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마산지역 일본불교의 활동과 마산포교당의 대응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e Activities of Japanese Buddhists in the Masan Area of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Response of the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5
24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마산지역 일본불교의 활동과 마산포교당의 대응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1호 / 295 ~ 318페이지
    · 저자명 : 김성순

    초록

    본 논문에서는 1910년-1920년대 개항기를 중심으로 일본불교가 마산지역에 들어오는 상황과, 이에 대응하여 통도사에서 마산포교당을 설립하고, 마산지역민들을 대상으로 교육과 포교, 문화사업을 진행했던 모습을 역사학적 자료를 통해 고찰했다. 이 글에서 마산포교당의 사람들로 설정된 주체는 포교사를 비롯하여 포교당의 신도들, 포교당을 주축으로 하여 결성된 마산불교위원회, 배달학원과 배달유치원의 운영진, 교사, 후원자들을 모두 포괄한다.
    1876년 개항과 함께 본격적으로 일본불교의 한국진출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변화와 맞물려 한국불교에서도 개별 사찰에서 포교당을 설립하여 교육과 포교활동을 진행하는 근대화 현상을 견인하게 된다.
    마산포에서도 정토종을 필두로 하여 정토진종, 일련종, 일련정종, 진언종, 조동종 그리고 금광교나 천리교 등의 신종교들까지 종파 별로 신마산 지역에 포교소를 설치했다.
    통도사에서 세운 마산포교당에는 김경봉(金鏡峰)이 초대 주지로 부임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경봉과 장지연의 만남이 이루어지면서 주변의 불교인사들도 함께 시대적인 문제의식을 교감했던 것으로 보인다. 장지연이 설립 초기부터 함께 했던 마산불교진흥회 회원 상당수가 항일단체인 마산 신간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었으며, 팽석재를 비롯하여 여러 명의 회원이 한국의 공식적인 독립유공자 기록에 남아있다. 그 외 독립운동 관련 기록에서 누락된 이들도 상당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마산포교당에서는 마산불교진흥회와의 협력을 통해 배달학원과 배달유치원을 설립하여 교육과 포교는 물론 지역의 문화사업까지 진행하는 문화센터로서의 역할까지 해내고 있었다. 작은 규모의 포교당이지만, 그 구성원인 포교사와 신도들이 그 시대 마산에서 해냈던 교육과 사회사업은 물론 독립운동의 궤적 역시 만만치 않았음이 확인된다.

    영어초록

    This essay focuses on the period of between 1910 and 1920, when Korea opened its ports, and uses historical documents to analyze the entrance of Japanese Buddhist into the Masan area, the establishment of the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at Tongdosa Temple in response, and the education, cultural enrichment, and missionary activities targeting Masan area residents. This paper includes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including Buddhist missionaries, devotees of the center, the operators of the Baedal School and Baedal Kindergarten as well as instructors and supporters, and the Masan Buddhist Committee, which forms the core of the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Following the opening of Korea’s ports in 1876, Japanese Buddhist practitioners began entering into Korea in significant numbers, in response to this change, mission centers were also established at Korean Buddhist temples, and they pushed forward modernizing practices such as education and missionary outreach.
    With the Pure Land Sect at the head at Masan Harbor, the True Pure Land Buddhism Sect, the School of Nichiren, the Orthodox School of Nichiren, the School of Shingon Buddhism, the Soto School, as well as new religions such as the Konkokyo Sect and Tenrikyo Religion all established missionary centers in the New Masan Region.
    Kim Gyeong-bong was invited and appointed as the main monk at the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at Tongdosa Temple. This is where it appears Kim Gyeong-bong and Jang Ji-yeon met and shared their feelings and opinions on contemporary issues with Buddhist figures in the surrounding area. Many members of the Association for Promoting Masan Buddhism, which had collaborated with Jang Ji-yeon from early on, were active in the Shingan Association that anti-Japanese groups.
    Moreover,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Association for Promoting Masan Buddhism, the Baedal School and Baedal Kindergarten were established at the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and it served as a cultural center that oversaw education and missionary activities as well as cultural projects in the area. Although the scale of the missionary center was limited, the educational and social initiatives accomplished by the missionaries and believers as well as the deeds of independence activists were not inconsequent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