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당 시기 기후사 연구와 황사 - 기후결정론에서 벗어난 기후사의 모색 (Climate History of the Sui-Tang Dynasty and the Yellow Dust: Moving Climate History Away From Climate Determinism)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2
50P 미리보기
수・당 시기 기후사 연구와 황사 - 기후결정론에서 벗어난 기후사의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생태환경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생태환경과 역사 / 11호 / 189 ~ 238페이지
    · 저자명 : 김석우

    초록

    이 글은 수・ 당 시기 기후에 관한 선행 연구와 황사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기후사 연구의 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특히 역사에서 기후의 역할에 주목하면서도, 기후 결정론에서 벗어나는 길을 찾고자 하였다. 첫째, 선행 연구에서 기후 사료에 대한 해석을 둘러싼 논란을 보았다. 축가정은 식물의 생장 지역에 관한 사료에 근거하여 수・ 당 시기가 온난기라고 주장하였으나, 모중행과 만지민 등은 식물의 생장 지역은 기후가 아닌 사회적 요인이나 사람의 역할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여, 기후 온난기설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둘째, 기후사 연구의 시간과 공간의 척도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수・ 당 시기의 기후는 주로 왕조와 100년 단위의 시공간 척도 위에서 연구되었으나, 그 기준이 좀 더 세분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가령 당 전기를 온난기로 정의한다고 해서, 당시 기후 돌변이 돌궐 제국 붕괴에 영향을 미친 일이 간과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또한 전국 단위의 기후 평가와는 별도로, 농목교착대나 산지 등 특정 공간의 기후에 대한 관심도 필요해 보였다. 셋째, 기후 결정론의 문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최근 프록시 데이터 분석에 기초한 과학적 기후사 연구의 급증과 함께, 역사에 대한 기후 결정론적 견해도 고개를 들고 있다. 하지만 선행 연구들을 모아보면 자연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도 잠정적이고, 해석의 여지를 갖는 것에 불과함을 알 수 있다. 사회와 기후 간의 관계는 가능한 많은 자료를 통해 구성되는 역사적 맥락 위에서 파악되어야 하는 것이다. 넷째, 황사 발생에 주목할 경우, 당대 기후사에 ①‘고대후기 소빙기’(6세기 중반~7세기 중반)와 ②후기의 건조기(8세기 후반~9세기 전반) 등 두 차례의 위기 국면이 있었다는 추정이 가능해 보였다. 그런데 ①기 후반에는 정관의 치세가 열렸으나, ②기에는 번진 체제의 혼란이 시작되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상황이 빚어진 원인은 결국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사람들의 대응 방식에서 찾아질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기후가 중요하기는 하지만, 역사 전개의 방향을 결정하는 힘은 사람들 쪽에서 찾아질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methods of climate history research through a review of climate history and yellow dust in the Sui and Tang periods.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limate issues in history, but is also interested in ways to move away from climate determinism.
    First, we saw a problem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documents of climate history. Based on the data about the plant's growing region, Zhu Ke Zhen claimed that Sui – Tang period was a warm time. However, two scholars, Mou Zhong Xing and Man Zhi Min, criticized this argument.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 in the interpretation of climatic data.
    Second, we talked about how to define scales of time and space in the study of climate history. Whether the climate was warmer or cooler is all talked about at the spatial scale of dynasties and the temporal scale of centuries. But different scales seemed necessary. In the early Tang, the sudden upheavals of the climate led to the collapse of the Turk empire. We also noted the implications of the specialized climate of certain regions.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look at climate history at different scales.
    Third, the issue of climate determinism was discussed. In recent years, scientific climate history research based on natural proxy data has made great advancements, but at the same time, climate determinism, the view that climate determines history, is also common. However, the results of scientific climate research are also provisional and open to interpretation. How human societies respond to climate change must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pecific historical conditions.
    Fourth, the yellow sandstorms highlighted particular phases of the climate at the time: the Late Antiquity Little Ice Age (mid-sixth to mid-seventh century) and the dry period of the late eighth and early ninth centuries, which made the climate crisis of the time more evident. However, the Tang dynasty faced the same climate crisis, which either ushered in a national heyday or plunged into political turmoil. To understand why these different outcomes occurred, we need to look at the specific historical circumstances of the time. We thought this would allow us to focus on the climate issue but at the same time move away from climate determi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태환경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