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행가사와 산수유기(山水遊記) 비교 고찰 - 어당(峿堂) 이상수(李象秀)의 「금강별곡」과 「동행산수기」를 대상으로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traveling Gasa and the Sansuyugi - Focusing on Eodang Lee, sangsoo’s and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12
30P 미리보기
기행가사와 산수유기(山水遊記) 비교 고찰 - 어당(峿堂) 이상수(李象秀)의 「금강별곡」과 「동행산수기」를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81호 / 5 ~ 34페이지
    · 저자명 : 장정수

    초록

    본고는 19세기 문인인 어당(峿堂) 이상수(李象秀; 1820∼1882)의 기행가사인 「금강별곡」과 한문 유산기(遊山記)인 「동행산수기」의 구성 및 내용, 표현상의 특징, 사상 및 작가의 태도 등을 비교함으로써 기행문학의 다양한 범주 속에서 한글 기행가사와 한문 유산기(遊山記)가 어떤 맥락에서 창작되고 수용되는지, 작가가 각 장르를 통해 추구하는 미의식과 관심사는 어떤 차이를 지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금강별곡」은 출발부터 여행을 마친 소회까지 노정(路程)에 따라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정에서의 체험과 소회·정서를 파노라마식으로 진술함으로써 이야기 문학의 성격을 띤다. 반면 「동행산수기」는 여러 편의 독립적인 기문(記文)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의론(議論)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산수(山水)에 대한 심미적 경험을 철학적으로 풀어내는 수상록(隨想錄)의 성격을 띤다.
    「금강별곡」과 「동행산수기」는 내용 및 작가의 태도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금강별곡」은 금강산의 산수미를 드러내는 장치로 사용된 풍수사상 외에는 특별한 사상이 발견되지 않고 여행의 체험과 감흥이 주를 이루는 반면, 「동행산수기」에는 유교적 산수관(山水觀)과 설화·유적·유물 등을 대하는 학자적 태도가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서술 방법 및 표현 기법에 있어서는 두 작품 모두 묘사력이 뛰어나며 비유와 상상이 풍부하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지만, 「금강별곡」은 여행에 대한 감흥이나 소회를 직설적으로 토로함으로써 정서를 고양시키는 경향이 있고 「동행산수기」는 산수에 대한 이성적·비판적 인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차이를 지닌다.
    이상에서 제시한 차이들은 두 작품이 각기 다른 목적과 용도로 창작되고 향유되었음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금강별곡」은 작가 자신의 입장에서는 유람의 흥취를 노래하고 여행의 경험을 회고(回顧)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한문을 해독하지 못하는 주변인들을 위해서는 금강산 유람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독서물을 제공하기 위해 지었다고 할 수 있다. 「동행산수기」는 단순한 유람 기록이 아니라 작가의 산수자연에 대한 심미적 체험, 산수에 대한 철학적 인식의 결과물로서 자아 성찰·정신적 성장을 위한 글쓰기의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ares the structures, contents,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thoughts and the writer's attitudes in the traveling Gasa <Geumgangbyeolgok> and Sansuyugi <Donghaengsansoogi> written by 19th century poet Eodang Lee, Sangsoo (1820~1882). And I examined how the Han-gul Gasa and Chinese Sansuyugi were created and accepted and the differences of the aesthetics and interests pursued in the various categories of travel literature.
    <Geumgangbyeolgok> is organized organically according to the route from the departure to the impression of finishing the journey.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narrative literature by stating the experience, the subculture and the emotion of the itinerary in a panoramic way. On the other hand, <Donghaengsansoogi> is consisted of the several independent texts occupied a large part with the discussions. It has the character of an essay, which philosophically unravel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Nature.
    They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s and the author's attitude. In addition to fengshui, which was used as a device for displaying scenic beauty of Mt. Geumgang. No special thought is found, but experience and inspiration of travel are main in <Geumgangbyeolgok>. On the other hand, the confucian view of nature and the scholarly attitude to the tales, ruins, remains are strongly expressed in <Donghaengsansoogi>.
    In terms of the narrative and expression techniques, both works have a strong point of description and are rich in analogy and imagination. However, <Geumgangbyeolgok> has a tendency to enhance emotions by directing inspiration and subculture to travel, And that <Donghaengsansoogi> has a lot of rational and critical perception on the Sansoo.
    The differences presented above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two works were created and enjoyed for different purposes and uses. <Geumgangbyeolgok> is a book for enjoying excursions and recalling the experience of the trip from the viewpoint of the artist himself and also provides the reading materials for indirect experience of excursion for those who cannot decipher Chinese texts. <Donghaengsansoogi> is not a simple tour record, but a result of the artist's philosophical awareness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nature. And is came from the process of writing for self-reflection and spiritual grow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