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자휘에게 끼친 대혜 종고의 영향 (The Influence of Dahui Zongao(大慧 宗杲) on Liu Zihui(劉子翬))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06
28P 미리보기
유자휘에게 끼친 대혜 종고의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88호 / 221 ~ 248페이지
    · 저자명 : 이원석

    초록

    주희 초년 시절의 스승인 유자휘(劉子翬, 1101-1147)는 젊은 시절 대혜 종고(大慧 宗杲)로부터 학문적 비판을 받고 이후 자신의 사상적 내용을 수정함으로써 유불조화론(儒佛調和論)의 한 양상을 보여준 인물이다. 대혜가 보기에 유자휘가 취한 수행법의 문제점은, 묵조선적 선정(禪定)을 추구하는 동시에 이성적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또한, 유자휘는 『주역』의 주요 구절을 『금강경』의 주요 구절에 대응시키려 했는데, 그가 이런 오류를 범한 까닭은 생사의 관문을 깨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대혜는 지적했다. 본론에서 분석한 유자휘의 「성전론(聖傳論)」은 그가 대혜의 비판을 어느 정도 수용하였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우선 유자휘는 도(道)에 대해, 그것이 단지 고요하고 공허한 동일적 본체일 뿐만 아니라 다양성의 원리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마음’은 본래 적막하여 움직이지 않는 고요한 것이지만 외물과 감응하여 적절한 감정을 낼 수 있는 것이며, 더욱 중요하게는 그것이 본성과 감정을 정밀하게 변별하는 주재자의 역할을 감당한다고 보았다. 그다음, 유자휘는 사려 및 호오의 감정을 제거함으로써 마음을 고요하게 만들려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가능하지도 않으며, 대신 선을 사유하고 그것을 좋아하는 쪽으로 마음의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유자휘는 이상적 모범으로서 공자를 제시하되, 생사의 관문을 깬 인물로 그를 재해석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유자휘의 논변 이면에서 장재(張載)의 철학 사상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첫째, 유자휘는 도와 세계의 본질을 일기(一氣) 개념으로 설명하는데, 주지하다시피 장재는 기론(氣論)의 명실상부한 대표자였다. 둘째, 마음 개념에 대한 유자휘의 설명이 장재의 심통성정설(心統性情說)과 매우 유사하다. 장재는 “본성과 지각을 합한 것이 마음”이라고 규정하였고 유자휘 역시 본성과 감정을 정밀하게 변별하는 것이 마음이라고 여겨, 두 사람 모두 마음의 역할을 상대적으로 부각했다. 이 글은 마지막으로 유자휘와 장재 사이의 연관성을 양자 사이의 인적 관계에 의해서 뒷받침했다.

    영어초록

    Liu Zihui(劉子翬, 1101-1147), a teacher in the early days of Zhu Xi, was criticized academically by Dahui Zongao(大慧 宗杲) when he was young and later revised his Confucian theory based on the criticism. In Daehui's view, the problem with the cultivative practices taken by Lui Zihui was to pursue that of Silent-Penetrative Seon(黙照禪) while also pursuing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it. In addition, according to Dahui, Liu Zihui mistakenly considered that Zhouyi's key phrases corresponds to those of the Diamond Sutra. Dahui pointed out that Liu Zihui committed such an error because he did not understand life and death problems. Liu Zihui's “Thesis on Saint’s Transmission(聖傳論)” indirectly shows that he accepted Dahui's criticism to some extent. First of all, Liu argued about Dao(道) that it is not only a still and empty identical body, but also a principle of diversity. In addition, he saw that Mind is inherently silent, but it can create appropriate emotions in response to objects outside the mind, and more importantly, it plays the role of the presiding one which accurately distinguishes human nature and emotions. Liu then argued that it is neither desirable nor possible to calm the mind by removing thoughts and emotions, and that instead, you should think about good and change your mind to like it. Finally, Liu presented Confucius as an ideal example, but reinterpreted him as a person who solved the problems of life and death. First, Liu explains Dao and the essence of the world through the concept of Yi Qi(一氣), and as is well known, Zhang Zai was a representative of the theory of Qi. Second, Liu’s explanation of the concept of mind is very similar to that of Zhang Zai. Zhang Zai stipulated that "the sum of nature and perception is the mind," and Liu also thought it was the mind to accurately distinguish between human nature and emotion, so both relatively highlighted the role of the mind. Finally, I supported the connection between Liu and Zhang by the human network between the tw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