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祖代 四書疑 試題 小考 (A study on the examination question of saseoui(四書疑)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12
43P 미리보기
正祖代 四書疑 試題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37권 / 35 ~ 77페이지
    · 저자명 : 윤선영

    초록

    본 논문은 정조대에 시행된 과거 시험 문제 가운데 사서의(四書疑) 과목으로 출제된 66제(題)에 대한 연구이다. 정조대의 사서의 시제는 『경외제록(京外題錄)』과 『사마방목(司馬榜目)』, 당대의 시권(試卷)을 통해 볼 수 있었으며, 수록의 방식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사서의 시제는 비슷한 체제를 갖추고 있었는데, 그 내용은 자의(字意) 및 개념어(槪念語)의 서술에 관한 의(疑), 개념어의 선후고하(先后高下)에 관한 의(疑), 문장 간의 논리에 관한 의(疑), 이치와 실제의 동이(同異)에 관한 의(疑) 등으로 다양하였다. 특별한 의(疑)를 담고 있지 않고 특정 구절에 대한 경의(經義)를 설명하라는 시제 또한 있었는데, 이는 오경의(五經義)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나아가 대책문 가운데 경의를 묻는 경책(經策) 및 『홍재전서』의 경사강의(經史講義) 어제조문(御製條問)과 체제 및 내용을 간략히 비교해보았는데, 전체적인 체제는 유사하였으나 그 목적과 대상의 차이로 인하여 내용상에는 차이점이 있었다. 사서의 시험은 경문의 전체적인 요지를 꿰뚫는 이치를 파악하고, 경문이 서술된 전후의 맥락과 당대 환경 및 실제 고사와 사실 등을 두루 섭렵해서 학자들이 경문 내면에 갇히지 말고 보다 넓은 시각으로 경서를 이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던 듯하다. 앞으로 조선 전(全)시기의 시제 고찰 및 제문(製文)에 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sixty-six questions that appeared in a subject test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Questioning on the Four Books” (Saseoui 四書疑),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Test questions that appeared during his reign are also found in Gyeongoe jerok(『京外題錄』) and Sama bangmok(『司馬榜目』), as well as in surviving scrolls of the exam papers, with some various styles of inclusion. The test questions were similarly structured regardless of their variety and included subjective questions on: existing narratives to define a character or terminology; the chronology and the status of a term; the logics between two sentences; and a theory’s correspondence with or divergence from the reality. Sometimes the questions demanded no subjective answer but simple elaboration of definitions of a word or meaning of a phrase, showing little difference from another test subject, “Meanings of Five Classics” (Ogyeongui 五經義). For another test subject, “Written Countermeasures” (Daechaekmun 對策文), a brief analysis of “Countermeasures from the Classics” (gyeongchaek 經策) was conducted in comparison to King Jeongjo’s writings, namely “Gyeongsa gangui (經史講義)” in Hongjae jeonseo (『弘齋全書』), and Eoje jomun(御製條問). Although the excerpts were similarly structured in all three texts, their contents varied depending on the publication purpose and the target reader. Overall, the Saseoui section appears to be designed to induce examinees to comprehend the classical texts in a comprehensive scope rather than sticking to words, by grasping the main context throughout the book and acquiring comprehensive knowledge on historical backgrounds, anecdotes and factual evidences related to the articles. Further analys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questions and answers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s during the entir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