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후기 『대전화상주심경』의 수용과 사상사적 의의 (The significance of acceptance of 『Dadian he shang zhu xin jing(大顚和尙注心經)』 in the late Goryeo perio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08
33P 미리보기
고려후기 『대전화상주심경』의 수용과 사상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57호 / 181 ~ 213페이지
    · 저자명 : 조명제

    초록

    『대전화상주심경』(이하 『주심경』)은 한국불교에서 중시된 『반야심경』 주석서이다. 이 책의 저자는 당의 대전보통(大顚寶通)으로 알려져 있지만, 송의 대전요통(大顚了通)이다. 이 책은 송대 선승들의 어구가 적지 않게 인용되어 있고 내용으로 보아 공안선의 성행과 관련된 선적이다. 대전요통은 북송 말 남송 초에 활동한 조동종의 선승이며, 투자의청-부용도해-천제유조의 법맥을 계승하였다.
    대전이 『주심경』을 저술한 배경에는 북송 말 남송 초에 조동종에서 『반야심경』에 대한 주석서가 저술되었고, 공안선이 유행하면서 조동종에서 송고집, 평창록 등이 제시되었던 사상적 동향과 연관된다. 『주심경』에 인용된 문헌은 석두계 선승들의 오도송이나 고칙 공안이 많이 인용되었고, 송대 조동종에서 많이 활용된 송고 작품이 적지 않다.
    『주심경』에 인용된 문헌은 불전과 선적이 대부분이지만 유교, 도교 경전도 제법 활용되었다. 선적은 『주심경』에 가장 많이 인용된 문헌이며, 당대의 공안, 송대의 착어 등이 대부분이다. 인용된 어구와 착어가 다양하지만, 당대 이후 조사로는 청원 계열, 특히 조동종의 조사가 많다. 대전은 『반야심경』의 어구에 대한 훈고보다 실제 본문 내용과 연관이 없는 내용을 착어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향은 대전이 제시한 착어가 집약된 회마에 잘 드러나며, 자신이 지닌 공안 비평의 안목을 드러낸 것이다.
    『주심경』은 12~13세기에 송의 선적이 방대하게 수용되는 과정에서 고려에 전해졌다. 다만 간행 사실이나 현존 판본을 통해 드러나듯이 『주심경』은 고려 말에 본격적으로 수용되었다. 고려 말에 『주심경』이 주목을 받았던 사상적 배경과 이유는 당시 사상계의 수요와 관련된다. 먼저 고려 말에 간화선이 성행하였지만, 여전히 공안 비평에 대한 사상적 수요가 존재하였다. 또한 선종이 불교계를 주도하던 흐름에서 경전 주석서도 교종에서 제시한 것보다 선승들이 저술한 것이 폭넓게 수용되었다.
    한편, 고려 말에 사대부가 불교를 비판하는 경향이 고조되었고, 불교계가 사상적 대응의 일환으로 유불도 삼교일치론을 제시하였다. 『주심경』은 송, 원대에 전진교에 깊은 영향을 주었고, 장구성의 『반야심경주해』에 드러나듯이 삼교일치론에 부합하는 내용을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주심경』의 문헌적 성격이 고려 말 조선 초의 사상적 경향에 부합하였기 때문에 당시 사상계에서 수용되고 확산되었다.

    영어초록

    『Dadian he shang zhu xin jing』 is the most published and valued annotation book in Korean Buddhism. Previous research on 『Dadian he shang zhu xin jing』 has remained at the level where bibliographic research on identifying the author of the book as well as clarifying the meaning of several editions is presented.
    The received idea that the author of the book was DadianBaotong[大顚寶通] in the Tang dynasty, needs to be re-examined. On the basis of the review of the preface record of 『Dadian he shang zhu xin jing』 as well as the fact that lots of phrases of the Chan Sect in the Song dynasty were cited in the book,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author was DadianLiaotong[大顚了通], who belonged to the line leading to the CaoDong sect[曹洞宗]'s TouziYiqing[投子義靑]-FurongDaokai[芙蓉道楷]-ChzntiWeizhao[闡提惟照]-DadianLiaotong. In short, it is clear that 『Dadian he shang zhu xin jing』 was written before Zhang Jiucheng[張九成]'s annotation, which was written between the end of Northern Song and the beginning of Southern Song dynasty.
    The background of Dadian's writing of 『Dadian he shang zhu xin jing』 is related to the intellectual trends of the CaoDong sect after the Northern Song period. It is worth noting that a number of scripture annotations, including 『Bore boluomiduo xinjing(般若心經)』 and 『The Diamond Sutra(金剛經)』, were written in the CaoDong sect. In addition, the CaoDong sect also presented Songgojip(頌古集) and Pyungchangrok(評唱錄) as Gongan chan[公案禪] became popular.
    The result of examining what kind of zen monk’s works were quoted in the 『Dadian he shang zhu xin jing』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nd that was prominent in the CaoDong sect. For example, Dadian cited a lot of Odosong(悟道頌) and Gongan of the monks of Shitou(石頭) sect, and valued Songgo(頌古) works that were championed by the CaoDong sect in the Song period. In addition, unlike other annotation documents, which consisted of didactic stories, the 『Dadian he shang zhu xin jing』 was written in the way that Dadian carefully selected and cited the zen monks’ Chakeo(著語) during the Song period.
    It is possible that 『Dadian he shang zhu xin jing』 was handed down to Goryeo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in the process of vast acceptance of zen monk’s works in the Song period. However, was first published and enthusiastically receive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when the Shidafu[士大夫] increasingly levelled criticism at Buddhism.
    In order to respond to such trend, the Buddhist community proposed the Consistency of Three Religion(三敎一致論), that i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Dadian he shang zhu xin jing』 had a deep influence on the Quanzhenjiao[全眞敎] during the Song and Yuan period. The book was accepted in earnest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s it had content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unity.
    In addition, there was an intellectual demand for the critique of Gongan[公案] amid the popularity of Ganwhaseon(看話禪)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e writings of zen Buddhist monks were more widely accepted than those presented in the non-Zen Buddhism[敎宗] during the time when Zen Buddhism led the Buddhist world. In conclusion, the acceptance and popularity of 『Dadian he shang zhu xin jing』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can be attributed to this ideological tre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