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시기 일본의 대(對)중국 영화정책과 ‘대동아영화(大東亜映画)’ (Wartime Japan's Film Policy in China and the ‘Great East Asian Cinem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09
22P 미리보기
전시기 일본의 대(對)중국 영화정책과 ‘대동아영화(大東亜映画)’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일본학 / 55권 / 127 ~ 148페이지
    · 저자명 : 강태웅

    초록

    이 글은 1939년 6월 상하이에 출범한 일본의 대중국 영화정책 기관인 중화전영에 대한 재 평가를 시도하였다. 기존의 일본학계는 중화전영을 이끈 가와키타 나가마사라는 인물에 대해 서 군의 요구에 저항하는 인물이었고, 중국 영화인을 옹호하고 보호하려 했다고 평가해왔다. 이 논문은 가와키타라는 한 개인의 돌출된 행위에 초점을 맞춰왔고, 일본과 중국이라는 양국 간의 관계에 한정되어 왔던 기존의 연구 틀에서 벗어나려고 하였다. 일본은 전쟁을 확산하면 서 중국을 비롯하여 여러 국가와 영화를 만들게 된다. 중국을 포함한 다른 지역에 있어서의 영화정책에 대한 포괄적인 방향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가와키타 나가마사의 활동과 발언, 그리고 중화전영의 제작방향 등이 당시 일본의 영화에 대한 정책방향과 같았는지, 달랐 는지 비교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일본 전체의 영화제작 방향성을 ‘대동아영화(大東 亜映画)’라는 당시 사용된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이러한 방향성을 가와키타의 행로와 견주어보는 식으로 논의를 전개해 나갔다. 본고는 ‘대륙영화’라 불린 협력을 요구하는 일방적 메시지가 담긴 영화제작에서, ‘대동아공영권’ 이념을 바탕으로 중국인에 대한 이해와 중국인 의 참여, 그리고 중국과의 갈등이 아닌 서구 세력을 적으로 하는 협력의 필요성으로 영화제 작 환경과 영화의 내러티브도 변해갔음을 찾아내었다. 이러한 발견을 토대로 볼 때 가와키타 나가마사라는 개인의 존재는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제국일본의 영화 정책의 일개 집행자였다고 평가될 수 있다. 앞으로의 이 시기에 대한 연구는 가와키타 나가 마사라는 개인에 대한 평가를 벗어나서, 각 지역의 영화들의 제작환경과 내러티브를 총체적 을 분석해나가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한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reevaluate China United Productions Ltd(中華電映), which was established in Shanghai in June 1939. Japanese researchers previously suggested that Nagamasa Kawakita, who led the organization, was a person that resisted the demands of the Japanese military and tried to defend and protect Chinese filmmakers. This paper focuses on his salient activities and tries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research framework that was limi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China. During the war, Japan made films with China and other countries. If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film policy direction in various regions, including China, is made, it could shed some light on whether Nagamasa Kawakita's activities and remarks were consistent with the policy directions for Japanese films at the time. To this end, this paper looks at the direction of film production in Japan, focusing on the concept used at the time, ‘Great East Asian Cinema (大東亜映画)’. It is found that the film production environment and the narrative of the cinema also changed due to the need for regional coope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evaluated that Nagamasa Kawakita was just one of the executives of Imperial Japan's film policy. And I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on this period should move beyond the evaluation of the individual Nagamasa Kawakita and shift to analyzing the production environment and narratives of films in each region on its 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일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