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조·성종대 정몽주 인식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Seongjong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08
34P 미리보기
세조·성종대 정몽주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57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김보정

    초록

    본고는 조선 전기 성리학 이해과정을 살펴보려는 일환으로써 세조․성종대의 정몽주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사서는 당대의 인식을 보여주는 척도이며, 그 시대 편찬자의 사관을 잘 반영하고 있다. 세조․성종대 편찬된 관찬사서인 국조보감과 동국통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조대 국조보감의 편찬자, 즉 신숙주 등 8인의 정몽주 인식은 실록에 비해 상당히 많은 부분이 배제되어 그들의 정치성향과 무관하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성종대 동국통감의 편찬자는 서거정 중심의 훈척과 표연말․최부 등 사림으로서, 이들의 정몽주 인식은 사뭇 달랐다. 세조대 공신이자 훈척인 서거정은 필원잡기에서 농(弄)을 빌어서 정몽주를 폄하하고 있는데 비해, 김종직의 문인인 표연말․최부 등은 신편 동국통감에서 정몽주의 절의를 칭송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사서(史書) 진강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세종대 경연과 달리 성종대 경연에서는 새로이 고려사를 진강한다. 고려사에 수록된 정몽주의 칭송기사를 발췌하여 신편 동국통감에 수록한 사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성종대 사림은 정몽주를 ‘절의지사’ 라고 칭한다.
    그러므로 세조․성종대의 정몽주 인식은 세종대 삼강행실도의 ‘충신’에서 중종대 문묘종사의 ‘성현’으로 숭배되는 과정에 있으며, 성종대 사림의 정몽주 인식은 ‘절의지사’ 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Seongjong Dynasty through the compilers of Kukjobogam and Dongguktonggam. Through the eight compilers of Kukjobogam such as Sin Suk-Ju, it had proved the fact that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 Dynasty were excluded in Kukjobogam unlike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Because Kukjobogam was written by focused in achievements and good words of the Kings, the articles for Jeong Mong-Ju were also partially omitted. This was found out being related to political opinions of eight persons such as Sin Suk-Ju.
    As the results about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ongjong Dynasty through the compilers of Dongguktonggam, there were distinctions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King’s relatives and the recognition of Sarim such as Pyo Yeon-Mal and Choi Bu. Seo Keo-Jeong who the King’s relatives in Sejo Dynasty have banteringly denigrated Jeong Mong-Ju through Pilwonjabki. It was a look that reflects from the regency by the queen mother in the initial Seongjong Dynasty and the political affairs by Chancellors.
    However the government styles were changed through the reorganization systems by Chancellors,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were gradually changed by appointed Sarim from the management the affairs of state in Seongjong 7th Dynasty. During the lecture, only Jeong Mong-Ju and Gil Je were mentioned as ‘Jeoleuijisa’, and the recognition about ‘Jeoleuijisa’ was changed as severely remonstrated persons in usual not urgent crisis.
    In the basis of this perception change, the lecture of history books was played an important role. Unlike Sejong Dynasty, Goryeosa was lectured twice, and Hanseo was lectured before and after the compilement of Dongguktonggam. As a result, Dongguktonggam in the Seongjong 16th Dynasty have been compiled by attaching 204 pieces of Shinsaron. Dongguktonggam was included the contents to honor the achievements of Jeong Mong-Ju in Goryeosa by Choi Bu and Pyo Yeon-Mal. Although Dongguktonggam in the Seongjong 16th Dynasty have coexisted the recognition of Hunchuk and Salim,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have been represented as the ‘Jeoleuijisa’ recognition of Salim.
    Therefore,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 Seongjong Dynasty was in the process of being worshiped as ‘Saint’ for Jeong Mong-Ju in discussions of Confucian shrine in Jungjong Dynasty from the recognition as ‘Loyalty’ for Jeong Mong-Ju in Samkanghaengsildo of Sejong Dynasty, and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of Salim in Seongjong Dynasty could be defined as ‘Jeoleuiji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