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遺事에 보이는 人名(字) ‘大城, 猒髑’의 再考 (Reinterpretation of the name[人名] ‘Dae Sung[大城] and Yum Chok[猒髑]’ in 『Three kingdoms history[三國遺事samgookyous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12
36P 미리보기
三國遺事에 보이는 人名(字) ‘大城, 猒髑’의 再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45호 / 265 ~ 300페이지
    · 저자명 : 한연석

    초록

    일반적으로 『三國遺事』에 출현하는 ‘頭大頂平如城因名大城’의 ‘如城’을 ‘城과 같다.’로 해석한다. 하지만 이를 ‘大城’과 연관시켜 ‘대골(갈)’로 釋讀하고, 이때 ‘如’의 訓 ‘다이’는 ‘大’를 나타내며, 城은 ‘忽(골, 갈)’의 訓借라고 釋讀하기도 한다. 하지만, 끊어 읽기나 신라인들의 作名 경향을 고려하면, ‘大城’은 金大城의 頭狀의 특징인 頭大와 頂平을 각각 반영한 이름으로 보인다. 大城의 大는 頭大를, 城은 頂平의 平을 반영한 것으로, 넓고 평평한 ‘벌’을 城(平)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벌’을 나타낸 ‘伐, 火, 弗’ 등이 景德王 이후 ‘城’으로 수렴되었음을 참고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頭大頂平如城’은 ‘頭大, 頂平如城’으로 끊어 읽고 ‘머리는 컸고, 정수리는 마치 벌(판)과 같았다.’로 해석할 수 있다.
    『三國遺事』에 출현하는 異次頓의 字 ‘猒髑’의 猒과 髑에 대해 교감과 해독이 엇갈린다. 일부 연구자들은 각 판본의 자형출현 빈도를 참고하여 ‘猒’은 ‘(猬)’가 正字이고, 따라서 ‘싫다’가 아닌 ‘고슴도치’로 해독한다. ‘髑’의 독음 역시 ‘촉’이 아닌 ‘독’으로 읽고, 조사가 아닌 ‘~사람’으로 釋讀할 것을 주장 한다. 이렇게 ‘猒髑’ 혹은 ‘髑’으로 읽고 ‘싫어하는 사람,’ ‘선한 자,’ ‘고슴도치’로 각각 다르게 釋讀하기도 한다. 正否를 떠나 한문학적, 한자학적인 입장에서 猒髑의 猒은 보다는 猒이 옳다. 이유는 가 자전에 보이지 않고, 고대 전적의 復刊本은 誤字나 탈자가 가끔 있기 때문에 字形 출현의 多少로 正誤를 가릴 수 없으며, ‘고슴도치’를 나타내는 ‘猬(蝟)’는 晉 郭璞의 『爾雅注』, 玉篇(543년), 文選注(658년), 集韻(1066년) 등에 출현함에도, 존재하지 않는 자를 만들어 쓰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은 作字 경향과 ‘猒髑’의 釋讀이다. 字는 대부분 名字와 유관한, 좋은 德目이 함유된 글자로 지어 자아를 완성하도록 한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字를 가진 사람 9명 중에 8명이 좋은 字義로 字를 지었다. 金仁問의 仁壽, 薛聰의 聰智, 淵男生의 元德, 金陽의 魏昕 등은 名과 字를 연동시켜 이름을 보충하거나 확장하였다. 그런데 유독 異次頓만 ‘고슴도치’ 혹은 ‘싫다’의 상서롭지 못한 뜻으로 字를 지었다는 것은 당시의 作字 문화와 부합되지 않는다.
