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불교의 역경과 대장경 편찬 -송(宋)과 고려의 대장경 편찬을 중심으로-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of East Asian Buddhism and creation of the Tripitaka - Focusing on the creation of the Tripitaka of Goryeo and Song Dynasty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04
34P 미리보기
동아시아불교의 역경과 대장경 편찬 -송(宋)과 고려의 대장경 편찬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55호 / 109 ~ 142페이지
    · 저자명 : 박용진

    초록

    본고는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에서 인도 성립의 외래사상인 불교가 중국에 수용되면서, 그 사상의 원천인 불교 경전을 번역하여 경록을 편찬하고, 이를 통하여 대장경을 조성한 전반적인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불교사상과 정전화라는 측면에서 역경국가인 송나라와 이를 수용한 비역경국가인 고려의 대장경 조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송대의 대장경 조성은 『대중상부법보록』, 『천성록』, 『경우신수법보록』을 중심으로 역경과 경록의 편찬 전반을 살펴보았다. 송대의 역경은 비중역(非重譯)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243부 574권이 역출되었다. 그 가운데 대승의 경・율・론이 165부 448권이고, 대승경은 대부분 비밀부이며 123부 228권으로 인도 밀교 수용과 관련이 있다.
    송대의 역경과 대장경 편찬의 특징은, 기존 사본 대장경의 정리를 통한 북송관판대장경[북송장]의 조성이 선행되었고, 이후 역경원을 두어 역경 사업을 진행한 점이다. 이 사업을 통하여 번역된 경전은 황제의 칙허를 거쳐 입장하는 한편 대장경의 정장을 보속하는 속장으로 간행되었다. 이러한 역경과 대장경 편찬은 국가 관리를 통한 규정성과 통일성을 갖추어 정전화(正典化)된 것으로 이해된다.
    고려의 불교 경전에 대한 정전화 과정은 송나라 대장경 수용과 후속의 경전을 입장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초조장과 재조장의 구성과 입장 경전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고려는 역경을 통한 경록의 제작이나 입장은 없었고, 북송장의 정장과 속장의 수용을 통하여 대장경을 조성하였다. 고려시대의 대장경 조성은 초조장과 재조장으로 나뉘며, 재조장은 1,498종 6,573권이었다.
    고려의 대장경 수용과 전개는 대장(大藏)과 교장(敎藏)으로 구분되며,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의 대장경과는 그 구성에 있어 일부 차별적이고 독자성이 있다. 이러한 고려의 대장경 수용과 편찬을 통한 정전화 과정은 북송장과 또 다른 고려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과정과 전개에 해당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transl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the compilation of the Canon catalogs(經錄), and the creation of the Tripitaka. Also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osition of the Tripitaka of Song Dynasty and Goryeo Dynasty.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The composition of the Song Tripitaka(北宋藏) has been examined in terms of the "Xiangfulu(祥符錄)," "Tianshenglu(天聖錄)," and "Jingyoulu(景祐錄)". The translation of Song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non-duplication, and 243 copies of 574 volumes were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ion and the Tripitaka collation of Song are as follows. The Beisongzang(北宋藏) was made through the Kaiyuanlu Tripitaka(開元錄藏). Since then, the Song Dynasty has carried out a translation project with its business office Yeoggyeong- won(譯經院).
    The process of Canonization the Buddhist scriptures of Koryo is related to acceptance of the Song Tripitaka and subsequent entry into the scriptures. This was analyz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Goryeo Tripitaka-Chojojang(初雕藏) and Jaejojang(再雕藏) and scriptures included. Goryeo did not include the production of the Canon list through translation into classical Chinese, and created the Tripitaka Koreana through the acceptance of the Jungjang(正藏) and Sokjang(續藏) of the North Songs.
    Tripitaka recognition of Goryeo had recognized to be divided into groups constituted by <Tripitaka with a focus on Sūtras, Vinaya, Abhidharma śāstras, the three divisions of the Buddhist canon and Kyojang with a focus on Commentary, Courtesy and Biography etc>. In Goryeo, it was deployed Goryeo-daejanggyung(高麗大藏經:the Korean Tripiṭaka) and Goryeo gyojang(高麗敎藏). In East Asia Buddhist community, this is the uniqueness and particularity with the Goryeo-daejanggyu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