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배인 김약행의 <遊大黑記>를 통해 본 조선후기 대흑산도 (Daeheuksan-do in Late Chosun through an Exile Kim Yak-Haeng's Yudaeheukgi)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0.03
39P 미리보기
유배인 김약행의 &lt;遊大黑記&gt;를 통해 본 조선후기 대흑산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36호 / 139 ~ 177페이지
    · 저자명 : 최성환

    초록

    金若行은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1768년 5월부터 1771년 7월까지 약 3년 2개월 동안 현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에서 유배생활을 하였다. 유배시절 우이도에 전염병이 돌자, 이를 피하기 위해 대흑산도로 유람을 떠난 후 <遊大黑記>라는 기록을 남겼다. 이 기록은 약 240년 전에 작성된 대흑산도 유람기이다.
    이 기록에는 유배인이자 여행자였던 김약행의 눈에 비친 대흑산도의 모습과 사회상이 담겨 있다. 당시 대흑산도 주변의 여러 섬과 중심 마을의 옛 지명·뱃길·명승·유적지에 대한 내용을 비롯하여 조선후기 섬주민들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대한 견문 내용이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遊大黑記>를 통해 조선후기 대흑산도의 사회와 문화를 살펴보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흑산도 유배인 거주환경의 특수성이다. 흑산도 유배인은 우이도에 거주하는 것과 대흑산도에 거주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는 水軍鎭의 운영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흑산도 유배문화의 특징 중 하나였다. 둘째, 대흑산도 주변 도서의 명칭과 지명에 새로운 내용들이 확인되었다. 서광와도, 난수도의 경우처럼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지명들을 통해 도서 명칭의 변천과정과 유래를 살펴보는 것이 가능했다. 셋째, 대흑산도 진리와 읍동 마을의 유적 상황에 대한 내용이 문헌적으로 증명되었다. 대흑산도의 역사를 상징하는 군터·신당·쌍석탑·산성·옥도 등 현존하는 유적들의 240년 전 상황과 당대 인식이 확인되었다. 넷째, 섬 주민들이 겪던 궁핍한 삶과 이중과세로 인한 부담, 紙役과 무분별한 伐木 등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A civil minister in late Chosun, Kim Yak-haeng was sent into exile on Wooi-do, Docho-myeon, Shinan-gun for about three years and two months from May, 1768 to July, 1771. When there occurred an epidemic on the island, he took an excursion of Daeheuksan-do to avoid the epidemic and left Yudaeheukgi, which is his excursion journal of Daeheuksan-do written about 240 years ago.
    The journal contains the landscape and social aspects of the island the way Kim observed as an exile and traveler. It claims value as an important historical document, containing what he saw and heard about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residents as well as the old names of various neighboring islands and main villages, courses, historical destinations, and relic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case study of Daeheuksan-do in late Chosun by examining its society and culture through his Yudaeheukgi.
    The study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ose who were sent into exile on Heuksan-do lived in a unique environment. They were allowed to choose one between Wooi-do and Daeheuksan-do, which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operation of the base of the naval forces and w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exile culture on Heuksan-do. Second, his journal offered new information about the names of the islands around Daeheuksan-do. The names that were no longer in use such as Seogwangwa-do and Nansoo-do helped to check the changing process and history of the island names. Third, his journal provided literary proof about the relics of Jinri and Eupdong village on Daeheuksan-do. It actually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s and contemporary perceptions of the existing relics including the army bases, shrines, double stone pagodas, mountain fortress, and Ok-do, which represent the history of Daeheuksan-do, about 240 years ago. And finally, his journal also specifically confirmed the social issues on the island including the poverty-stricken lives of the residents, the huge burden of double taxation, making and offering paper, and reckless logg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