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海印寺大藏經板의 역사․문화적 공유의식 (The historical & cultural shared―consciousnes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海印寺大藏經板))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03
19P 미리보기
海印寺大藏經板의 역사․문화적 공유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76호 / 65 ~ 83페이지
    · 저자명 : 최영호

    초록

    이 글에서는 유네스코(UNESCO)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겨진 역사․문화적인 공유의식을 진단하였다. 13세기 중엽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 당시 고려 사람들이 품고 있었던 당대의 공유의식을 정리한 다음,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 담겨진 공유의식을 진단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조성사업 이후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긴 공유의식의 확장현상도 살펴보았다.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이 이루어지던 13세기 중엽 고려사회는 잔혹한 몽골 군사들의 침략에 따라 경제적 궁핍과 살상․포로․약탈의 대상으로 극한적인 공포와 위기 상태에 내몰려져 있었으며, 현실적 삶도 더욱 열악한 상태로 치닫고 있는 등 건국 이래 최대의 위기 상태에 직면하고 있었다. 특히 당시에는 고려사회의 핵심적인 전통가치와 상징으로 기능․인식된 불교문화유산과 불교기록유산들도 파괴․훼손되면서 불교계의 위기도 노출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당대 고려 사람들은 민족적 모순과 현실적 삶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대책들 가운데 핵심적인 하나의 통로를 불교와 불교유산의 조성사업에서 모색할 수 있다는 공유의식을 가지고 함께 실천으로 옮기기도 하였다. 불교와 조성불사가 몽골침략과 함께 현실적 삶을 극복할 수 있다는 공유의식을 가지고 실천하였다.
    13세기 중엽 조성된 해인사대장경판에는 몽골침략 등으로, 모든 고려 사람들이 겪던 민족적 위기와 현실적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불교적 기원의식과 신념이 담겨져 있었다. 국가 및 국왕․왕실의 안녕, 전쟁종식․외적 격퇴 등의 기원은 13세기 중엽 당대 모든 고려 사람들이 함께 바라던 공유의식으로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도 반영되어 있었다. 해인사대장경판에는 이러한 공유의식을 담고 있었으므로, 당대 고려 사람들과 불교계가 조성사업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조성사업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해인사대장경판은 조성사업 이후에도 현재까지 거의 온전하게 보존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조성사업의 당시나 이후에도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긴 역사․문화적인 공유의식이 지속적이고 확장적인 생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가능하였다. 고려사회에서뿐 아니라 특히 성리학적인 지배이념이 확산되고 불교사상이 억제되었던 조선시대에도 국가로부터 나라의 보물이라는 공유의식과 위상을 확보하면서 안정적인 보존 대책도 마련되는 등 우리 민족의 기록유산으로 인식되고 자리매김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대의 남북한에서도 국가적인 보물로서의 위상과 인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더구나 일본사회에서도 중세 이래 근대까지도 불교나 세계적인 보물로 인식되는 공유의식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공유의식으로 해인사대장경판은 2007년 6월 유네스코(UNESCO) 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인류의 보편적인 기록유산으로서의 위상과 가치가 공간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sharing―consciousnes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that UNESCO has listed as Memory of the World in 2007.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had been carved as a national project in the mid—13th century. at this time, the Goryeo(高麗)-Dynasty was undergoing a brutal invasion of Mongolia. In the process, the whole of Goryeo-people were feeling life threat, were suffering enormous material damage. In addition, Goryeo-society was experiencing destruction of the Buddhist heritage. Goryeo-Dynasty has been experiencing the greatest national crisis and realistic contradictions since its founding. in this realistic environment, the Goryeo-people responded by force to the Mongol invasion. on one hand, they relied on Buddhist beliefs.
    Goryeo-people carried out Buddhist events and sculptures with Buddhist beliefs. and they wished the stability of the state and the royal family, earnestly prayed for an end of the war(repulsion of Mongolian Invasion) and the well-being of their families. in particular, this origin is inscribed in the Buddhist sculptures that had created in the mid—13th century. therefore, this origin was a shared consciousness of the Goryeo-people in the mid-13th century.
    A creation project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also included in such shared consciousness. therefore, the Goryeo-people of the mid-13th century actively &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project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they participated actively and voluntarily with all their heart. the participated people of this creation project included from the king to the common people, were also included all Buddhist sects of the time.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is almost completely preserved to date even after the construction work. this was because the shared consciousness of the time had historical and cultural vitality even after the creation project.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 cultural value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nationally & continuously shared the Joseon(朝鮮)-Dynasty that the Buddhist faith was suppressed.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treasure in both Japanese colonial rule and modern society. this documentary heritage was also recognized as a national treasure in Japanese society. this documentary heritage has listed as UNESCO Memory of the World in 2007, is now established a universal heritage of world huma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