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유사≫ 왕력편・기이편의 신라 하대 기사와 사회상-새로 공개된 ‘파른본’을 중심으로- (Articles of the late silla and its social aspects in 'Parun' SamgukYusa wangryeok and Gii chapter)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4.04
40P 미리보기
≪삼국유사≫ 왕력편・기이편의 신라 하대 기사와 사회상-새로 공개된 ‘파른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30호 / 157 ~ 196페이지
    · 저자명 : 장일규

    초록

    최근에 새로운 ≪삼국유사≫ 판본이 공개되었다. ‘파른본’으로 불리는 이 판본은 왕력과 권1 기이편만 남아 있다. 현재 왕력과 권1 기이편만 남아 있는 고판본은 필사 ‘석남본’ ≪삼국유사≫이기에, ‘파른본’ ≪삼국유사≫는 필사 ‘석남본’ ≪삼국유사≫와 비교될 수 있다. 다만 필사 ‘석남본’ ≪삼국유사≫의 기이편은 인출 시기가 뒤늦은 ‘순암수택본’을 그대로 轉載하였으므로, ‘파른본’ ≪삼국유사≫과 필사 ‘석남본’ ≪삼국유사≫의 비교는 왕력만을 다루어야 한다. 이 글은 ‘파른본’ ≪삼국유사≫과 필사 ‘석남본’ ≪삼국유사≫의 왕력에 대한 비교를 통해 판본간의 차이를 밝히고, 신라 하대 기사의 특징을 살피고자 작성되었다.
    ‘파른본’과 필사 ‘석남본’을 비교하면, 동일점 13건과 차이점 14건을 확인할 수 있다. 13건의 동일점은 대체로 인출 과정이나 간행 과정에서 글자를 잘못 새긴 경우, 글자의 간격을 좁게 새긴 경우, 글자를 빼고서 새긴 경우, 이체자로 새긴 경우, 영인할 때 잘린 경우, 새겨놓은 글자가 뭉개져서 인출할 때 제대로 인쇄되지 않거나 겹쳐 잘못 나타난 경우이다. 이로써 보면, ‘파른본’ ≪삼국유사≫와 필사 ‘석남본’ ≪삼국유사≫의 신라 하대 왕력은 동일한 판본을 특별한 加筆없이 그대로 이용하여 인출하였다고 할 수 있다.
    14건의 차이점은 대체로 판각의 실수나 판각된 글자의 뭉개짐, 이체자의 사용 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忠‘圻’ 대아간이나 符‘甲’午六, 그리고 ‘’ 등처럼 명확하게 서로 다른 판본을 저본으로 삼아 다르게 새긴 경우도 확인된다. 자연히 ‘파른본’ ≪삼국유사≫와 필사 ‘석남본’ ≪삼국유사≫에 보이는 신라 하대 왕력은 동일한 판본을 저본으로 삼아 인출하였을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뚜렷한 차이도 있으므로, 서로 다른 판본을 각각 새겨 인출하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신라 하대는 물론 上代와 中代의 왕력을 포함하여 살펴보면, 필사 ‘석남본’의 오류가 상대적으로 더 많기에, ‘파른본’ ≪삼국유사≫가 필사 ‘석남본’ ≪삼국유사≫보다 앞서 인출되었다고 보여진다. 결국 ‘파른본’ ≪삼국유사≫는 일연이 탈고한 원고를 새긴 ≪삼국유사≫ 초간본이 제작되고서 판목의 훼손과 글자의 누락, 이체화, 壞字化가 진행된 뒤에 기존 판본을 바탕으로 重刊된 판본이라고 생각된다.
    ‘파른본’ ≪삼국유사≫ 왕력에서 눈에 띄는 점은 희강왕 외조부를 ‘忠‘圻’ 대아간’이라고 한 것, 경문왕 아버지 啓明 角干이 ‘義<혹은 ‘’>恭大王’으로 追封되었다는 것, 874년을 ‘符‘甲’午六’이라고 쓴 것, 효공왕의 이름을 ‘’라고 한 것, 경순왕 조부가 ‘官角‘’’이라고 한 것, 궁예가 처음 세력을 일군 곳을 ‘始投‘北’原賊良吉’이라고 한 것 등이다. 이 가운데 ‘파른본’ ≪삼국유사≫ 왕력만의 특징은 희강왕 외조부가 ‘忠‘圻’ 대아간’이라는 것과 경순왕 조부가 ‘官角‘’’이라고 한 것만이 해당된다. 다만 경순왕 조부에 대한 기록과 함께 ‘신덕왕 외증조부가 元厸 각간’이라고 한 ‘파른본’ ≪삼국유사≫ 왕력의 기록도 ≪삼국사기≫에 보이지 않으므로 함께 포함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파른본’ 왕력의 희강왕 외조부와 신덕왕 외증조부에 대한 기록은 모두 박씨 세력과 관련되었다. 또한 경순왕은 박씨 왕인 경애왕을 뒤이어서 왕위에 올랐으므로, 경순왕 조부에 대한 기록 역시 박씨 세력과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삼국유사≫ 왕력에서 신라 하대 국왕의 성씨는 신덕왕・경명왕・경애왕을 제외하고는 김씨로 기재되었고, 왕비의 성씨는 특별히 기재되지 않았다. ‘파른본’ 왕력에는 박씨 세력과 긴밀히 연결된 희강왕 외조부와 신덕왕 외가 세력의 모습이 은연중에 기술되었다. 이것은 일연이 ≪삼국유사≫를 편찬하였던 고려 말에 이미 신라 왕실의 외척으로서 박씨 세력을 드러내지 않는 분위기가 있었음을 보여 준다. 곧 ‘파른본’ ≪삼국유사≫는 ≪삼국유사≫ 초간본을 重刊하면서, 고려 사회에 계승된 신라 문화의 영향 때문에 신라 왕실인 김씨 외에 다른 세력을 특별히 기재하지 않았던 셈이다.

    영어초록

    Recently new «SamgukYusa» edition was known. It was called the 'Parun' edition «SamgukYusa». this edition has remained wangryeok and Gii vol1. This article is a 'Parun' edition «SamgukYusa» and 'Seoknam' edition «SamgukYusa» of Silla through a comparison of the inferior wangryeok article was written features can be examined in person.
    When comparing the two books 'Parun' edition «SamgukYusa» and 'Seoknam' edition «SamgukYusa», the same 14 points in 13 cases and differences can be identified. 13 looking at the same point, two versions of the same edition, without using a special can withdraw. But look at the difference between 14 'Parun' edition «SamgukYusa» is carved originals «Samguk Yusa» after the production is considered to be in the edition.
    'Parun' edition «SamgukYusa» wangryeok others have the joy of king heegang carefully and spent king sindeok. Already been taken into account at the end of the Silla royal of Park forces were not exposed to the atmosphere. Silla culture is considered the influence of society inherited, because of the Silla royal family other than Kim did not mention specifically the forces of royal famil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