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대 학문후속세대의 여성학하기: 전남대 여성연구소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Doing’ Feminism in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at Local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experience at the Women's Research Institute)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08
42P 미리보기
지방대 학문후속세대의 여성학하기: 전남대 여성연구소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여성연구 / 61권 / 2호 / 205 ~ 246페이지
    · 저자명 : 추주희

    초록

    이 연구는 2008~2021년까지 지역 대학에서 여성학을 공부하고 연구한 학문후속세대의 경험을 중심으로 지역에서 여성학하기의 노력과 전략들 및 한계들을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 여성연구소에 활동하였거나 실무 간사로 활동했던 젠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필자와의 경험을 함께 나누고 기억하는방식의 자아문화기술지를 활용하였다. 지방대 여성연구소는 학문적 제도적 공간의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고립과 배제가 정당화되는 공간으로 작동하였다. 지지적인페미니스트 학자의 부재, 페미니스트 학술 커뮤니티의 불연속성 속에서 여성연구소안에서의 여성학하기와 실천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옹호하는 많은 페미니즘적 원칙들이 먹혀들지 않는 상황 속에서 느끼는 회의적인 감정은 안정적이고 일상적인 연대와 연합이 없는, 조직된 집단적 노력이 불가능한 대학의 구조적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페미니즘에 대한 대중담론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학문공동체의 위기와 지역 대학의 여성학 및 젠더 연구의 정체를 극복하기 위해서 현재의 게토화된 학문 구조와 대학체계에 대한 비판과 성찰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the efforts, strategies, and limitations of gender studies at local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who studied gender studies and feminism from 2008 to 2021.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gender researchers who were active in the local gender research institute or as working assistants, and autoethnography was used to share and recall the researcher's individual experiences. The Women's Research Institute at the local university provided stability as an academic and institutional space, but at the same time operated as one where isolation and exclusion were justified. In the absence of supportive feminist scholars and the discontinuity of the feminist academic community, the study and practice of feminism within the Women's Research Institute was bound to be limited. In a space that wasn’t advocating feminist principles, a sense of skepticism arose: “What did we decided to do feminism for?” This led to abandonment and emotional despair of at the structural level of the university in which organized collective efforts were impossible without stable and consistent solidarity. Despite the spread of public discourse on feminism,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current ghettoized academic structure and university system are needed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e stagnation of gender studies and feminism at local univers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