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종교(大倧敎)의 삼원(三元)적인 민족주체적 생명철학에 관한 현상학적 해석 (A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about The ethnic independent triple-dimensional(三元) life-philosophy of Daejonggyo(大倧敎))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04
32P 미리보기
대종교(大倧敎)의 삼원(三元)적인 민족주체적 생명철학에 관한 현상학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연구 / 77권 / 1호 / 7 ~ 38페이지
    · 저자명 : 이찬희

    초록

    대종교(大倧敎) 사상의 삼원적(三元的)인 구조는 세계를 이해하는 고유한 존재론적 의미를 가진 상징적인 지평이다. 이러한 삼원적인 지평은 후설(Husserl)이 ‘생활세계(生活世界, Lebenswelt, lifeworld)’라고 부른 고유한 원본적인 체험과도 같다. 그러므로 이것은 한국 민족의 고유한 존재이해의 지평이므로 한국인의 역사적 정체성과 주체성의 의미를 표현한다.
    대종교의 삼원적인 사유구조는 중국의 음양론과는 다른 한국 민족 고유의 시각이다. 천지인(天地人) 삼재론(三才論)의 구조는 허수 체계까지 포함한 수학적 직관주의의 태도와 유사하다. 이것은 한국의 고유한 존재이해이면서도 현대 과학의 기초에도 위배되지 않는다.
    대종교의 사유구조의 삼원성(三元性)에는 낳음[生]과 기름[活]과 살림[衷]의 세 가지 근본적인 존재론적 의미가 있다. 생(生)은 천도(天道), 기름(活)은 지도(地道), 충(衷)은 인도(人道)이다. 특히 인도는 현상의 천지인 삼재와 본체의 환인(桓因-天), 환웅(桓雄-地), 단군(檀君-人)의 삼신(三神)을 매개한다. 그리고 인도에는 분투하고 자각하고 의지하는 도덕생명(道德生命)과 영적(靈的) 생명의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인도가 천도와 지도를 조화시킴으로써 중용(中庸)의 이상이 실현된다. 이러한 삼원적 지평은 존재를 존재와 무의 이원성(二元性)으로 이해하는 것과는 달리 존재도 초월하고 무(無)도 초월한 절대긍정의 생명성을 근본 토대로 놓는 원본적인 신성(神聖)함의 체험에 근거한다.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이념은 바로 이 종교적인 영성(靈性)의 체험을 통하여 감성(感性)의 맹목과 지성(知性)의 오만으로 인한 사상적 다툼과 갈등을 절대긍정 속에서 회통(會通)하고 화해(和諧)시킨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elucidating that the cause of the pathological symptoms of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lie in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Won-Buddhist methods contribute to the treatment and integration for the sake of this ill society.
    The symptoms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represented by scientific civilization and capitalism are diagnosed and the causes are illuminated. As the first step to cure the symptoms, the meanings of ‘Cultivating the Spirit’ in ‘the Threefold Study’ and ‘The Four Essentials’ as social practices in the Won-Buddhist doctrine are explored. To begin with, causes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of the modern society are discussed from the gap between the great opening of the material and the great opening of the spirit. Second, ‘Cultivating the Spirit', namely the source of the great opening of the spirit, is explored as the means of healing in the personal and social dimensions. Third, as the practical method to overcome division in the social dimension,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practice of the ‘Four Essentials’ is discussed and then a proposal for the social healing and integration by religions including Won-Buddhism is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nfronting the view that religiosity included in the internal awakening and faith is separated from the social and practical problems and instead verifying that the religiosity could lead to fundamental reformation in society and poli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