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山 李象靖 서찰의 편집 목적과 書節要類에 담긴 학맥의 嫡傳 의식 -『大山先生書節要』를 중심으로- (A Study on Purpose of Daesan Yi Sangjung Compilation and Pupilship for Academic Steam Found in Seojeoryoryu(Summary of Letters) - Focusing on Daesansunsaengseojeoryo(大山先生書節要)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2
32P 미리보기
大山 李象靖 서찰의 편집 목적과 書節要類에 담긴 학맥의 嫡傳 의식 -『大山先生書節要』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99호 / 287 ~ 318페이지
    · 저자명 : 김기엽

    초록

    大山 李象靖의 서찰 選集은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된 『大山先生書節要』 12권 7책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大山書節要』 8권 4책이 발견된다. 立齋 鄭宗魯는 朱子書를 편집한 李滉과 退溪書를 편집한 스승 李象靖의 전례를 따라 大山書를 取擇하여 엮었다. 정종로의 후손 鄭東轍은 「大山先生書節要跋」을 지어 『大山先生書節要』를 편집한 이가 고조부 정종로임을 밝히고, 선현을 계승하고 후대에 가르침을 베푼 정종로의 뜻을 기렸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大山書節要』는 『大山集』의 편차를 따라 서찰을 수록하였고,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大山先生書節要』는 大山書를 事體에 관한 내용과 學理에 관한 내용으로 분류하여 수록하였다. 『大山先生書節要』와 『大山書節要』 두 書節要 자료는 안부 인사ㆍ상대에 대한 謙辭ㆍ이상정 개인의 상황을 전하는 전ㆍ후반부를 刪削하고, 事體나 學理의 요지가 담긴 중반부의 담론을 그대로 실었다. 영남 문인이 편집한 『李子書節要』, 『退溪先生書節要』, 『大山先生書節要』는 跋文에서 서찰 선정 기준과 함께 이황의 학맥에 대한 嫡傳 의식을 공통적으로 드러내었다. 鄭焜의 『李子書節要』에 序ㆍ跋文을 쓴 鄭之鏶ㆍ李蓍秀ㆍ許薰은 우리나라의 학문이 朱熹→李滉→柳成龍→鄭經世→鄭榮邦→鄭焜으로 전승되어 왔다고 서술하였다. 한편, 鄭宗魯와 金㙆이 『退溪先生書節要』 발문에서 밝힌 스승 이상정의 학맥은 李栽→李玄逸→張興孝→金誠一을 거슬러 올라가 李滉과 朱熹에게 연결된다. 정동철은 「大山先生書節要跋」에서 大山書를 편집한 정종로가 『朱子書節要』ㆍ『退溪先生書節要』를 편집한 이황ㆍ이상정의 뜻을 따랐다고 강조함으로써, 『朱子書節要』→『退溪先生書節要』→『大山書節要』로 이어지는 書節要 양식의 계승을 자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書節要를 편집하면서 자신의 저술로 자처하지 않으려 했던 이황ㆍ이상정의 겸양을 따르고 書節要의 체제를 본받은 것은 선현에 대한 존숭과 더불어 학문의 정맥을 담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e selected works by Daesan Yi Sangjung is found in 7 Books of Daesansunsaengseojeoryo(大山先生書節要) kept at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and 4 Books of Daesanseojeoryo(大山書節要) kept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ased on the examples of Yi Hwang’s compilation of works by Zhu Xi and Yi Sangjung’s compilation of works by Yi Hwang, Jung Jongro complied the works by Yi Sangjung. Jung Dongchul, who is a descendant of Jung Jongro, wrote Daesansunsaengseojeoryobal(大山先生書節要跋) to clarify that Daesansunsaengseojeoryo was compiled by his great-great-grandfather, Jung Jongro. He also praised how Jung Jongro inherited the ancient sages and taught lessons to later generations. The Daesanseojeoryo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contains the letters according to compilation order of Daesanjip(大山集). The Daesansunsaengseojeoryo of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categories Daesanjip into logic and circumstance of matter and academic logic. The two Seojeoryo materials, including Daesansunsaengseojeoryo and Daesanseojeoryo, reduces the introductory and last parts which deliver greeting, modesty, Lee Sangjung’s personal situation. Instead, they contain the full discourse in the middle part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t points in the logic and circumstance of matter and academic logic. The postfaces of Yijaseojeoryo(李子書節要), Toegyesunsaengseojeoryo(退溪先生書節要), and Daesansunsaengseojeoryo compiled by Yeongnam School’s scholar commonly indicate the criteria for selecting specific works and Pupilship for academic stream of Yi Hwang. The Jung Jijip, Yi Sisu, and Heo Hun who wrote preface and postface of Yijaseojeoryo by Jung Hon described that Korean academic stream transmitted in the order of Zhu Xi, Yi Hwang, Yu Sungryong, Jung Kyungsae, Jung Youngbang, and Junghon. Meanwhile, in the postface of Toegyesunsaengseojeoryo, Jung Jongro and Kim Goeng claimed that academic stream of Lee Sangjung transmitted in the order of Yijae, Yi Hyunil, Jang Heunghyo, and Kim Sungil and connected to Yi Hwang and Zhu Xi. In the postface of Daesanseojeoryo, Jung Dongchul described that Jung Jongro, who selected and compiled the works by Yi Sangjung, followed the ideas of Yi Hwang and Yi Sangjung who complied Jujaseojeoryo(朱子書節要) and Toegyesunsaengseojeoryo. This showed that Jung Jongro inherited the formats of Seojeoryo found in Jujaseojeoryo, Toegyesunsaengseojeoryo, and Daesanseojeoryo. The compilation by Yi Hwang and Yi Sangjung, selecting particular works, and adoption of Seojeoryo formats imply their reverence toward the ancient sages and guarantee of academic ve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