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명(對明), 대조선(對朝鮮) 인식 -1593년의 명・일 강화교섭을 중심으로- (Toyotomi Hideyoshi’s perception on Ming & Joseon -Focusing on the peace negotiation in 1593-)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9
46P 미리보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명(對明), 대조선(對朝鮮) 인식 -1593년의 명・일 강화교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史叢(사총) / 113호 / 89 ~ 134페이지
    · 저자명 : 김건우

    초록

    본고에서는 1593년의 명・일 강화 교섭을 중심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 더 나아가 도요토미 정권의 대명(對明), 대조선(對朝鮮) 인식을 밝혀내고, 그것이 강화교섭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1장에서는 1593년 명・일 강화교섭에 임하면서 히데요시가 작성한 문서를 바탕으로, 그가 제시한 강화 조건을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히데요시가 제시한 강화 조건이 전국시대 강화 조건의 연장선에 있음을 지적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히데요시가 천황가와 명 황가의 혼인 동맹,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한 감합 무역의 재개를 요구했다고 정리했다.
    조선의 경우, 이미 일본에 복속한 국가라고 인식하고 있었다고 보고, 그에 따라 왕자와 대신들을 인질로 일본에 보내고, 대신들이 히데요시의 명령을 어기지 않겠다는 내용의 기청문을 작성 및 제출하도록 하라는 것으로 조항을 해석하고, 이를 통하여 조선의 자발적인 복속 표명을 요구했다고 보았다.
    히데요시의 강화 조건은 전국시대 무가 간의 관례를 그대로 가져와 명과 조선을 상대로 적용한 것에 불과했다. 이러한 양상은 히데요시를 비롯한 도요토미 정권이 일본의 관습, 상식 등이 명과 조선에도 그대로 통용되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타났다.
    2장에서는 이러한 히데요시의 사고방식을 명의 사절이 어떻게 받아들였는가를 확인했다. 명 사절은 히데요시의 사고방식을 전혀 받아들이지 못했고, 오히려 도요토미 정권의 논리를 정면에서 부정했다. 도요토미 정권도 이러한 명 사절의 논리를 수용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사고방식의 차이, 용어에 대한 이해의 차이와 같은 인식의 어긋남을 상정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그렇게 인식의 차이를 메우지 못한 채 히데요시의 강화 조건은 명 사절에게 전달되었다. 그 결과, 해당 조건은 명과 조선 어디에도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였다. 그 후, 조선에서 주둔하고 있던 고니시가 명과의 교섭을 이어나가는 과정에서 해당 조건들은 명의 책봉 체제에 걸맞은 조건들로 수정되거나 삭제되었다.
    3장에서는 1593년 이후의 강화교섭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1593년 강화교섭에서 나타났던 히데요시의 대명, 대조선의 인식이 어떻게 유지 또는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1594년 12월의 나이토 조안의 명 대신들과의 필담, 1595년 5월 히데요시가 발급한 문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도요토미 정권의 대명 인식은 변했지만, 대조선 인식은 변하지 않았음을 지적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eace negotiations in 1593, and examined the perceptions Toyotomi Hideyoshi and the Toyotomi administration had on Ming and Joseon.
    Toyotomi Hideyoshi wrote two documents at that time of the peace negotiation of 1593. By analyzing those documents, it was possible to point out that Hideyoshi was purposing mainly two things. One was allying with Ming by the merriage between Ming and Japan and the resumption of mutual trade based on the alliance, and the other was exacting obedience from Joseon by demanding to submit prince of Joseon as a hostage and written statement by officials of Joseon stating that they would not violate Hideyoshi's orders for now and ever. The conditions that Hideyoshi requested to Ming and Joseon were exact same with those which were frequently used throughout the Sengoku period in Japan.
    But Hideyoshi's requests were denied by the envoys who were in Nagoya for the peace negotiation. The reason was the requests didn’t make any sense to them. As a matter of fact, the conditions were based on the customs which were came up in Japan throughout the Sengoku period. Hideyoshi thought that Japanese customs and common sense would make sense to Ming and Joseon as it does in Japan. But not only the envoys but also the people in Ming and Joseon, for example, the King of Joseon(Seonjo)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of Ming didn’t understand it at all. Due to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on each other, those documents could not be reported properly to the royal court of Ming or Joseon.
    So after the peace negotiation, Konishi Yukinaga who was stationing in Joseon had to adjust those conditions to fit in tributary system of Ming to keep the peace negotiation on. As the result, Hideyoshi’s perception on Ming had changed from a country that customs of Japan would make sense to that does not. On the contrary, his perception on Joseon did not had changed, so he kept requesting Joseon to submit prince as hostage to show their voluntary obed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史叢(사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