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첨성대는 천문대인가? (Was Cheomseongdae Built as an Astronomical Observat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10
10P 미리보기
첨성대는 천문대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7권 / 10호 / 955 ~ 964페이지
    · 저자명 : 맹성렬

    초록

    경주 첨성대를 바라보는 시각이 최근에 많이 바뀌고 있다. 1970년대까지 첨성대가 천문대라는 사실에 이의를 제기하는 이들이 없었다. 하지만, 그 이후 천문대라고 보기에는 첨성대가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의문이 제기되면서 많은 이설들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첨성대에 대하여 제기된 가설들 중에서 천문대설, 지점 정렬설, 그리고, 우물설이 나름대로 제일 설득력이 있다. 천문대설은 삼국유사에 ‘별을 바라보는 곳(瞻星臺)’이라 적시되어 있기 때문에, 지점 정렬설은 첨성대가 선덕여왕릉과 함께 동지 일출선에 방위 정렬되어있다는 사실 때문에, 그리고 우물설은 그 형태가 우물처럼 생겼다는 점 때문에 지지를 받고 있다. 지금까지 이 세 가지 부정하기 힘든 사실들을 조화시키려는 시도가 있어왔으나 크게 설득력이 없었다. 이는 첨성대 기원을 한반도에 국한된 시야로 바라보려 했기 때문이며 세계사 속에서 바라보면 그 해법을 찾을 실마리가 보인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천문학자들은 천문 관측용 우물에 대해 수차례 언급했으며, 아랍권에 실제로 그런 천문관측 시설에 대한 증거가 존재한다. 당시 우물탑 형태의 천문 관측소는 주 천문대에 부속되어 야간 이외에도 해지기 직전이나 해가 뜬 직후에 별을 관측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런 관점에서보면 첨성대는 서구에서 여명에 별을 관측하는 우물탑으로 건축된 건축물이 변형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만일 그렇다면, 언제 어떤 경로로 우물에서 별을 관측하던 서구의 방법이 신라 땅까지 전달된 것일까? 첨성대가 건축되던 7세기 경엔 이전에 그리스·로마에서 직접 신라로 문물이 유입되던 초원 루트가 폐쇄되어 있었다. 또, 아랍권이 지중해를 막 점령하던 시기라 아랍인들이 지중해 문물을 신라까지 전달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못했다. 그런 여건은 9세기 이후에나 가능했다. 천문학을 포함한 그리스 문물이 기원전 4세기 알렉산더의 인도 정벌 때 인도로 전파되었고, 6-7세기의 인도 천문학은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당시 신라 왕조는 인도의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종교적 맥락에서 천체 관측용 우물이란 지식을 접했을 가능성이 있다. 첨성대가 지점 정렬되어있다는 사실과 결부시켜 생각할 때 첨성대는 동지 일출 때 경주 상공에 떠있는 별을 담을 목적으로 건축되지 않았을까?

    영어초록

    The viewpoint of Gyeongju Cheomseongdae is changing a lot recently. Until the 1970s, no one objected to the fact that Cheomseongdae was an observatory. However, since then, many doubts have begun to be raised as Cheomseongdae shows structural inadequacy as an observatory. Among the hypotheses about Cheomseongdae proposed so far, there exist 3 most persuasive purposes of the architecture;1) astronomical observation as written in Samgukyusa that it was built as ‘star-gazing place((瞻星臺)’2) alignment to the winter solstice along with the tomb of Queen Sunduk, the founder of Cheomseongdae3) symbolic well as shown in appearanceSo far, there have been attempts to reconcile these three facts, but they were not very persuasiv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origin of Cheomseongdae was restric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cient Greek and Roman astronomers mentioned several times about wells for astronomical observations. And there is indeed evidence for such astronomical observations in the Arab world by using well-tower type building attached to the main astronomical observatory. It was used to observe the stars just before the sunset or after the sunrise. From this point of view, Cheomseongdae can be seen as a modified form of the ancient western well-tower.
    If so, when did the western way of observing the stars in the wells pass to the land of Shilla? In the 7th century when Cheomseongdae was built, the Steppe Route where the artifacts had been introduced directly from Greece and Rome to Silla was closed. At the time, the Arabs had just occupied the Mediterranean Sea, and they could not afford to conveying the Mediterranean culture to Silla. Such a situation was possible after the 9th century. Greek culture, including astronomy, spread to India in the 4th century BC Alexander's conquest of India, and Indian astronomy in the 7th century was the highest in the world. At that time, the Silla dynasty accepted the Buddhism of India and possibly encountered knowledge of the observatory well-tower in the religious context. As Cheomseongdae is aligned to the winter solstice, it is very likely that it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holding a floating star above the sky of Gyeongju during the sunrise at winter sols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