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醫寶鑑』의 四大說 수용과 三敎會通 思想 (Donguibogam (東醫寶鑑)’s acceptance of the Buddhist four elements (四大說) and Three Religions-Unity Theory (三敎會通 思想))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9.12
26P 미리보기
『東醫寶鑑』의 四大說 수용과 三敎會通 思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53호 / 277 ~ 302페이지
    · 저자명 : 이기운

    초록

    許浚이 편찬한 『동의보감』은 우리나라 한의학의 근본 텍스트로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東醫寶鑑』에 수용된 불교의 사대설을 고찰하고 그 수용양상을 밝히며, 나아가 유교 도교의 수행사상 속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해명하는데 있다.
    허준은 『동의보감』 集例에서 간략히 불교의 四大[地‧水‧火‧風]를 직접 거명하여 인체 구성의 중요한 요소라 하였고, 이 醫書가 불교의 사대설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身形편 身形臟府圖조에서는 우주의 현상이 인체에 들어 있음을 밝히면서, 사대가 五常과 함께 인체를 구성한다고 하였다.
    『동의보감』내경편의 서술방식을 보면 만물의 형성이 인간의 형성과 같음을 들어 우주의 本體論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四大形成조를 중심으로 인체의 四大病因論을 전개하면서 본체론에서 心性論으로 전환되고 있다. 身形篇에서는 불교의 전적과 上養子설을 인용하여 불교의 사대요소설을 수용하고, 사대의 부조화로 인한 오장육부 병의 발생을 설명하는 사대병인론을 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대부조화는 하나의 氣의 흐름으로 보아 음양오행설과 결합함으로써 병의 치유와 수양론(양생론)으로 전개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동의보감』에서 사대설을 수용한 의의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대설에 의해서 신체 각 요소들(오장육부와 여타 기관들)은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하나의 신체에 통합되어 하나의 생명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사대가 정신적 요소와의 가화합체로 보아 오장육부의 병의 원인과 치유 및 수양을 심성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주었다.
    『동의보감』은 도교적 측면에서는 인간의 心身의 내경 외형을 통괄하는 주체로서 四大와 삼요가 있고, 정‧기‧신(삼요)은 오장육부와 근골 피부에 이르는 인체를 통괄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오장육부의 병과 치유는 三要를 단련하여 養生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동의보감』에서 유교적 측면에서 인체는 오장육부 제 기관을 통괄하는 사대와 仁‧義‧禮‧智‧信의 五常을 받아 가화합되었다고 한다. 이들의 운행은 理氣論으로 설명하여 수양론으로 나아가고 있다. 『동의보감』은 이와 같이 불교의 四大를 중심으로 한 삼교 회통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Donguibogam written by June Heo, has been regarded as a fundamental tex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four elements of Buddhism and theories of Confucianism and Taoism are explained in Donguibogam.
    June Heo briefly but clearly described in jiprye (集例) of Donguibogam that the Buddhist four elements(earth, water, fire and air)are essential parts that compose a human body. In addition, the part of Figure of Body and Viscera(身形臟府圖) of Donguibogam explained that the five phenomena in the universe and the Buddhist four elements compose a human body.
    Donguibogam’s acceptance of the Buddhist four elements has significance due to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the Buddhist theory of four elements allowed Donguibogam to understand a human body as an organic combination of the five viscera, the six entrails and other organs. Second, the theory laid a foundation for explaining how to cure the illness caused by the four elements through moral training based on Theory of Mind.
    Furthermore, Donguibogam applied the Taoist theory of cultivating mind and body and the Confucian theory of mental cultivation to medicine. From the Taoist perspective, Donguibogam explains that the Buddhist four elements are the essence of the human body and mind and the foundation of the internal organs, bones, tendons and skin. It also insists that we can nourish life by cultivating the essence, energy and spirit. On the other hand, Confucianism explains that the mind that can controlall the human organs composed of the four elements, is equivalent to the five virtues(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and sincerity). Therefore we can nurture the mind to remain healthy. Likewise, Donguibogam shows Three Religions-Unity Theory based on the Buddhist four el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