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國 明代 1597年 作 '栴檀瑞像來儀記'에 對한 考察 (A Study on the Record of the Introduction of the Sandalwood Auspicious Buddha Image Made in 1597 during the Ming Dynast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3.03
43P 미리보기
中國 明代 1597年 作 '栴檀瑞像來儀記'에 對한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55호 / 103 ~ 145페이지
    · 저자명 : 허형욱

    초록

    일반적으로 불상의 제작은 석가모니불의 입적 후 無佛像 표현 시기를 거쳐 1세기 말에서 2세기 초에 간다라와 마투라 지방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과거 동아시아의 전통 사회에서는 석가모니불 재세 시 인도 코샴비국의 優塡王이 장인에게 栴檀木으로 부처의 초상을 새기게 했다는 불교경전의 내용을 별다른 의심없이 믿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최초 불상의 내력을 전하는 자료인 <栴檀瑞像來儀記>를 살펴봄으로써 불상에 대한 옛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신앙의 형태를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전단서상래의기>는 중국 明代 1597년(萬曆25)에 紹乾이란 승려가 북경의 鷲峰寺에 세운 일종의 종교적 기념비이다. 이 비석에는 당시 이 절에 모셔져 있던 전단서상 조각을 본딴 線刻畵와 함께 이 상의 기원과 내력을 전하는 설명문이 새겨졌다. 이 비석의 탁본으로는 20세기 전반에 촬영된 우리나라 금강산 유점사 소장본의 사진자료 등이 전하는데, 이에 따르면 우전왕이 만든 최초의 불상은 佛滅 1280년 후부터 1597년까지 인도를 떠나 중앙아시아와 중국 각지를 流傳하였고, 마지막으로 북경 취봉사에 안치되었다고 한다.
    <전단서상래의기>는 최초 불상의 유전 내력을 系統的으로 정리․서술한 것이 특징으로, 특히 宋代 이후의 내용이 구체적이어서 사료적인 가치가 높다. 아울러 여기에 새겨진 전단서상 그림은 일본 교토 세이료지[淸凉寺]에 있는 이른바 優塡王像式 立像의 전형인 북송 985년 작 전단석가서상과 거의 같은 점이 주목된다. 이는 이 유형의 도상이 중국인들에게 오랜 기간 동안 석가모니불의 실제 肖像으로 인식되고 유포되었음을 보여준다.
    현존하는 중국의 전단서상은 元代 이후의 것들이 대부분이며 티벳 라마불교와 관련이 깊다. 전단서상 신앙의 유행은 본래의 재료인 栴檀香木뿐만 아니라 보다 구하기 쉬운 金銅佛로의 제작으로 이어졌고, 이는 다시 이 도상의 사회적 확산에 기여하였다. 우리나라에도 고려 후기부터 조선시대까지 전단서상에 관한 기록과 자료가 전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논고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t is generally known that Buddha images were first made in Gandhara and Mathura, India hundreds of years after Shakyamuni Buddha’s Nirvana, i.e. between the end of the 1st century and the early 2nd century CE. However, in the pre∼modern period, people in East Asia accepted without doubt the contents of the Buddhist Sutras which state that King Udayana of Kaushambi in present∼day India had an image of Shakyamuni Buddha made of sandalwood during his lifetim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olden∼day people’s beliefs about Buddha images and how they regarded Buddha images by looking into the Record of the Introduction of Sandalwood Auspicious Buddha Image, which is a material about the history of the first Buddha image.
    The Record of the Introduction of the Sandalwood Auspicious Buddha Image is a kind of Buddhist monument set up at Jiufengsi Temple in Beijing by the monk Shaoqian in 1597 during the Ming Dynasty. The monumental stone contained a Buddha image (drawing) that was a copy of the auspicious Buddha image (sculpture) which used to be kept at the temple along with inscriptions explaining the origin and the history of that Buddha image. The monumental stone has disappeared, but a photo remains of a rubbed copy of it which used to be kept at Yujeomsa Temple in Geumgangsan Mountain,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According to this material, the first Buddha image made by King Udayana was relocated from one place to another throughout India, Central Asia and China from the 1,280th year after Shakyamuni Buddha’s Nirvana until 1597, and finally ended up at Jiufengsi Temple in Beijing.
    The said introduction systematically explains how the first Buddha image was relocated from one place to another. Particularly,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record concerning the Song Dynasty and thereafter are valuable as a historic material. It is noteworthy that the Buddha image inscribed on the monumental stone as a copy of the original one is quite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Sandalwood Auspicious Shakyamuni Buddha Image made in 985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which is now in Seiryoji Temple in Japan and is said to be a typical Udayana∼style standing Buddha Image. This shows that these types of standing Buddha images were regarded by the Chinese as the real image of Shakyamuni Buddha for a long period of time.
    Most of the surviving auspicious Shakyamuni Buddha images in China were made during the Yuan Dynasty or thereafter and are closely associated with Lamanism of Tibet. People’s belief in auspicious Shakyamuni Buddha images was first expressed in sandalwood and then in gilt bronze. I am planning to shed light on records and materials concerning auspicious Shakyamuni Buddha images of the late Goryeo and Joseon periods in another the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