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렴의 차 시배지’ 주장의 문제점과 지리산 화엄사의 ‘한국 차 첫 재배지’ 고찰 (A Study on the Problems of the First Tea Cultivated Land of Daeryeom(大廉) and the First Cultivation of Korean Tea at Hwaeomsa Temple in Mt. Jiri)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2
32P 미리보기
‘대렴의 차 시배지’ 주장의 문제점과 지리산 화엄사의 ‘한국 차 첫 재배지’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15권 / 2호 / 31 ~ 62페이지
    · 저자명 : 황태성(무진)

    초록

    『삼국사기』에는 7세기 중반 신라 선덕여왕 때부터 차가 있었지만, 828년 이후 전국으로 성행하였다고 표현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표현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고려시대 사료와 9세기-10세기 활동한 선사의 비문을 검토하여 다음을 고찰하였다.
    먼저 828년 대렴이 가져온 중국 당나라의 차를 심은 지리산은 화엄사를 의미한다는 점이다. 또한 8세기 중반 옛 백제의 땅인 지리산 권역과 호남지역을 총괄하기 위하여 황룡사의 연기법사에 의해 창건된 화엄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화엄사는 8세기 중반 창건과 더불어 적어도 지리산 권역과 호남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차를 재배하였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다음으로 828년 지리산 화엄사에 대렴의 차를 재배하도록 공인한 이후에 한국(신라)에서 전국으로 차 문화가 성행하였다는 점이다. 이것은 화엄사를 통하여 지리산 권역과 호남지역에 차 문화가 퍼져나가 차를 마시는 문화가 성행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하동의 828년 ‘대렴의 차 시배지’는 잘못된 표현이란 점이다. 차 시배지란 차를 처음 재배한 곳이란 의미한다. 그런데 8세기 중반 지리산에서 화엄사가 차를 재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828년 하동에는 차를 심을 만한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상으로 본 논문은 8세기 중반 지리산 권역과 호남지역에서 한국 차를 처음으로 재배한 곳은 화엄사란 점을 밝히고 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Samguk Sagi(三國史記),” tea existed during the period of Queen Seondeok(善德女王) of Silla in the mid-7th century, but became popular nationwide after 828. This paper examines tea culture during the Silla period by reviewing records from the Goryeo dynasty and writings of monks in the 9th to 10th centuries.
    First, “Jirisan(智異山)”, where Daeryeom(大廉) planted tea plants brought from the Tang Dynasty of China in 828, refers to Hwaeomsa Temple(華嚴寺). This paper also found relation with Hwaeom Temple, established by Yeonki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in charge of the Mt. Jiri area, an ancient Baekje territory, and the Honam region. This implies that Hwaeomsa cultivated tea for the first time in the area alongside its establishment.
    Second, tea culture spread nationwide after Daeryeom was officially authorized to cultivate tea at Jirisan Hwaeom Temple. This implies that Hwaeom Temple made tea culture spread to the Mt. Jiri area and the Honam region.
    Lastly, it is incorrect that the very first tea plantation in Korea by Daryeom in 828 took place at Hadong area.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Hwaeom Temple was already cultivating tea at Mt. Jiri in the mid-8th century. Also, Hadong did not have enough conditions to grow tea plants in 828.
    To conclude, this paper emphasizes that in the mid-8th century, Hwaeom Temple in the Jirisan area and the Honam region was the first place to cultivate tea plants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