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符仁寺藏 『高麗大藏經』의 호칭과 조성 (A Wood Engraving and Appellation of the Buinsajang(符仁寺藏) GoryeoDaejangkyoung(高麗大藏經))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0.04
33P 미리보기
符仁寺藏 『高麗大藏經』의 호칭과 조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세사연구 / 28호 / 31 ~ 63페이지
    · 저자명 : 최연주

    초록

    『高麗大藏經』은 12세기 초엽 거란의 침입과 13세기 중엽 몽고의 침입때 각각 국가적 사업으로 판각되었다. 전자를 소위 初雕大藏經, 후자를 소위 再雕大藏經이라 한다. 이는 1900년대 초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雕造의 回次에 의해 구분된 명칭으로 국내 연구자들도 답습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고려대장경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연구를 통해 부인사장 『고려대장경』과 강화경판 『고려대장경』으로 호칭되고 있다. 이는 고려대장경의 역사성과 판각기간, 소장 장소를 고려한 명칭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부인사장 『고려대장경』은 현종 2년 거란이 침입해 오자 佛力으로 이를 물리치기 위하여 판각되었다. 삼국시대에 전래된 국내 傳存 불교경전 및 ‘鄕本’을 비롯하여 ‘송본’, ‘단본’ 등을 저본으로 하여 여러 대장경을 교감하면서 일부 내용을 첨삭 또는 취사선택하여 經․律․論으로 체계화하면서 종합화하였다. 고려 불교계가 이룩해 놓은 교학적 발전 수준을 반영하면서 송․거란의 대장경보다 내용면에서 우수한 표준대장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조성과정에서 삼국시대 불교의 전래․수용된 초기 경전의 필사본과 卷子本․單本 등 전국에 산재된 불교경전을 경․율․론 체계로 재편성하면서 새로운 통합을 이루기 위해 국가적 사업으로 진행하였다. 즉 여러 대장경을 교감하고 일부 내용을 첨삭 또는 취사선택하는 등 엄밀한 비판을 한 후 저본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서체로 조성하였을 것이다.

    영어초록

    GoryeoDaejangkyoung(高麗大藏經) became twice wood engraving as the national enterprise. The first published in the 12th century and second published in the 13th century. Generally the former ChojoDaejangkyoung(初雕大藏經) and the latter JaejoDaejangkyoung(再雕大藏經) is calling. Japanese researchers the according to the wood engraving order which has become are to calling a name.
    The Korean researchers most is using the contents of Japanese researcher like that. For example, calls PalmanDaejangkyoung(八萬大藏經)․HaeinsaDaejangkyoung(海印寺大藏經) etc. but mostly calling ChojoDaejangkyoung and the JaejoDaejangkyoung. In order to recognize the historical character of GoryeoDaejangkyoung properly must investigate a name in many kinds. There should be wider discussion about the terminology which is the ChojoDaejangkyoung and the JaejoDaejangkyoung.
    The various opinion was presented recently about Goryeo Daejangkyoung name. Among those the name which is Buinsajang(符仁寺藏) GoryeoDaejangkyoung and Kanghwakyungpan(江華京板) GoryeoDaejangkyoung was announced. This consider the historicity and engraving period, an enshrinement place.
    After that recognizes Buddhism many the Tripitaka was introduced from China. The course which is various leads and obtains Tripitaka, also the case where the nation demands officially was many. Being representative was obtained as the Songbon(宋本) and the Danbon(丹本) according to at that time international relations. Create Buinsajang GoryeoDaejangkyoung based on published the Songbon and Danbon, Tripitaka of domestic. This classifies with each field by systematically will make a new integ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중세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