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뮤지컬 <여기, 피화당>의 고전소설 <박씨전> 변용 양상과 고전문학콘텐츠화 방안 (Transforming the Classic Novel “Pakssijeon” into the Musical “Here, Piwhadang” and Plans for Converting Classical Literature Conten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6
32P 미리보기
뮤지컬 &lt;여기, 피화당&gt;의 고전소설 &lt;박씨전&gt; 변용 양상과 고전문학콘텐츠화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74호 / 9 ~ 40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혜

    초록

    이 논문은 뮤지컬 <여기, 피화당>이 고전소설 <박씨전>을 현대적으로 변용한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고전문학콘텐츠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Ⅱ장에서는 <여기, 피화당>이 <박씨전>을 수용하고 변용한 양상을 스토리텔링 방식, 인물과 사건 형상화, 공간 배경의 의미에 대한 재해석이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눠서 살펴보았다. 스토리텔링 방식 측면에서 <여기, 피화당>은 극중극을 통해 전체극 인물이 글을 쓰면서 내부극 인물의 서사와 교접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인물과 사건 형상화 측면에서는 인물의 신이성과 사건의 환상성을 약화하는 대신 청나라로 끌려갔다가 속환된 여성의 상처와 현실의 비극적 삶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여기, 피화당>은 물리적 공간인 피화당이 아닌 글쓰기와 글쓰기를 통해 구축된 허구 공간인 서사세계에서 세 여성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발견하였다.
    Ⅲ장에서는 <여기, 피화당>의 사례를 통해 발견한 고전문학콘텐츠화의 방안을 세 가지 제시하였다. 첫째, 작자 미상인 고전문학 향유층에 대한 적극적인 상상을 통해 서사적 채워넣기가 필요하다. 작자 미상은 고전문학콘텐츠화에서 텅 빈 기표이자 공백으로 작용하며 다른 서사와의 접속을 통해 기의와 내용이 채워지는 과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원전의 매체와 변환되는 매체의 언어를 고려한 다양한 스토리텔링 방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셋째, 동시대 향유층의 욕망과 교감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동시대 향유층의 관심과 욕망과 접점 지점을 찾아 고전문학이 특정 시기에만 향유되던 서사가 아니라 오늘날 향유층의 이야기, 우리 주변의 이야기로도 치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전문학콘텐츠는 동시대 향유층의 욕망과 교감한 산물이면서 동시대 향유층의 무의식적 욕망을 읽어낼 수 있는 척도이다. 그렇기에 향유층이 갈등을 봉합하고자 하는 욕망, 대안을 상상하기 힘든 담론적 고착 상황이 반영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고전문학콘텐츠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동시대 향유층의 욕망과 교감하면서도 갈등을 봉합하고 안주하고자 하는 욕망을 선회할 수 있는 실험과 도전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musical “Here, Piwhadang” based on the classic novel “Pakssijeon,” and explores its implications for classical literature content.
    Chapter 2 analyzes the transformation of “Here, Piwhadang” across three dimensions: storytelling methods, character and event imagery, and reinterpretation of spatial backgrounds. In terms of storytelling methods, “Here, Piwhadang” portrays the process of character’s crafting and engaging with the narratives within the play. In terms of character and event imagery, it focuses not on diminishing the character’s uniqueness or the allure of the events, but highlighting the traumas of the returning woman and the harsh realities of their lives. Lastly, “Here, Piwhadang” explores how three women find agency within the narrative world, constructing a fictional space through their narratives and writing, distinct from Piwhadang.
    Chapter 3 proposed three approaches for adapting classical literature content, as observed in “Here, Piwhadang.” Firstly, it emphasizes filling narrative gaps through active imagination, leveraging the unknown aspects of classical literature s fertile ground where meanings and connections can flourish Secondly, it advocates for diverse storytelling methods that consider both the original medium and the language of the new medium. Thirdly, it stresses the importance of aligning with contemporary desires. This involves connecting classical narratives not just with historical enjoyment but also with the interests and desires of today’s audiences and communities.
    Classical literature content evolves through dialogue with contemporary audience desires reflecting unconscious longings for resolution and the challenging of entrenched discourses.. Therefore, creating classical literature content necessitates experimentation and innovation, addressing contemporary desires to resolve conflicts and explore alterna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