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순진리회 수행의 실제 (The Actuality of Daesoonjinrihoe Practi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4.04
30P 미리보기
대순진리회 수행의 실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종교연구 / 30권 / 30호 / 261 ~ 290페이지
    · 저자명 : 정지윤

    초록

    모든 종교에는 각기 궁극적으로 지향하거나 추구하는 종교적 이상과 목표가 있다. 이때 종교적인 수행(修行)은 해당 종교의 교인들이 그러한 이상과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실천하고 노력하는 일체의 행위들을 가리킨다. 수행이 이상세계를 향한것이긴 하지만 그 출발은 현실과 밀착되어 있어서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과 극복이곧 수행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대순진리회 수행의 유형적 방법으로 ‘훈회(訓誨)와 수칙(守則)’, ‘포덕(布德)과 교화(敎化)’를 간과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현재 대순진리회는 일부 수도인들이 도법에 어긋나는 방법(거리포덕)을 취하여사회적인 물의를 일으킴으로서 부정적인 이미지로 비춰지는 부분들이 있다. 이는지난 46년 동안 급격한 양적 성장을 맞이한 대순진리회가 자체 정비 시간을 제대로갖지 못했던 점과 수도인들이 대순진리회의 종교적 이상과 목적에 대한 이해 부족이란 점에서 실제적 수행법인 포덕에서 몇몇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했다고 보인다.
    그러므로 대순진리회의 수행에 관한 바른 이해는 그 종교의 이상과 목표에 관한 이해로부터 설명될 때 충실해질 수 있으며, 수행의 실제적 방법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그 의미가 올바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대순진리회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상생세계’와 이상적 인간으로서의 ‘도덕군자’의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았고, ‘상생세계’에 사는 ‘도덕군자’가 되기 위한 유형적 수행의 방법으로서 ‘훈회와 수칙’ 및 ‘포덕과 교화’에 주목하였다.
    대순진리회의 유형적 수행이 추구하는 것은 결국 상생의 법리에 부합하는 생활화다. 이것은 곧 인간이 인존으로서의 ‘도덕군자’가 되는 것이고 후천선경으로서의 ‘상생세계’를 현실에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생활 속의 수행으로서 ‘훈회와 수칙’, 도덕 실천의 수행으로서 ‘포덕과 교화’를 바르게 실천할 필요가있다. 본 논문은 대순진리의 이상과 목표에 관하여 다시 한번 되짚어보는 유의미한작업이 될 것이며 여기서 다루는 수행의 실제적인 방법들 역시 바른 수행으로 다가서기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every religion, there is a religious ideal and objective which itaims or pursues on an ultimate ground. Here, the religious practicedesignates the whole behaviors which practises and strives forrealizing the ideal and objective. Yet, despite its directivity towardsideal world, the starting point of practice lies in reality. Practice isthe thing which adheres to the real world while solving andovercoming the problems of reality. Thus, practice should not beisolated from, nor be disregarded irrespective of reality. With thisoutlook in mind, I propose that we can neither overlook theimportance of commandments, ethical principles, nor propagation oredification.
    At present, Daesoonjinrihoe is shone a negative image in thatsome cultivators are active in propagating contrary to the ordinancesof Do. On the one hand, it is because Daesoonjinrihoe could notsecure enough time to reflect its own way to development due tothe rapid quantitative growth of 46 years. On the other hand, lackof understanding of cultivators on the religious ideal and objectivewhich Daesoonjinrihoe attempt to realize should be the other reasonthat they have committed disgraceful behaviors in the course of their propagation which should be an actual method of cultivation.
    Therefore, the right understanding on the practice of Daesoonjinrihoecan be obtained faithfully when it is explained from the ideal andobjective of this religion, and the right meaning on the actual methodof practice can be conveyed in that context. To achieve this goal,firstly, I have overviewed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world andhuman being that Daesoonjinrihoe is ultimately aiming at. ‘Theworld of mutual beneficence’ as an ideal world, and ‘the moral manof its virtue’ as an ideal man provides for the normative justifiabilityfor an actual practice. Secondly, I have focused on commandments,ethical principles as well as propagation and edification as an actualpractice to become a ‘moral man of virtue’ living in ‘the world ofmutual beneficence.
    In conclusion, the aim of practice in Daesoonjinrihoe is makingResolution of grievances to the mutual beneficence of all life andRepaying gratitude to the mutual beneficence of all life. By makingthese principles the basic way of life, man can become ‘moral withone’s own virtue’ and to realize ‘the world of mutual beneficence’as an earth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in reality. To achievethese objectives, one has to perform a ‘propagation’, ‘edification’ aswell as ‘commandments’ and ‘ethical principles’ as an actual practicein life.
    With this critical min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work retracing its steps to reflect on the ideal and objective, andthrough this reflexion, it is also hoped that the actual method ofpractice can strengthen its basis to edge closer to the right practicein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종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