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校本歷代時調全書≫의 편찬 의도와 과제 (The Purpose of Compiling The Comparative Edition Revised Edition of Sijo Collection of the Past(≪校本歷代時調全書≫) and Our Task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03
28P 미리보기
≪校本歷代時調全書≫의 편찬 의도와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50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이경영

    초록

    모산 심재완 선생은 1972년에 드디어 ≪校本歷代時調全書≫를 출간하게 된다. ≪校本歷代時調全書≫는 20여 년에 걸친 모산 선생의 대표적인 과업으로 누구나가 인정하는 방대하게 집대성한 力著임을 인정이다. 이 글은 선생이 ≪校本歷代時調全書≫를 편찬하게 된 배경을 살피고 이 저술이 갖는 편찬 의도와 과제를 살펴보았다.
    ≪校本歷代時調全書≫는 ≪靑丘永言≫이 있은 이후 당시까지 알려진 1700수의 고시조의 두 배에 가까운 총 3,335수의 시조작품을 망라하여 하나의 궤로 꿰어 정리하였다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현전하는 작품들의 이본과 각종가집 이를테면 국내에 있는 甁窩歌曲集, 靑丘永言 등 43종의 가집 등은 물론 판본. 寫本, 심지어 한 조각의 紙片 및 해외자료까지를 모두 가나다 순으로 1점1자까지도 이본과 交合하고 作家曲目의 對比 및 소개를 하고 있다. 각종문헌의 서발 및 한역시조까지도 전재하고는 아울러 중종장의 색인도 일목요연하게 달아놓은 점, 또한 노래가사의 내용에 따라 연주현장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작가, 문학작품의 의미가 중요한 주석사전의 성격을 넘어서서 대교사전으로서의 의미, 곧 작가, 문학작품의 의미뿐만 아니라 각 작품의 다양한 변주에 주목까지 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校本歷代時調全書≫가 남긴 과제들로는 새롭게 발굴된 자료들을 계속 보완하고 업데이트하면서 대교 본래의 연구 성과를 축적해가는 일, 발굴된 자료를 한두 연구자가 향유할 것이 아니라 다수 연구자가 공유하여 연구에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하는 점, 시조 미학에 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 시조 작품을 문화콘텐츠화하거나 스토리텔링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현대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강구해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 보다 넓은 의미에서 문학 작품의 정본 확정에 따른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는 점, 현대시조와 연계화하는 작업과 대중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The compilation of The Revised Edition of Sijo Collection of the Past (≪校本歷代時調全書≫) is a project representing the effort of Mr. Shim Jae-Wan (慕山沈載完) for over a period of 20 years. For the study of Sijo works, he recognized the urgency of the study not only on the idea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eriod concerned but also on the Sijo authors. Further, he realized that the revision of Sijo works is an urgent and important task, and completed his projects for this one by one. This volume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collected Sijo pieces that had been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for the long period of a thousand years and compiled them into a coherent volume.
    The focus of the book is on the revisions rather than annotations on Sijo works collected. The musical information packed in the edition is hard to find in any other dictionary. The volume has the character of “a collection of the history of Sijo” by arranging all the Sijo selections [editions] collected in chronological order.
    Now the key tasks ahead of us are as follows: (1) To continue to supplement and update newly discovered materials; (2) To build a database of discovered materials available to many researchers for immediate use for research; (3) To promote research on Sijo authors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definitive version of Sijo texts; (4) To examine the speci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aesthetics of Sijo as well as the minute differences in the style of the first stanza, the second stanza, and the third stanza of a Sijo; (5) To actively seek ways to contribute to contemporary society by using Sijo works as cultural contents or by making use of the medium of storytelling; (6) To link old Sijo works with modern Sijo works and make Sijo more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As a unique and original genre of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Sijo is still vividly alive in modern times, and the form of Old Sijo has been handed down to Modern Sijo through the Sijo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work that started with The Comparative Edition of Sijo Collection of the Past (≪校本歷代時調全書≫) continued with The Great Dictionary of Old Sijo (≪古時調大全≫), followed by Sijo in Our Times; Poems of 100 Poets, Goyoachim Series of Young Sijo Poets(<現代時調 100人選>), and The Great Dictionary of Modern Sijo of Korea. On the strength of these ceaseless and painstaking efforts, I sincerely hope to see the popularization and revival of Sijo in our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