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代 <方言> 내 東北지역 어휘의 언어적 연원 및 정체성 탐구 試論 : <方言>에 수록된 東北지역 어휘와 <爾雅> 同一漢字 어휘의 비교분석 (An analysis on linguistic origin and identity of Northeastern Arear’s vocabularies in Fang Yan(方言) of Han dynasty by comparing with synonyms(same Chinese character words) in Er Ya(爾雅))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8.09
48P 미리보기
漢代 &lt;方言&gt; 내 東北지역 어휘의 언어적 연원 및 정체성 탐구 試論 : &lt;方言&gt;에 수록된 東北지역 어휘와 &lt;爾雅&gt; 同一漢字 어휘의 비교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51호 / 155 ~ 202페이지
    · 저자명 : 정재남

    초록

    前漢 말기에 揚雄(BC 53–AD 17년)이 편찬한 『方言』은 중국 최초의 方言 辭典으로서, 27년에 걸친 전국적인 방언 조사를 통해 前漢대에는 단절된 古語와 함께 前漢 왕조의 판도에 속한 각 지역의 當代 방언 및 소수민족 어휘가 수록되어 있고, 특히 과거 고조선 영역이었지만 漢朝의 영역에 최종 편입된 北燕 및 朝鮮(洌水)지역의 어휘 60例가 수록되어 있다.
    『方言』 내 朝鮮(洌水)지역 및 北燕지역은, 같은 어휘를 사용하는 구역을 서로 연결하는 언어지리학상의 ‘等語線’(isogloss) 개념을 적용할 경우, 하나의 ‘言語圈’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나아가 당시 前漢 판도 내 여타 지역과는 다른 독자적인 언어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가운데, 朝鮮(洌水)지역 어휘에 대해서는 ‘上古 중국어(漢語)의 方言’이었다는 주장과 소수민족의 어휘 즉, ‘古朝鮮語’라는 견해가 학술적으로 대립하고 있다. 한편, 前漢 당시 같은 東北권역에 속한 燕․代지역의 어휘는 상고 중국어의 ‘方言圈’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정치․행정적으로 같은 통치권에 속하였던 北燕․朝鮮지역과는 지리적으로 인접하였지만, 언어적으로는 절연에 가까울 정도로 상호 이질성이 강하다.
    이와 관련, 朝鮮․北燕․燕․代지역 등 漢代 東北지역 어휘의 언어적 연원 및 정체성과 상호 친연성 등을 밝히기 위해, 동 어휘들에 대해 『方言』 편찬 이전에 성립된 중국 최초의 字書인 『爾雅』에 수록된 관련 어휘와의 全數 비교분석을 통하여, 상고 중국어 어휘로부터의 傳承 여부를 포함한 연관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方言』 내 朝鮮․北燕지역 전체 어휘의 30%는 『爾雅』에서 同一 漢字를 사용한 어휘가 발견되었고, 그 가운데 의미가 같거나 유사한 어휘(상고 중국어와 같거나 이에 연원을 둔 어휘)는 약 12%에 그쳤다. 다시 말해, 두 지역 전체 어휘의 약 88%는 『爾雅』에 수록되지 않았거나 『爾雅』의 同一漢字 어휘와는 다른 의미의 어휘로 볼 수 있다. 한편, 『方言』 내 燕․代지역 어휘의 경우, 전체 어휘의 약 39%가 『爾雅』에서 同一한 漢字 어휘로 발견되었고, 의미가 같거나 유사한 어휘는 약 15%로서 朝鮮․北燕지역 어휘에 비해 각기 그 비중이 다소 높다. 하지만, 『爾雅』와 『方言』 성립시기 차이로 인한 언어의 시대적 변화, 聲借방식의 어휘 표기가 적지 않은 『方言』 내 ‘방언’ 설명 형식 그리고 특히 『方言』 내 다른 방언권을 포함한 전체 어휘와 『爾雅』 내 전체 어휘를 전수 비교를 하지 않은 사정 등을 감안할 때, 兩書내 朝鮮․北燕․燕․代지역만의 어휘 비교만으로는 언어적 정체성 규명에 충분한 학술적 의미와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爾雅』의 관련어휘와 全數 비교분석을 통해, 『方言』 내 동북지역 일부 해당어휘의 연원 및 언어적 정체성을 규명하는데 근거 있는 접근을 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Fang Yan(方言) is the earliest direct dictionary not only in China but in the world, which was compiled by Yang Xiong(揚雄) in Han dynasty. The book described disconnected ancient Chinese words(古語) not being used at that time, current dialects of individual sub-state provinces and ethnic minorities’ languages including 60 vocabularies of Northern Yan(北燕) and Chosun(朝鮮) regions which had been former territory of Kochosun(古朝鮮) but were annexed respectively through war by Kingdom of Yan(燕) in early BC 3 century and Han dynasty in BC 108.
    According to the result of isogloss(等語線) analysis on Chosun and Northern Yan’s vocabularies in Fang Yan, it reveals that those two regions’s words could be classified as one language group but were quite isolated from those of Yan region which was geographically adjacent to and politically belonged to same administrative district under Han dynasty’s rule. So it has been a divisive issue on whether vocabularies of Chosun region was a language of ethnic minority, words of Kochosun, or a dialect of ancient Chinese like those of Yan and Dai(代) region.
    For investigating the linguistic origin, identity and mutual affinity of those vocabularies in Northeastern area(東北) covering Chosun, Northern Yan, Yan and Dai, this paper trie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ll words of above 4 regions in Fang Yan and the related vocabularies using same Chinese character in Er Ya(爾雅) which is the earliest dictionary compiled earlier than Fang Ya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dictionary books, it could be concluded out that about 30% of Chosun and Northern Yan’s vocabularies in Fang Yan were found in Er Ya and only about 12% of above two regions’ all words were classified as synonyms in Er Ya while about 39% of Yan and Dai’s vocabularies in Fang Yan were found in Er Ya and about 15% of the latter regions’ words in Fang Yan were synonyms in Er Ya.
    Furthermore, it could be contributed to investigate linguistic origin and identity of Northeastern Arear’s some vocabularies in Fang Yan which were synonyms in Er Ya by this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