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후기~조선시대 발해인 영순태씨 가문 검토 - 시조(始祖) 대금취(大金就)와 현조(顯祖) 태두남(太斗南)를 중심으로- (The Balhae-originated Yeongsun Tae House in the Goryeo~Joseon period - Focusing on the Founder(始祖) Dae Geum-chwi(大金就), and his descendant named Tae Du-nam(太斗南) who revitalized the House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8
30P 미리보기
고려 후기~조선시대 발해인 영순태씨 가문 검토 - 시조(始祖) 대금취(大金就)와 현조(顯祖) 태두남(太斗南)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91호 / 175 ~ 204페이지
    · 저자명 : 박순우

    초록

    이 글은 고려~조선시대 발해인 영순태씨(永順太氏)의 시조(始祖) 대금취(大金就)와 중흥조(中興祖) 태두남(太斗南) 관련 기록을 검토하고 행적을 재구성하였다. 고려 후기에 이르면 발해인들의 거주지역이 확대되는 양상이 확인되는데, 그중 단연 돋보인 지역은 상주목-영순현이다. 이 지역 영순태씨 발해인들은 고려 말에 이르러 ‘향리(鄕吏)’가 되면서 통치 체제에 편입되었다. 이 마을(村) 사람 중 태씨(太氏) 성을 가진 자가 적을 잡은 공로로 영순군에 봉해졌는데, 영순태씨 발해인들은 그 인물이 대금취(大金就)라고 이해하기 시작했다. 이후 조선 중종대 태두남에 의해 ‘대금취=영순군(永順君)’이라는 도식이 공식화되었다.
    한편 영순태씨를 반석에 올려놓기 시작한 태두남에 대해서는 사뭇 다른 두 갈래의 평가가 있다. 관찬 기록에 따르면 그는 평범한 관료에 불과하지만, 조선후기 영남지역 문인들의 기록에 의하면 그는 대단히 강직하고 바른 사람이었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었다. 스승 김양진이 죽자 모두 나아가기를 주저할 때 홀로 나아가 스승의 장례를 극진히 모셨던 것에서 그의 성품이 드러난다고 할 것이다. 태두남의 후인들이 뿌리를 내린 예천 일대는 이름난 명문들이 많은 곳으로서 태두남의 후손들 역시 그들과 호흡하며 영향을 받았다. 특히 그들이 적극적으로 선대의 기록을 취합해 족보편찬을 위해 노력한 점도 당대의 사회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Examined and reconstructed in this article are the lives and actions of two individuals. One is Dae Geum-chwi(大金就), who is believed to have founded the Yeongsun Tae House(永順太氏), while the other is Tae Du-nam(太斗南) who is oftentimes heralded as the middle founder of the house[中興祖]. The primary focus of this endeavor is to determine what kind of lives the people from Balhae (who either came from Balhae themselves or born from them) led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middle periods of Joseon.
    In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period, the regions where people from Balhae were able to (or allowed to) live expanded, and one of the regions which newly appeared as one of the new habitats for them was the Yeongsun-hyeon(永順縣) region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Sangju-mok(尙州牧) magistrate. The Balhae people (who later became to be known as members of the Yeongsun-Tae house) were incorporated into the areal community as local Hyang’ri(鄕吏) clerk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and became part of the local ruling structure. One of the villagers who bore the last name Tae(太) was reportedly rewarded with the title Yeongsun-gun(永順君) for his bald action of capturing an enemy trooper, and descendants of the house came to believe that Dae Geum-chwi was that individual. Later in mid-Joseon, such belief was officialized by Tae Du-nam who lived during Joseon king Jungjong’s reign.
    For Tae Du-nam, who is generally recognized for his contribution of cementing the foundation of the house, there are two distinctively different observations. Records from the government, such as the Veritable records of Joseon(Shilok), only suggests that he was a mere mid-level governmental official, but the literary figures from the Yeongnam reg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left records of praising him as a man of integrity, courage and a moral compass. He is also known to have overseen the funeral for his master, when the master was persecuted by a powerful being in the government and no other disciple was brave enough to dare rush to the care of their fallen master. The Yecheon area where Tae Du-nam’s descendants took root was the home of many renowned houses, and they would have befriended them while becoming part of the culture. They were the ones who were able to rediscover their own heritage through Tae Du-nam’s own writings, during their efforts of compiling the latest version of the familial geneaology reco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