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종대(中宗代) 음악정책의 중흥과 개혁 (Restoration and Reform of Music Policy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01
45P 미리보기
중종대(中宗代) 음악정책의 중흥과 개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70호 / 145 ~ 189페이지
    · 저자명 : 성영애

    초록

    이 연구는 중종대 음악적 중흥과 개혁 과정을 왕권의 위상 변화와 함께 그에 따른 음악정책의 전개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사항에 변화가 나타난 주요 사건들을 기준으로 중종대를 다섯 시기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 번째 시기는 중종 즉위년 9월부터 중종 9년 12월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중종이 즉위하면서 연산군대에 확대된 여악제도를 바로 잡기 위해 재정비한 사실과, 여악을 혁파하자는 빗발치는 대간(臺諫)의 상소에 여악을 양감(量減)하고, 또 남녀상열지사를 금지한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 시기는 조광조(趙光祖)가 등용되는 중종 10년부터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는 해인 중종 14년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는 사림이 언관직(言官職)에 대거 진출하고 언관직을 중심으로 정치적 역할을 증대해 가며 커다란 변화가 초래되고 있었다. 중종과 대신, 조광조와의 논쟁에서 외방 여악(外方女樂)의 혁파와 악장 쇄신(樂章刷新)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 번째 시기는 기묘사화 이후 대신들이 다시 주도적인 정치세력의 지위를 회복한 중종 15년부터 중종 25년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는 전체적으로 정치세력 간의 갈등이 비교적 적었던 안정된 국면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조광조와 기묘사림(己卯士林) 시기에 혁파되었던 외방 여악의 복설(復設)이 대두되어 혁파된 외방 여기(外方女妓)가 어떻게 다시 설치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네 번째 시기는 중종 26년부터 중종 32년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권신(權臣) 김안로(金安老)가 집권하면서 척신정치(戚臣政治)가 실시되어 정치세력 사이의 권력균형이 크게 와해(瓦解)되면서 국정 전체에도 상당한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파악된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사실은 그동안 비판적 언론기관으로 충실히 활동해온 삼사(三司)가 김안로라는 한 개인의 정치적 도구로 전락하는 심각한 기능 변질을 나타냈다는 점이다. 이 점을 인식하면서 명(明)사신 접대에 관한 문제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다섯 번째 시기는 중종 33년부터 중종 39년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앞 시기의 복잡한 정치적 부침(浮沈)을 겪으면서 그동안 왕권을 충분히 행사하지 못했던 중종이 자신의 정치적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노력한 국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종의 노력한 국면을 음악정책에서는 악공・악생의 폐단과, 재해로 인한 여기(女妓)를 임시로 혁파하는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중종대는 연산군의 폭정으로 무너진 예악(禮樂)을 수습해 음악문화를 재건하려는 목표로 다양한 모색과 실험을 거듭하면서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남긴 기간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musical restoration and reform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 by focusing on changes in the status of royal authority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usic policy. For this, the reign of King Jungjong was divided into five periods on the basis of main incidents showing changes in the relevant matter.
    The first period is from September in the year of King Jungjong’s enthronement to December in the 9th year of King Jungjong. After the enthronement, King Jungjong reformed the Yeo-ak(music performed by female entertainers) system which was expanded in the reign of King Yeonsan-gun, reduced the Yeo-ak because of government officials’ petitions to abolish it, and also banned the discussion of love songs between man and woman.
    The second period is from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 when Jo Gwang-Jo was appointed to the 14th year of King Jungjong when the Gimyosahwa happened. During this period, a large number of Sarim got into the Eongwan post and also increased their political roles, which caused huge changes. This study examined the arguments of King Jungjong, ministers, and Jo Gwang-Jo by focusing on the abolition of Yeo-ak outside of Seoul and innovation of movement.
    The third period is from the 15th year of King Jungjong when the ministers recovered their status of leading political power again after the Gimyosahwa, to the 25th year of King Jungjong. In this period, it was overall stabilized with relatively less conflicts between political powers. However, the re-provision of Yeo-ak outside of Seoul that was abolished by Jo Gwang-Jo during the period of Gimyosarim emerged during this period.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reinstalling the abolished Yeogi(female entertainers) outside of Seoul.
    The fourth period is from the 26th year of King Jungjong to the 32nd year of King Jungjong. After a powerful retainer Kim An-Ro seized power,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political powers was greatly broken up, which was led to many problems in the overall state affairs. And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the Samsa that used to be faithfully working as critical media agencies was degraded to a personal political tool for Kim An-Ro. Considering this point, this study examined the discussion of a problem shown in the reception poems for Chinese envoys.
    The fifth period is from the 33rd year of King Jungjong to the 39th year of King Jungjong. In this period, King Jungjong who could not fully exercise his royal authority while going through complex political power struggles in the previous period, made the last effort to realize his own political conception. This study examined such King Jungjong’s efforts into music policy by focusing on the abolition of evil effects of Akgong・Aksaeng(court musicians) and the temporary abolition of Yeogi by disaster.
    The reign of King Jungjong showed both outcomes and limitations through the repetition of various explorations and experiments for the goal of rebuilding the music culture by amending the Ye-ak(rites and music) collapsed by King Yeonsan-gun’s tyran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