    다음은 ‘猒’의 釋讀 문제이다. ‘猒’은 本義 ‘실컷 먹음,’ 引伸의 ‘만족하다,’ ‘싫다’에서 ‘美盛貌, 美(세련됨),’ ‘信服’으로 再引伸되었다. 이곳은 再引伸義로 釋讀해야 한다. 字를 가진 9인 중 유독 이차돈만 이름이 없는데, 기록과정 중 탈루된 것인지, 字로 알고 있는 ‘猒髑’이나 ‘異次頓’ 중 하나가 이름이 아닌지, 아니면 作字 문화의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姓氏 ‘朴’을 염두에 두고 지은 字인지 의문이 든다. 현재의 자료로는 姓氏 ‘朴’의 ‘本性, 本質, 朴實(淳朴)’이라는 義를 猒(厭)의 ‘美盛貌, 美,’ ‘信服’으로 보완한 것으로 보인다. 字로 姓을 보완한 예는 아직 찾지 못했지만, 朴(樸)의 가공되지 않은 朴實을 가공의 상태인 ‘美盛貌, 美(세련됨)’로 인격의 완성을 이루려 한듯하다.
    ‘猒’의 音借 異次頓의 ‘이도/이쳐도’(싫다.)와 ‘美盛貌, 美,’ ‘信服’의 어원적 연관은, ‘猒’의 ‘싫도록(실컷) 먹다(飽)’와 관계있다. ‘실컷 먹음’에서 만족, 왕성함(盛)으로, 다시 왕성하면 아름답기 때문에 ‘美’로, 아름다움, 가득 참(만족)으로부터 信服이 인신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중세어로 ‘이도/이쳐도(異次頓)’가 ‘싫다’이지만, 신라인들은 이를 ‘美盛貌, 美,’ ‘信服’과 유관한 뜻으로 인식한 듯하다. 猒髑, 異次頓 등의 ‘頓, 髑, 道’ 등은 일연이 말한 것처럼 접미사로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His big head and flat top of the head made it look like a castle.[頭大頂平如城doodaejungpyungyusung]’ This sentence is related to someone named Kim Dae Sung[金大城] from 『Three kingdoms history[三國遺事samgook yousa]』. Some researchers interpret ‘like a castle[如城yusung]’ as ‘big head[大頭daegol]’ by connecting it with ‘big castle[大城daesung]. The letter ‘like[如yu]’ in ‘like a castle[如城yusung]’ was interpreted as ‘dai’ in 15th century which became ‘dae’ as an abbreviation and this ‘dae’ was indicated as ‘big[大dae]’. The letter castle[城sung] in ‘like a castle[如城yusung]’ is indicated as ‘skull[忽gol]’. This made ‘like a castle[如城yusung]’ interpreted as ‘big skull[daegol(gal)].
    However if you take a look at Silla people’s naming[作名jakmyung] trend, Kim Dae Sung[金大城]’s first name Dae Sung[大城] represents each ‘big head[頭大doodae]’ and ‘flat top of the head[頂平jungpyung]. Big[大dae] represents Big[大dae] in ‘big head[頭大doodae]’ and castle[城sung] represents flat[平pyung] in ‘flat top of the head[頂平jungpyung]. (The letter that represents ‘field’ changed from flat[平pyung] to ‘castle[城sung]’ after King Kyung Duk[景德王kyungdukwang]).
    Some interpret Lee Cha Don[異次頓]’s courtesy name[字ja] ‘Yum Chok[猒髑]’ differently such as ‘hedgehog’, ‘hate’, ‘good person’, who was reffered in 『Three kingdoms history[三國遺事samgookyousa]』. Courtesy name[字ja] plays a role as complementing the meaning of one’s original first name or last name. Lee Cha Don[異次頓]’s first name[姓sung] is ‘Park[朴]’ and ‘Park[朴]’ originally has the meaning of ‘nature[本質bonjil]’ and ‘being honest[淳朴soonbak]’. Giving him the courtesy name[字ja] ‘Yum Chok[猒髑]’ that has the meaning of ‘sophisticated[美me]’, ‘believing and obeying[信服sinbok]’ complements his last name, wishing him to become a great 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敎育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