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九思堂 金樂行의 祭文 硏究 − 호소력의 근원에 대한 탐색 − (A Study on Gusadang Kim Nakhae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 Exploring the source of his appeali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06
28P 미리보기
九思堂 金樂行의 祭文 硏究 − 호소력의 근원에 대한 탐색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59호 / 93 ~ 120페이지
    · 저자명 : 정시열

    초록

    본고는 구사당 김낙행의 제문이 갖는 호소력의 근원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구사당은 18세기 영남의 유학자로서 지행합일과 실천궁행의 학덕으로 칭송받은 분이다. 구사당의 제문과 그의 스승인 밀암 이재의 서찰은 ‘구제밀찰’이라는 별호가 붙여질 정도였지만 현재 구사당의 제문에 대한 연구 성과는 전무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구사당의 제문 가운데 감정 표현이 특히 풍부한 3편을 논의 대상으로 했다.
    제2장에서는 ‘미시적 관점에서 기억의 재구’라는 제목하에 구사당의 제문이 호소력을 갖춘 한 편의 작품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유를 밝혔다. 산 자와 죽은 자가 공유할 수 있는 기억이 존재하는 데서 제문은 시작된다. 고인과의 일화가 제문이라는 무대에서 상세하게 재구성되는 데는 저자의 기억이 큰 역할을 한다.
    제3장에서는 ‘고조된 감수성의 수사적 재구’라는 제목으로 제문에 필요한 수사적 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문의 격을 높이고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사가 필요하다. 제문은 양식적 특성상 슬픔을 드러내는 글이지만 단순히 감정의 배출구가 되어서는 곤란하다.
    제4장에서는 ‘애상적 분위기의 서사적 재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향한 산 자의 손짓이 호소력 있는 이야기가 되기 위해서는 서술의 초점이 분명해야 한다. 구사당은 서술 방식을 명확히 한 상태에서 고인의 인품과 안타까운 죽음, 지난 시절의 인연과 남은 자의 그리움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제문은 글을 통해 고인을 애도하고, 산 자의 슬픔을 재현하는 장이다. 이렇게 재현된 글이 제문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호소력을 지녀야 한다. 본고에서는 제문의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이러한 호소력이 진정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ource of appealing which Gusadang Kim Nakhae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is equipped with. Gusadang was one of the Confucianists in Yeongnam during the 18th century and was praised for his scholarly virtue of jihaenghapil and silcheongunghaeng. Although Gusada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and his teacher Milam Lee Jaeui’s letters were even specially named as ‘gujemilchal’, there has been almost no research on Gusada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yet.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three pieces of Gusada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which are especially rich in emotional expression for discussion.
    Chapter 2 titled as ‘the Reconstruction of Memory in a Microscopic Perspective’ presents the reason why Gusadang’s writing for ancestral rites is recognized even as a piece of work equipped with appealing. Writing for ancestral rites begins from the point that there exists memory that can be shared by both the living and the dead. In reconstructing the anecdote with the dead on the stage of ritual writing in detail, the writer’s memory plays an important role.
    Chapter 3 titled as ‘the Rhetorical Reconstruction of Elevated Sensitivity’ examines rhetorical devices needed for writing for ancestral rites. Proper rhetoric is needed to upgrade the dignity of the ritual writing and arouse sympathy from the readers. Although writing for ancestral rites is supposed to express sadness in terms of its formal characteristics, it should not end up being a mere outlet of emotion.
    Chapter 4 looks into ‘the Descriptive Reconstruction of Lamenting Sentiment’. There should be a clear focus of description to make the gesture of the living towards the being not existing in the world any longer an appealing story. While maintaining a distinct way of description, Gusadang organizes the noble character of the dead, pitiable death, the precious bond in the past, and the longing of those left for the dead systematically.
    Writing for ancestral rites is a field to mourn over the death and reproduce the sadness of the living through writing. To make the text written in that way get to work as ritual writing properly, it should be appealing necessarily. This study has found the fact that such appealing that gives life to ritual writing is grounded on authenti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6 오전