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세종대 三軍 五員 연구 (Th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Samgun Owon(三軍五員)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in the Joseo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03
30P 미리보기
조선 세종대 三軍 五員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0호 / 47 ~ 76페이지
    · 저자명 : 석창진

    초록

    조선 전기 중앙군은 『경국대전』으로 정비된 5위 체제로 이해되지만 5위 체제 이전의 중앙군은 ‘삼군 체제’로 이해할 수 있다. ‘삼군 체제’는 지휘부인 삼군과 단위 부대인 10司를 중심으로 구성된 중앙군 체제를 의미하는데 조선 초기에는 지휘부인 삼군 직속 군직으로 오원과 근장이 있었다. 특히 오원은 고려에서 2군 6위 산하 領 소속 5명의 散員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사용한 것에 비해 조선 초기에는 10司에 속하지 않는 삼군 직속 5~8품 군직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 오원 명칭의 변화는 태종 말엽부터 세종 즉위년을 전후한 시점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정확한 시점을 특정할 수는 없다.
    삼군 직속 군직의 설치와 운영은 정도전의 군제개혁안에 기반한 것이었다. 정도전은 개혁안을 통해 도부외를 삼군 직속 군직으로 재편하여 삼군 지휘부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정도전의 개혁안이 지휘부를 구성하는 소수의 삼군 직속 군직을 상정한 것이라면 태종대 확인되는 삼군 직속 군직의 규모는 지휘부 구성 외에 다양한 종류의 군직까지 포괄한 것이다.
    이 삼군 직속 군직, 즉 오원은 태종대 300자리 이상 유지되다가 세종 즉위를 전후하여 400자리를 넘어섰고 1434년을 기점으로 대폭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증가의 배경에는 충의위, 내금위, 별시위 등 별도로 설치된 부대들의 군직이 늘어나 갑사 군직을 잠식하게 되었기 때문인데 ‘삼군 체제’가 삼군 휘하에 10司 외에 다양한 부대들을 포괄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삼군 직속 군직의 증감을 통해 10司를 제외한 다양한 부대들의 군직 수요를 포괄하고자 하였다. 삼군 직속 군직은 군직 수요뿐만 아니라 동반의 겸직이나 행직 대상으로도 활용되었는데 이러한 동반의 군직 점유는 재정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Samgun Owon(三軍五員) is a profession of arms under the immediate control of Samgun(三軍, three armed force) which was the old system before Owi(五衛, five posts)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beginning of the Joseon period, the term ‘Owon(五員)’ meant low-ranked military officials who belonged to the unit, Sibui(十衛) or Sipsa(十司).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after the reorganization of the commanding system of Samgun, its direct sub-organization was established. The position of military officials whose ranks situated in between fifth to eighth (5~8品) were called Owon as the immediate military profession under Samgun. Though the number of this position had been increased to over 800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Owon was incorporated into Owi with the dissolution of Samgun, after the establishment of Owi system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As the term, Samgun Owon, was used same as the military profession of Samgun, the variation of the scale of Owon could be traceable. With the increase of armaments in the time of King Sejong, as the Samgun Owon grew in size drastically since 1434, 800 positions of that were maintained.
    Owon took various assignments including military affairs for Samgun, Byulsiwui(別侍衛), Naeguemwui(內禁衛), Chunguiwui(忠義衛) or other troops,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in the capital city, or related tasks to fire signals. Also, flexibility of managing organization and financial saving effect could be expected because they could be in charge of duty of haengjik(行職, the position with high rank but low status) or concurrence besides the work of military offic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