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과 지청(知靑)의 도시 귀환 투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Return Struggle of the Educated Youth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04
36P 미리보기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과 지청(知靑)의 도시 귀환 투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연구 / 79호 / 29 ~ 64페이지
    · 저자명 : 손승회

    초록

    농촌으로 하방된 도시의 지식청년, 즉 지청은 문혁 전 이미 존재하였다. 극좌적인 ‘혈통론’에 입각하여 부당하게 하방 당했다고 생각하는 이들 지청에게 농촌의 열악한 현실은 그들을 더욱 힘들게 만들었고 毛澤東의 ‘換骨奪胎’ 주장은 수긍하기 힘들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등장한 문혁과 그로 인한 사회ㆍ정치적 혼란은 이들 지청에게 다시 도시로 돌아갈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하지만 조반 투쟁을 통해 도시로 돌아온 이들에 대해 문혁파와 일반 홍위병은 ‘戶口兵’으로 멸시하고 그들의 주장을 ‘경제주의’라고 비판하였다. 반면 같은 시기 문혁파로부터 비판받고 있었던 문혁 극좌파는 생산 노동인민과의 결합을 주장하며 당시 사회의 최하층을 형성하고 있던 지청과의 결합에 주력하였다. 비록 이들 극좌파와 지청의 결합은 문혁파의 대대적인 비판 공격 속에서 붕괴되었지만 이 과정에 이루어진 또 다른 각성은 자율적 ‘신사조’ 또는 문혁은 또 다른 흐름을 형성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영어초록

    Before the cultural revolution started, there were already the educated youths(知靑) down to rural area from the city. We distinguish this “old educated youths”(老知靑) from those that have emerged in since 1968. They felt that they had been unfairly de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extreme bloodline. And the poor reality of rural areas also made them more difficult to adapt themselves to the new circumstances.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accept Mao's claim that they could “turn over a new leaf”(換骨奪胎) through “Up to the Mountains And Down to the Villages.”(上山下鄕運動)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outbreak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confusion of rebel(造反) created a new opportunity for “the old educated youths” to return to the city. However, the clique of the Cultural Revolution (文革派) and general red guards scorned those who returned to the city through rebel as a “hukoubing”(戶口兵) and criticized their argument as “economism.” On the other hand, the ultra leftists of Cultural Revolution supported them and focused on combining with “the old educated youths” that formed the lowest society of the time. The ultra leftists of the Cultural Revolution, who was also criticized by the clique of the Cultural Revolution, regarded the combination with the labor people as very important. Although this combination collapsed under the massive criticism by the clique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other awareness of this process created an important opportunity to form the autonomous “new trend of thought” or the another flow of the Cultural Revol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