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대 ‘대나무’ 도상의 상징에 대한 고찰 - 「聲畵集」의 ‘대나무’ 제화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mbols of bamboo icon in bamboo paintings - Focused on 'bamboo' Ti-hua-shi(題畵詩) in 「Sheng-hua-ji(聲畵集)」)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9.06
28P 미리보기
송대 ‘대나무’ 도상의 상징에 대한 고찰 - 「聲畵集」의 ‘대나무’ 제화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35호 / 471 ~ 498페이지
    · 저자명 : 서은숙

    초록

    본고는 그림에 제하거나 그림을 대상으로 한 題畵詩의 특성에 비추어볼 때 墨竹의 형상성이나 형상 과정이 잘 묘사될 수 있다고 여겨, 宋代 제화시를 수록한 대표적 제화시집인 「聲畵集」에 실린 ‘대나무’ 제화시를 통해 북송대 이후 묵죽화의 발전 양상과 그것의 도상학적 의미를 살펴본다.
    묵죽화 발전 양상과 그 유형을 살펴보면, 북송대에는 당시 御府에 148축의 묵죽화가 있었다고 전해질 정도로 묵죽화가 성행했다. 화면 속에 등장하는 묵죽의 모습, 즉 그림 속의 ‘도상’은 와룡처럼 누운 橫竹이나 교룡처럼 굽은 紆竹이 많이 등장하고, 특히 많은 대나무가 겨울에 서리를 맞고 서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송대에 오면 ‘대나무’ 도상에 대한 인식은 유가적 이상형인 군자라는 보편적 인식과 더불어, 대나무를 자기표현의 한 수단으로 여기고 문인사대부 특유의 문인성을 표현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게 된다. 그 결과, 전업화가들이 丹靑과 形似에 몰두해 그린 대나무가 아니라 문인 사대부 즉 자신들이 ‘묵죽’을 창작하고 감상하는 것을 최고로 여겼다.
    묵죽에 대한 송대 문인사대부의 애호와 관심에는, 유가적 이상형인 군자 외에 시련에도 불요불굴하는 의지의 구현자이자, 부귀와 공명이 아니라 사회를 위해 도덕적인 책임과 문화적 과제를 온전히 수행할 수 있는 진정한 ‘문인성’의 체현자라는 인식이 그 바탕에 깔려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how bamboo paintings developed and what is the iconographical meaning of them through bamboo Ti-hua-shi(poems on paintings) found in Sheng-Hua-Ji, a leading compilation of Ti-hua-shi(poems on paintings) of Song Dynasty. Bamboo paintings give shapes in a simpler and more direct way in drawing, which means bamboo paintings reveal concretely more characteristics of Ti-hua-shi (poems on paintings).
    Bamboo paintings, which flourished during Northern Song Dynasty, often had the image of the dragon, specially a lying dragon or a winding dragon, which suggests a great man in obscurity. Snow-laden bamboos were also a symbol of a great man, very wise man in Confucian tradition. This shows Confucian ideal examples were embodied through bamboo paintings.
    Another aspect of bamboo paintings is that bamboo paintings were regarded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which identified Confucian sadaebu (scholar-officials) who advocated simplicity and austerity in their life. Contrary to professional painters, who added color and decoration to their paintings, Confucian scholars of Song Dynasty reduced color and embellishment in their bamboo paintings in black-and-white to reveal their own identity, focusing on spirituality rather than the image itself. Therefore, drawing and appreciating bamboo paintings were highly respectable pastime among the literati of Song Dynasty.
    In short, Bamboo paintings in Song Dynasty were not only a Confucian symbol of a wise and virtuous man but also reflected the taste of Song sadaebu class who thought of bamboo as a symbol for moral and cultural responsibility of Confuci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