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修飾語의 修飾 對象과 修飾詞 -「표준국어대사전」의 품사 통용을 해결하기 위해- (The Adjunct and the modified Object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growing numbers of multicategory words o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표준국어대사전)」-)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2.12
27P 미리보기
修飾語의 修飾 對象과 修飾詞 -「표준국어대사전」의 품사 통용을 해결하기 위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0권 / 4호 / 7 ~ 33페이지
    · 저자명 : 서태룡

    초록

    修飾語로서 名詞, 代名詞, 數詞를 살펴보면 그 修飾 對象이 冠形詞, 副詞, 感歎詞와 같은 境遇가 있는데 그것을 品詞 通用으로 잘못 判斷하기 쉽다. 修飾 機能만을 基準으로 하면 많은 品詞 通用이 생긴다. 修飾 機能은 品詞 分類의 基準이 될 수 없다. 名詞, 代名詞, 數詞 곧 명사(N)는 모두 명사(N), 동사(V), 부사, 어미구(EP)를 修飾하는 機能을 가진다. 명사(N)의 修飾 機能을 認定하면 명사(N)와 通用된다는 冠形詞, 副詞, 感歎詞는 通用이 아니라 명사(N)일 뿐이다.
    修飾 對象이 同一하여 修飾 機能에서도 差異를 보이지 않는다는 事實은 名詞, 代名詞, 數詞를 명사(N)로 設定하는 根據가 된다. 修飾語를 冠形詞와 副詞로 나누는 것은 修飾 對象이 다르다는 것이 根據이다. 名詞는 修飾 對象이 다르다는 理由로 區別하지 않으면서 같은 理由로 冠形詞와 副詞를 나누는 것은 均衡이 맞지 않는다. 名詞를 修飾하는 副詞의 存在도 冠形詞는 더 이상 獨立 品詞가 될 수 없다는 根據이므로 冠形詞와 副詞는 수식사Adjunct라는 새로운 範疇에 包含하여 品詞 通用을 解決할 수 있다.

    영어초록

    If analyzing a noun, a pronoun, and a numeral as an adjunctive, they can be easily misjudged as multicategory words because all of them modify words such as adnouns, adverbs and interjections.
    Referring to only the function and object of modification of a word, there can be many multicategory words. Therefore, its modifying function and object can not be the criteria of categorizing the parts of speech. A noun(N) including a noun, a pronoun, and a numeral has the function of modifying nouns(N), verbs(V), adverbs(A) and ending-phrases(EP). Recog- nition of the modifying function of a noun(N) can render an adnoun, an adverb, and an interjection not a noun-multicategory word but just a noun(N).
    Generally grouping a noun, a pronoun, and a numeral into the category of a noun(N) is because that they have the same object of modification and thus do not differ in the function of modification. And an adjunctive is divided into an adnoun and an adverb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in the object of its modification.
    However, differentiating an adnoun and an adverb based on the difference of its modified object while putting various kind of nouns into the same category because of the same reason is unreasonable. The existence of an adverb modifying a noun is also a reason why an adnoun cannot be a part of speech independently, so an adnoun and an adverb should be put into a new category ‘An Adjunct’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a multicategory wo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