다.
    대가야 고총이 정형화된 모습을 갖춘 뒤 5세기 후반에는 대가야 권역의 각지로 확산되어 대가야의 고총체계가 성립된다. 이때 대가야식 고총이 축조된 지방으로는 합천 옥전, 거창 말흘리, 함양 백천리, 남원 월산리와 두락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신라의 고총체계와 비교하면 늦어도 5세기 말 혹은 6세기 초에 대가야가 지역 수준을 넘어 광역의 영역을 가진 정치체인 초기국가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해 주는 것이 주산성의 남쪽 능선에 열을 지어 분포하는 대가야의 왕묘이다. 그것의 배치 양상은 당시 동아시아 제국의 왕묘 배치와 비견되는 것으로 대가야의 국제성을 드러내 준다. 그러나 대가야는 신라와 같이 율령을 가진 고대국가로는 발전하지 못하고 신라에 복속되어 지산동에서 고총의 축조는 막을 내린다.

    영어초록

    The high mound tombs of Daegaya(대가야), located in some areas of Goryeong(고령) and near Hapcheon(합천)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Goryeong Koebinri(쾌빈리) wooden outer coffin tomb. The first high mound tomb, Jisandong(지산동) No.73 was built in the early fifth century. This high mound tomb in the early phase exhibited rectangle and consisted of vertical digging wooden outer coffin with stone. After passing the intermediate stage, Jisandong No.73 and No.75, the typical style of Daegaya high mound tomb(stone outer coffin tomb), as exemplified by Jisandong No.30 and No.35, had been established during the first half of fifth century. The typical style had been developed to a more complex and far larger form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fifth century, as seen by mega-sized but sophisticated No.44 and No.45. The high mound tombs of Daegaya have a peculiar arrangement of wooden outer coffin, and the arrangement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main·subordinate stone outer coffin and sacrificial stone outer coffin or their configuration. The structure of main outer coffin is further grouped into three types. The most complex type of them are distinguished from high mound tombs located in other areas, in the way that they have 目-shaped wooden outer coffin inside stone outer coffin and buried a main person(or coffin) in the middle space of wooden outer coffin.
    In the late fifth century after the typical style being established, high mound tombs expanded their sites over the wider area of Daegaya such as Hapcheon Okjeon(옥전), Keochang(거창) Malhelli(말흘리), Hamyang(함양) Baekcheonri(백천리), and Namwon(남원) Wolsanri(월산리) and Durakri(두락리), and thus it is deemed that the system of Daegaya high mound tomb had been established around that time. The comparison with the system of Silla(신라) high mound tomb suggests that, no later than the late fifth century or the early sixth century, Daegaya reached at the phase of the early state, which is marked by a political system with a considerably large territory. This is strongly supported by the royal tombs of Daegaya that was arranged along the southern ridge line of Jusan(주산) castle. Its arrangement can rank with that of East Asia empires back then. This hints at Daegaya's international relationship with other nations. Daegaya, however, could not be developed sufficiently enough to become a legitimate ancient nation with a statute like Silla. Eventually Daegaya was incorporated into Silla, and accordingly, was forced to end its constructing of high mound tom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